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혜진-
dc.contributor.author윤영혜-
dc.creator윤영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2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3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250-
dc.description.abstract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competing to host international conferences to promote their national interest and raise their international status while strengthening cooperation and exchanges among nations. MICE (Meetings, Incentives, Conventions and Exhibitions) industry is utilized as an important tool in this regard, and convention industry has been groomed by many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s the most important leverage. Convention industry is growing fast at home and abroad, and its growth must be fostered by both stronger physical structure and skilled specialists who run the system. Convention industry is "human-oriented" business requiring experts to systematically plan and operate convention. Conventions managed by knowledgeable, trained exper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ost-event evaluation and on successful bid for re-hosting. Nevertheless, there remains a gap between what the convention industry demands and what is being taught at learning institutions. The subsequent failure to make the most out of human resources arising from the gap hampers the growth of convention industry. Unitary education programs that do not consider career differences also undermine the efficiency of the education. This not only fails to meet the needs of the industry but also fails to adequately evaluate the expertise of the convention professionals.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annual accreditation tests for Convention Planners have different classifications depending on the career years of applicants. This paper aims to prove that job scopes of convention professionals vary on the basis of career years and to develop a two-ti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urriculum developed by existing DACUM analysis. The program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ith a fourth year career being the benchmark of the divide as 4-year career holders are eligible for the top Grade I Convention Planner accreditation test. The paper also aims to design implementation methods of the program that meet the needs of students through student analysis and consultations of convention experts. In order to prove that there exist different job descriptions depending on the number of years of servic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00 conventional industry professionals (92 responded) in Seoul area over the period of ten months. SPSS 18.0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were comprehended wit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was determined with reliability analysis, and validity was qualitatively affirmed by experts. With confirmed statistical data, a two-ti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expert consultation meeting comprised of three PCO professionals and one HRD expert. The meeting also analyzed students through CIT interviews and produced a learning environment that meets the needs of studen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finds that the work scopes of convention experts can be classified based on their career years: A shorter-career group tended to perform the jobs of computer-based office work and management of supplies and staff; A longer-career group was mostly involv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marketing strategy development, budgeting, and corporate performance management. Based on the finding, a two-tier program was devised reflecting the analysis of over four-year career students qualified for Grade I Convention Planner accreditation test through the consultation meeting. It was concluded, in both classes of the program that effective time and venue for the program are: three hours per class from 7:30 in the evening in winter off-season at a school or at a convention center. Three to six months were recommended for the class of four-year-or less career group and two weeks to one month for the class of over four-year career students. Effective means of learning were found to be discussion, presentations, and other dynamic methods as opposed to rote learning. The demand for convention experts is expected to grow further, and it is essential that properly educated professionals plan and operate conventions for success. Systematic tailored programs of expert education must be fully utilized by relevant academic associations, schools, and centers to produce high-quality convention experts. Efforts should be made at all levels including the government to build greater and globally competitive expertise of and respect for convention professionals through consisten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세계 각국은 국가 간 협력 증진과 상호 교류가 확대되면서 각종 국제 회의를 유치하여 국익을 증진시키고 국제적으로 자국의 위상을 드높이는 국제회의 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국제 교류의 중요한 수단으로 MICE 산업(Meetings, Incentives, Conventions, Exhibitions)이 활용되고 있는데 그 중 핵심 산업인 컨벤션 산업은 미국을 비롯한 유럽, 아시아에서 이를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컨벤션 산업은 국, 내외적으로 성장 속도가 빠른 산업으로, 하드웨어적 발전뿐만 아니라 고급 인력 수급 등의 소프트웨어적 성장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컨벤션 산업은 ‘사람 중심의 비즈니스’이기 때문에 체계적인 컨벤션 기획 및 운영을 위하여 전문화된 인적자원이 필요하다. 다양한 지식을 보유한, 경험치가 높은 훈련된 전문가가 운영하는 컨벤션은 사후 평가에 있어 질적으로도 우수하고 컨벤션의 재유치에 있어서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하지만 컨벤션 업계에서 요구하는 전문가의 기준과 교육기관에서 행하는 교육 기준은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기대 수준의 차이로 오는 인적 자원 활용의 미비함이 컨벤션 산업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 또한 경력 구분 없이 단일화된 교육 프로그램이 교육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수요자의 니즈를 반영하지 못한 프로그램의 운영으로 컨벤션 전문가의 전문성이 저평가되는 상황이다. 또한 학습자 분석이 미비한 상태에서 교육 서비스의 공급 측면에서 구성한 일방적 프로그램의 운영의 한 병폐라 볼 수 있다. 한편 매년 시행되고 있는 국가공인기술자격증인 ‘컨벤션기획사’ 시험도 경력에 차이를 두고 그 응시 기준을 제한하고 있다. 본 논문은 컨벤션 전문가의 직무가 경력에 따라 차이가 남을 설문을 통해 증명하고, 기존 DACUM 분석을 통해 개발된 컨벤션 전문가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2단계로 구분된 수준별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자 한다. 컨벤션 기획사 1급 자격시험 응시 기준인 컨벤션 업무 경력 4년차를 기준하여 4년차 이하와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2단계 프로그램이다. 또한 컨벤션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완성된 수준별 교육 프로그램을 학습자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니즈에 맞는 운영 방법까지 설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컨벤션 전문가의 경력에 따라 직무 차이가 나는 것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10월동안 서울 지역 컨벤션 업계에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여 92부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 패키지 SPSS18.0을 이용했고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분석으로 알아보고, 신뢰도 분석을 통해 신뢰성을 검증, 전문가들을 통해 내용타당성도 검증했다. 평균의 대표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량 분석도 실시했다. 통계를 통해 확인된 결과로 PCO 3명, HRD 전문가 1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컨벤션 전문가 수준별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또한 전문가 협의회에서 CIT 인터뷰를 통해 학습자 분석을 실시, 교육 수요자의 니즈에 맞는 학습환경까지 조성해보았다. 분석 결과, 컨벤션 전문가의 직무는 경력에 따라 구분이 되며 하위 계급에서는 주로 컴퓨터 활용 업무, 홍보물 제작, 요원 및 물품 관리하기 등의 업무가 많았고, 상위 계급에서는 경영, 마케팅 전략수립, 예산수립 및 관리, 기업성과 관리 등의 업무가 주를 이루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컨벤션 기획사 자격증 1급 시험 응시 기준인 경력 4년차를 중심으로, 학습자 분석 결과까지 합하여 2단계로 구분된 수준별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두 프로그램 모두 교육 1회시 3시간, 시간대는 평일 오후 7시 30분, 시기는 비수기인 겨울, 장소는 학교나 컨벤션 센터에서 교육하는 것이 좋다. 4년차 이하 프로그램은 교육시간 3~6개월, 4년차 이상 프로그램은 업무 특성상 2주~1개월 미만으로 구성하였다. 컨벤션 업계 종사자들의 특성상 강의식 학습 스타일이 아닌 토론식, 발표식 등의 복합적 구성이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도 컨벤션 전문가 인력의 수요는 점차 늘어날 것이고, 제대로 교육받은 전문가가 기획하고 운영하는 컨벤션이 효용성이 높을 수 있다. 수준별로 체계적으로 구성된 컨벤션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을 각 학회나 학교, 센터에서 적극 활용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컨벤션 전문가를 많이 배출해내야 한다.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로 컨벤션 전문가의 전문 영역을 확대시키고,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전문가를 길러내는 데 국가, 학교, 협회 등이 서로 협력하여 추진력 있게 나아가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2 C. 연구방법 및 범위 4 II. 이론적 배경 5 A. 컨벤션 전문가 5 1. 컨벤션 전문가의 개념 및 정의 5 2. 컨벤션 전문가의 분류 6 가. 업무 능력 및 자격 조건에 따른 분류 6 나. 능력에 따른 분류 7 다. 업무 수준에 따른 분류 8 B. 국내외외 컨벤션 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분석 9 1. 미국의 컨벤션 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9 2. 싱가포르의 컨벤션 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13 3. 국내 컨벤션 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14 가. 정규대학 내의 단기교육과정 15 나. 사설교육기관 교육과정 16 C. 컨벤션 기획사 자격증 시험 18 1. 컨벤션 기획사 자격증 시험 시행 현황 18 2. 컨벤션 기획사 자격증 시험의 활용도 21 가. 컨벤션 업종 종사자와 구직 및 이직자 활용도 21 나. 1급 자격증 취득 희망 이유 22 D. 경력수준별 수행요구 23 1. 전문가의 경력수준별 경력단계 23 2. 경력수준별 수행 요구에 대한 연구 24 E. 교육 프로그램 설계 24 1. 교육 프로그램의 개념 및 정의 24 2. 교육 프로그램 설계 25 가. 학습자 분석 25 나. 교육 프로그램 설계 25 III. 연구방법 26 A. 연구 모형 26 B. 연구 대상 26 C. 연구 조사 방법 27 D. 설문지 구성 30 E. 조사 도구 및 자료의 분석 33 IV. 연구 결과 34 A. 인구 통계학적 분석 34 B. 타당도 분석 36 C. 신뢰성 분석 36 D. 연구 문제 검증 37 1. 경력 차이에 따른 직무 구분 37 가. 경력 단계별 직무 구분 37 나. 컨벤션 전문가의 수준별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40 2. 교육 프로그램 구성 41 가. 컨벤션 전문가 경력 4년차 이하 프로그램 41 나. 컨벤션 전문가 경력 4년차 이상 프로그램 42 3. 교육에 적합한 조건에 대한 논의 44 V. 결론 및 논의 45 A. 연구 결과의 요약 및 결론 45 B.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46 참고 문헌 48 부록 1: 설문지 52 부록 2: 설문지 참고 일람표 60 ABSTRACT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367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컨벤션 전문가 수준별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Graded Education program for Professional Convention Organizer-
dc.creator.othernameYoon, Yeong Hye-
dc.format.pagexii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제사무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