View : 1582 Download: 0

알렉산더 칼더(Alexander Calder)의 작품에 나타나는 연극성

Title
알렉산더 칼더(Alexander Calder)의 작품에 나타나는 연극성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heatricality in Alexander Calder's Works
Authors
조아라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본 논문은 알렉산더 칼더(Alexander Calder, 1898~1976)의 작품에서 표출되는 연극성(theatricality)을 살펴본 연구이다. 칼더가 파리에 정착한 1920년대 후반부터 그가 세상을 떠난 1976년까지 그의 작품은 전시장과 일상의 환경을 연극적으로 변모시키고, 공연과 융합되기도 하며, 때로는 직접 연기(perform)를 선보이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극적 미술의 스펙트럼을 새로이 확장하였다. 그러나 칼더가 ‘움직이는 미술’ 즉, 키네틱 아트(Kinetic Art)의 선구자로 불리어 온 만큼, 지금까지 그의 작품에 관한 연구는 주로 모빌과 그 움직임에 집중된 논의가 주를 이루었으며, 칼더 작업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반세기에 걸친 그의 작업 기저에 공통적으로 흐르는 특징을 파악하여 일관된 맥락에서 바라본 논의는 쉽게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칼더의 작업에 총체성, 역동성, 유희성, 현존성 등을 포괄하는 폭넓은 의미의 연극성이 지속적으로 나타난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그의 작업세계를 보다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우선, 칼더의 조각은 전시 공간을 마치 공연장과 같이 연출하여 전시의 ‘관조자(beholder)’를 연극적 상황에 연루되는 ‘관객(audience)’으로 변모시킨다. 철사조각과 릴리프, 모빌 등은 비예측적으로 움직이거나 소리를 내며 다양한 형태로 공간을 점유하고 좌대 없이 바닥과 천장, 벽 등 사방에 설치되어 있어 관람자의 감각에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이러한 작품들은 관람자로 하여금 작품 내부의 의미로 침잠하게 하기보다는, 작품과 자신이 공유하는 시⦁공간, 즉 총체적 상황에 집중하게 만듦으로써 전시 공간에서 극적인 경험을 가능케 한다. 또한 칼더는 실제 공연예술과 직접적으로 융합된 작업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작업에는 무용 도구 및 공연의 무대 장치 뿐만 아니라, 세트 제작부터 순서 진행까지 모두 맡아 칼더가 직접 퍼포먼스를 펼친 서커스 공연, 조각이 스스로 연기하도록 만든 작품 등이 있다. 특히 정통 오페라극장에서 선보인 이른바 ‘모빌 공연’은 조각의 움직임이 공연 전체를 구성하는 작품이었다는 점에서 미술작품의 현존성을 극단적으로 보여준 예라고 할 수 있으며 전자음악과 추상조각, 그리고 공연형식이 결합된 다원예술로서 미술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품들은 관객을 작품 완성의 필수요소로 삼고 있으며 여타 예술 장르들과 결합되어 있고, 특정 시간이 지나면 똑같이 반복될 수 없다는 측면에서 강한 연극성을 띤다. 한편, 20세기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제작된 칼더의 공공조각은 그 기념비적인 규모와 생물형태적인 모습, 강렬한 원색으로 인해 특유의 생명력을 표출하며 공원, 거리, 광장, 공항 등 일상의 환경에 활력을 불어 넣는다. 마치 홀연히 나타난 유기체와 같은 칼더의 공공조각은 일상 공간에서 대중과 직접적으로 소통하며 그들에게 작품에의 참여를 독려하고, 다양한 유희를 제공하는 또다른 종류의 연극성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칼더의 작업은 캐리커쳐와 같이 매우 구체적인 형상을 띠는 유머러스한 철사조각부터 대규모 철판으로 이루어진 추상조각까지, 그리고 소규모 서커스 퍼포먼스부터 오페라 극장에서의 거대 모빌 공연까지 여러 형식, 규모, 매체에 따라 다양한 연극적 양상을 표출한다. 칼더의 이러한 연극적 작업은 이후 키네틱 아트, 퍼포먼스 아트, 미니멀리즘, 테크놀로지를 도입한 인터랙티브 아트 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데, 이는 연극성이 미술 고유의 영역을 축소하고 해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확장시키는 분수령이 되었음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현대미술의 다채로운 흐름 속에서 칼더의 작품과 그 연극성이 가지는 의미를 보다 총체적인 시각으로 고찰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This study examined the theatricality expressed diversely in the works of Alexander Calder (1898~1976). Since the late 1920s when Calder settled in Paris and started circus performance until the 1970s when he displayed a large-scale steel public sculpture, his works dramatically changed exhibition halls and the environment of daily lives and united with performance and performed themselves and thereby newly extended the spectrum of theatrical art through various media and forms. However, as Calder is called the pioneer of the Kinetic Art, so far the studies on his works have mainly concentrated on mobiles and their movements, and thus it was not easy to find a discussion that viewed various works of his over a half century in a consistent contex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quire that the theatricality of a broad meaning including wholeness, dynamism, playfulness, presence and so on appeared constantly in the works of Calder and to thereby polysynthetically examine the world of his works. The sculptures of Calder direct the spaces for exhibition like a theater and thereby change 'beholders' into 'audience' involved in a theatrical situation. Wire sculpture, relief, mobiles and so on occupy the space in various shapes by moving unexpectedly or making sound and are installed everywhere such as the floor, ceiling, walls and so on without a pedestal and thus actively intervene in the senses that the spectators feel. These works make the overall experiences possible by making the spectators concentrate on the situation itself surrounding them at the very moment rather than making them explore the meaning inside the works. Calder also showed the works directly united with actual performance art, and these works are really diverse such as the circus performance in which Calder himself showed a performance by taking charge of not only manufacture of dance tools and stage setting for performance but also the manufacture of dolls and progress and the works in which sculptures perform for themselves. In particular, 'the mobile performance' displayed at a legitimate opera theater can be called an example that extremely brought the presence of art works into relief in that it was a work in which moving sculptures composed the entire performance. It can also be called a case that carved out a new area of art as an experimental interdisciplinary art in which electronic music, abstract sculpture and performance forms are combined. These works have audience as the essential element for completion of work and are combined with other art genres, and they have strong theatricality in the aspect that they cannot be repeated as the sam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passed. Meanwhile, the public sculptures of Calder made since the late 20th century express their own vitality with the monumental scale, appearances like the shape of living things and intense primary colors and give energy to the environment of daily lives such as parks, streets, squares, airports and so on. The public sculptures of Calder like an unfamiliar organism that appeared all of a sudden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actual spaces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the works and have another kind of theatricality that provides various amusements. Like this, the works of Calder express diverse theatrical aspects following many sorts of forms, scales and media from the humorous steel wire pieces with very concrete shapes like caricatures to the geometric abstract sculptures made of steel plates which is so large that it occupies an entire square and from the small circus performance to the huge mobile performance at an opera theater. This paper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theatricality shown in his works did not reduce and harm the area of art's own but formed the watershed that expands the area. The theatrical works of Calder came to have a huge impact on Kinetic art, Performance Art, Minimalism, Interactive Art that introduced technology and so on afterwards, and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view the meaning of works of Calder in the varicolored flow of modern art from a more general ang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