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0 Download: 0

朝鮮 末期 魚蟹畵屛風 硏究

Title
朝鮮 末期 魚蟹畵屛風 硏究
Authors
계인선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선표
Abstract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특히 조선 말기에 어해병풍이 대량으로 제작된 사실에 주목하여 시기는 조선 말기, 대상은 어해화병풍으로 한정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어해화 전반이나 작가에 대한 부분적인 연구는 있었으나 어해화를 한 장르로 이해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시대별로 조선시대 어해화 전반을 회화적 흐름 안에서 살펴본 후 조선 말기 새로운 화풍을 창안한 장한종 어해병풍과 그에 영향을 받은 화원화가, 작가 미상의 어해화병풍을 포괄하는 총합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 우선 조선 시대 전반의 어해화의 회화적 전개를 살펴보기 위해서 그 기원이 되는 중국의 어해화를 문헌과 작품을 통해 시대별로 작품이 전개되는 과정을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중국 어해화의 형식, 소재와 양식을 통해 유형을 분류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중국의 어해화에 이어 우리나라 어해화에 대한 문헌 기록과 현존하는 작품들이 전개되는 과정을 보았다. 우선 시기는 처음 어해화가 출현하는 시기부터 조선 말기 새로운 장한종 어해병풍이 제작되기 이전의 어해화로 한정하였다. 문헌에서 어해화에 대한 기록은 고려시대부터 조선 후기, 그 이후에도 보인다. 작품에서는 17~18세기 전반의 것부터 있으며 19세기 이후에는 그 양이 크게 증가한다. 이 시기에는 단 폭의 화첩 형식에 수묵 담채로 그린 작품이 대부분이고 중국 어해화와 같은 양식의 도상이 보여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어해, 배경의 도상은 어해병풍의 한 부분으로 이후에도 계속해서 그려져 오랫동안 전통성을 이어간다. 장한종의 어해병풍 이 후 화원화가의 어해병풍을 기초로 한 다양한 작가 미상의 어해화병풍을 조선 말기 서화시장 형성과 병풍 유행의 측면에서 살펴본 후에 용도와 관련해 그림의 특징을 보았다. 여러 실용적인 목적을 가졌기에 어해화병풍은 장식적인 성격을 가진다. 조선 말기에 이르면 화원화가들은 새로운 형식과 양식의 어해화병풍을 제작한다. 장한종이 그린 <어해병풍>은 기존의 방식과는 차별이 됨으로 성립의 기원을 배경과 어해 소재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작품의 양식을 보면 배경은 단원풍을 따르고, 어해는 중국 화보인 『삼재도회』를 따랐다. 장한종풍을 따른 아래 세대의 화원화가인 조정규, 이한철, 장준량의 어해병풍은 배경에서는 단원이나 장한종을 따랐다. 어해 도상은 장한종의 어해를 기초로 정형화 하여 이것을 본으로 화원화가들끼리 공유하였기에 어해병풍에서는 같은 어해 도상이 반복된다. 시각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여 작가 미상의 작품을 화원화가풍 어해화병풍과 화원화가풍 어해화병풍에서 파생된 다양한 어해화병풍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화원화가풍 어해화병풍의 파생’에서는 작품을 표현 기법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이 세 가지 유형 안에서 다시 화원화가풍과 가까운 것부터 정형화, 도식화·복합화 유형의 순으로 작품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작가 미상의 어해화병풍은 화원화가의 화풍을 따랐고 정도에 차이는 있지만 그 안에서 변형하여 제작된 것이다. 어해화병풍을 제작한 작가들도 서로 본을 통해 도상을 공유하였기에 같은 어해가 반복하는 것이며 화원화가풍의 어해화병풍에 영향을 받아 점차 정형화, 도식화·복합화 되어 저변화 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어해화를 시대별로 살펴본 후, 조선 말기에 출현하고 유행하는 어해화병풍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의 분석을 시도하여 조선 말기 독자적인 회화로써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밝힐 수 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어해화병풍에 대한 기록과 시각적 이미지로 혹은 다른 장르와의 비교 등을 통한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조선 말기 회화의 한 장르로 이해되기를 기대한다.;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especially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in the end of Joseon, taking notice of the fact that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were manufactured in large quantities during such a period.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general fish and crab paintings or painters. However, there's no study to understand fish and crab paintings as a genre and analyze them in-depth. So, this study inspects the general fish and crab paintings in the Joseon Dynasty by age within the pictorial flow. And then, it attempts a holistic study to contain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of Jang Han-Jong who created a new painting style in the end of Joseon and those of court painters who were influenced by him including those of the anonymous. Firstly, in order to review the pictorial development of the fish and crab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tracing to their origin, it's required to examine those of China by age through literature and works.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s Chinese fish and crab paintings into types and analyzes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the forms, materials and styles. Following Chinese fish and crab paintings, it inspects literature on our country's fish and crab paintings and the development of works available now. As for the periods, fish and crab paintings are limited those from appearance to those prior to manufacture of the new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by Jang Han-Jong in the end of Joseon. On literature, fish and crab paintings are mentioned from the Koryo Dynasty to late Joseon and thereafter. There are works in 17th~early 18th centuries, increasing sharply after 19th century. During such periods, most of works are ink-and-wash paintings on the sketchbook single wide. And there are icons having the same styles as Chinese fish and crab paintings so expected to be influenced by them. Such icons on the fish and crab backgrounds were continued to the folding screen pictures and maintained traditionality for a long time. In the end of Joseon, court painters manufactured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of a new form and style. by Jang Han-Jong wa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so analyzed its developmental origin into backgrounds and materials. As for the styles of work, backgrounds followed the style of Danwon, and fish and crab 『Samjaedohoe』.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of Jo Jeong-Kyu, Lee Han-Cheol, Jang Jun-Ryang, court painters of next generations who followed the style of Jang Han-Jong, followed the style of Danwon or Jang Han-Jong in the backgrounds. Court painters shared fish and crab icons after formulating and modeling based on Jang Han-Jong's. So, in the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the same fish and crab icons revealed repetitively. After reviewing the various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by the anonymous painters based on those by court painters from the aspects of formation of paintings and writings market with popularity of the folding screen in the end of Joseon,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by use.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have many practical purposes so accompany decorative characteristic. In addition, centered on the visual image, inspects works of the anonymous painters dividing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into the style of a court painter and the various things else, derived from a court painter's style. As for derivation of court painter's styled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work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expressive technique. Based on such three types, works are analyzed from types of a court painter's style, formulation and mix in order. As the result of analysis,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of the anonymous painters followed the style of a court painter, manufactured through transformation though in different degrees. Painters who manufactured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shared icons through pattern so the same fish and crab came to be shown repetitively. And, under influence of the court painter's style, they were formulated, schematized and mixed, showing the aspect of expanding their base. Through inspecting fish and crab paintings by ag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from the various angles, which appeared and prevailed in the end of Joseon. So it has the significance in identifying that the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ependent painting during such a period. Through further study of fish and crab folding screens from records, visual images or comparison with other genres, it's expected to understand them as a genre of painting in the end of Jose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