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원용-
dc.contributor.author정재선-
dc.creator정재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1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7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3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74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프레임의 유형에 따른 뉴스 프레임의 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뉴스 수용자는 뉴스 미디어의 프레이밍 방식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프레임은 수용자의 상이한 관심도나 성향 및 지식수준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수용자에 따라 프레임은 다르게 인식되고 이해되므로 뉴스 프레이밍에 따라 그 효과는 차이를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주제로서 프레임 효과를 잘 파악 할 수 있는 암 관련 보도를 대상으로 프레임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암 관련 보도에 대한 프레임 효과 연구는 공중의 건강 행동에 미치는 뉴스 미디어의 영향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 효과를 분석하는 이론적인 의미와 효과적인 암 관련 보도기사 제작에 실무적인 의미를 동시에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990년부터 2011년까지의 암 관련 보도를 분석한 결과 보도 프레임의 유형은 의학적 프레임이 46.7%로 가장 많이 보도되었고, 이어서 정치사회 프레임 27.3%, 인간적 흥미 프레임 10.5%, 생활습관 프레임 9.0%, 경제적 프레임 6.5%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도기사에서 언급된 암은 암의 종류를 구분하지 않은 경우가 59.1%였고, 유방암 12.9%, 대장암 4.2%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암 관련 보도기사의 프레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미디어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진 의학적 프레임, 정치사회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을 분석하였고 보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각 프레임 마다 암의 종류를 구분하지 않은 일반암과, 암의 종류를 구분한 특정암의 두 가지로 나누어 모두 여섯 가지 유형의 보도기사에 대한 프레임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틀로 삼았다. 정교화 가능성 모델은 수용자의 정교화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처리 과정을 통해 수용자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 때문에 수용자 요인에 따른 프레임의 효과를 측정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교화 가능성 모델은 암 관련 보도기사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일정한 한계를 보인다. 정교화 가능성 모델에서는 정보처리동기가 낮은 집단이나 중립적 집단의 경우 주변단서로 태도의 차이가 나타난다고 가정한다. 본 연구는 프레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주변단서를 통제하였다. 이 때문에 정보처리동기가 낮은 집단이나 중립적 집단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다. 실제로 건강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관련 보도기사에서는 주변단서를 배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같은 상황은 실무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암은 국민적 관여도가 높은 질병으로 대부분의 수용자들은 정보처리동기가 낮더라도 암 관련 보도기사를 탐독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암 관련 보도기사는 지식을 전달함으로서 공중의 건강관련 지식을 변화시키고 암과 관련한 공중의 신념을 바꿀 수 있다. 보도기사의 내용이 그 자체로서 큰 의미를 가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보도기사의 내용을 읽은 후 생성되는 상황적 관여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보도기사로 인해 생성되는 상황적 관여의 개념을 정교화 가능성 모델에 도입하였다. 상황적 관여는 보도기사를 탐독하게 하는 수용자의 일반적 특성이며 보도기사와 관계없이 사전에 형성된 인지욕구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상황적 관여와 인지욕구, 건강신념과 사전지식을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정보처리동기로 사용하고, 보도기사 태도와 행동의도 변화를 종속변수로 하는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이렇게 설정한 연구모델은 보도기사로 인한 공중의 보도기사 태도와 행동의도 변화를 잘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상황적 관여의 영향력이 크다면 상황적 관여를 정교화 가능성의 정보처리동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인지욕구와 상황적 관여를 기준으로 집단을 분류하여 일정한 특성이 나타난다면, 사전에 형성된 개인의 특성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정보처리동기가 낮은 집단과 중립적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기 어려운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사연구는 20대 이상 607명을 대상으로 실제 기사 형식의 여섯 가지의 보도기사 유형을 제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기존의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사용한 분석에서 호의적 집단과 비호의적 집단의 행동의도 변화는 큰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 가지 보도기사 유형 모두 호의적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비호의적 집단과 정보처리 동기가 낮은 집단 및 중립적 집단에 비해 긍정적 행동의도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비호의적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호의적 집단과 정보처리 동기가 낮은 집단 및 중립적 집단에 비해 부정적 행동의도 변화가 나타났다. 하지만 정보처리동기가 낮은 집단 및 중립적 집단이 전체의 절반을 넘고 이들의 행동의도 변화에서는 정교화 가능성 모델에서 가정하는 초기 환원으로 볼 수 없는 다양한 행동의도 변화 양상이 나타났다. 또한 보도기사 프레임에 따라 행동의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정보처리동기가 낮은 집단 및 중립적 집단에게도 프레임 효과는 나타난다는 것이다.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모델을 암 관련 보도기사에 적용하여 검증한 결과, 여섯 가지 보도기사 유형에서 공중의 보도기사 태도 및 행동의도 변화를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황적 관여가 인지적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정교화 가능성 모델에서 정보처리동기로서 사용된 건강신념의 각 요인인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장애, 지각된 이익 그리고 사전지식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상황적 관여와 인지욕구를 기준으로 하여 저관여-저인지, 저관여-고인지, 고관여-저인지, 고관여-고인지 집단으로 분류한 후, 집단별 인지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 및 행동의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상황적 관여에 따라 인지적 태도와 행동의도의 변화가 뚜렷하게 구분되고 있었다. 고관여 집단은 긍정적 행동의도 변화 양상이 잘 나타나고 저관여 집단은 행동의도 변화가 낮거나 부정적 행동의도 변화가 나타났다. 보도기사에 대한 인지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 역시 고관여 집단은 긍정적인 인식이 나타났고, 저관여 집단은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인식을 보였다. 또한 인지욕구는 보도기사를 탐독하게 하는 요인임이 증명되었다. 고관여 집단에서 속한 저인지 집단은 보도기사 유형에 따른 행동의도 변화의 차이가 크지 않은 반면, 고인지 집단의 행동의도 변화는 보도기사 프레임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저관여 집단에서도 보도기사 프레임에 따라 저인지 집단의 행동의도 변화는 큰 차이가 없는 반면, 고인지 집단은 보도기사 유형에 따른 행동의도 변화의 차이가 나타났다. 보도기사에 대한 인지적 태도에서도 프레임 효과는 나타나고 있었다. 고인지 집단은 의학적 프레임, 정치사회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순으로 인지적 태도를 보인 반면, 저인지 집단은 의학적 프레임, 인간적 흥미 프레임, 정치사회 프레임 순으로 인지적 태도 수준이 나타났다. 이는 인지욕구 정도에 관계없이 의학적 프레임은 유용한 기사로 받아들이지만, 인간적 흥미 프레임은 저인지 집단에게 더 유용하게 받아들여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서적 태도는 행동의도 변화나 인지적 태도와 마찬가지로 관여도에 따라 구분되는 특성을 가지지만 인지욕구에 따른 뚜렷한 특성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었다. 정서는 개인차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인지욕구에 따른 정서적 태도의 차이는 논외로 하였다. 결과적으로 상황적 관여는 행동의도 변화와 보도기사 태도가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나타나는지에 영향을 미치며, 인지욕구는 보도기사를 탐독하게 하여 수용자의 태도 수준을 다르게 하기 때문에 프레임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의미는 보도기사와 관련한 공중의 반응 연구에서 상황적 관여를 도입하여 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수용자는 뉴스의 내용을 해석할 때 일차적으로 내용에 의존한다. 따라서 보도기사의 목적이 지식수준의 정보제공이나 보편적인 생활수준 향상을 도모하는 데 있기 때문에 전달하려는 메시지의 내용 자체가 중요하다. 그러므로 보도기사와 관련한 연구가 상황적 관여를 도입할 경우, 공중의 보도기사에 대한 영향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실제 보도기사의 프레임 효과를 실증적이고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서 유용한 암 관련 보도기사 작성에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였다는 의미를 가진다. 연구과정에서 나타난 특이한 결과는 지금까지 가장 많이 사용된 보도기사 유형인 ‘의학적 프레임 × 일반암’ 보도기사가 ‘의학적 프레임 × 특정암’ 보도기사보다 관여도 인식, 인지적 태도, 정서적 태도, 행동의도 변화에서 모두 낮은 수준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행동의도 변화에서는 ‘의학적 프레임 × 일반암’ 보도기사가 ‘인간적 흥미 프레임 × 특정암’보다도 낮게 나타났다. 이는 암에 대한 의학적인 정보제공에서는 관련성이 높은 특정암을 다룰 때 프레임 효과가 더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암 관련 보도기사는 암 종류를 구체적으로 적시하는 정교한 기사로 공중에게 제공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정치사회 프레임 × 특정암’은 프레임 효과가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저관여-고인지 집단에서는 가장 부정적인 양상을 보였다. 정치사회 프레임은 암을 둘러싼 가난, 편견, 사회구조 등 사회적 문제와 책임을 강조하고 암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 해결방안 모색하는 것으로서, 수용자는 특정한 암이 아니라 전체적인 암에 대한 사회적 접근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정치사회 프레임의 보도기사는 다양한 암에 대한 사회적 문제와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즉 암에 대한 의학적인 정보제공과 개인적 사례를 중심으로 하는 의학적 프레임이나 인간적 흥미 프레임은 보다 구체적인 암에 집중하여 제작될 필요가 있고, 정치사회 프레임의 보도기사는 다양한 암에 대한 사회적 문제와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보도기사는 그 유형에 따라 공중에게 미치는 효과가 상이하기 때문에 프레임 효과는 실제 보도기사를 중심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되어 유용한 보도기사 제작에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This study purposes to analyze the effect of frame type. News audience influenced by framing type of the media. Not only that, the effect of frame can be influenced by the audience’s interest, characteristic or level of knowledge. That is, according to the audience , they differently recognized and understood the frame and it is differentiated from framing effect. Accordingly this study researched the effect of frame about the cancer related news which has high relevance with public. Cancer related news frame effect research can provide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which has great effect on public health behavior, thus it is possible to look into the theological and practical mean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ancer news from 1990 to 2011, it represented that frame type of medical frame account 46.7% which was frequently reported, followed by political-social frame 27.3%, human interest frame 10.5, life habit frame 9.0%, economical frame 6.5%. In terms of reported type of cancer, non-specific 59.1%, breast cancer 12.9%, colon cancer 4.2%. We intended to analyze effect of news frame from medical frame, political-social frame, human interest which was extensively used and for the in-depth study, for each frame, unclassified cancer; general cancer and classified cancer, two cancer were applied and totally 6 types of report’s frame effect was analyzed. The analysis was formatted over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is effective to measure the difference over various group responses. In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it is hypothesized that there is behavioral difference as a peripheral clue from the groups which haslow-relevance group or neutral motivation level of information process. This study for the analysis of frame effect, control the peripheral clue.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gain the effect to the low-relevance group or neutral motivation level of information process. In fact, there is no arrangement of peripheral clue in the health-related report, it needs to be practically researched. Cancer as a high public relevance disease is slated to be read even though the information process motivation is low. Also, cancer related reports carry knowledge thus change the public knowledge about health and public belief about the cancer. That means report content itself is meaningful.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situational involvement after the reading the report is significant. Thus, we introduced the notion of situational involvement by the news. Situational involvement is general characteristic of audience who read the news and is affected by the (need for cognition which are formed without news. Thus, situational involvement, need for cognition, Health Belief Model and schema are used as an information process motivation of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And the research was designed to set the news attitude and change of behavioral as parameter. That‘s because the research model explain about the public news attitude and change of behavioral intention by news and if the impact of the situational involvement is huge, the situational involvement can be used as motivation of information process of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In this case, if there is certain characteristics which were divided by the urge to recognize and situational involvement, only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 which were formed in advance, it can overcome disadvantages of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which is difficult to gain the characteristic of low-relevance group and neutral motivation level of information process group.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targeting 607 numbers of people over 20, suggesting 6 type of real report.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ver the change of behavioral intention between favorable group and unfavorable group. For all the 6 type of report, favorable group represented positive change of behavioral intention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an unfavorable group, low-relevance group and neutral motivation level of information process group. Also, the unfavorable group represented negative change of behavioral intention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an favorable group, low-relevance group and neutral motivation level of information process group. However, low-relevance group and neutral motivation level of information process group account more than half of the total, their change of behavioral intention showed various faucet of change of behavioral intention which cannot be seen as initial conversion under the hypothesis of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Also, there was difference over change of behavioral difference according to report frame. That is, there indicated frame effect to the low and neutral motivation level group. The result of research model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about the cancer related news verified that 6 type of news explains well about the research model has public news attitude and change of behavioral intention. Also, the situational involvement has greater effect on the cognition attitude and change of behavioral intention than under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utilizing Health Belief Model as the motivation of information process factors such as seriousness, recognized susceptibility, recognized disability, recognized profit and schema. Accordingly, as a standard, situational involvement and need for cognition were set, classify them into low involvement-low cognition, low involvement-high cognition and high involvement-high cognition. And measure group‘s cognition attitude and behavioral change. As a result, the change of behavioral intention and cognition attitude were discrete according to the situational involvement. The high involvement group represented positive recognition, low involvement group represented negative or neutral cognition. Furthermore, as for urge to cognition, it was proved that it was the driving factor to read the news. Although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n the change of behavioral intention over the low cognition group in the high involvement group, high cognition group‘s change of behavioral intention was affected huge by the frame of the report article. Likewise, in the low involvement group,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n the change of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 to the frame of news articl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difference on the change of behavioral intention in the high cognition group according to the news article type. The high cognition group represented cognition attitude ordered from medical frame, political-social frame, to human interest frame. On the other hand, the low cognition group represented cognition attitude ordered from medical frame, human interest frame, to political-social frame. This signify that regardless of level of need for cognition, the medical frame is accepted as useful article, though, human interest frame is more useful in the low cognition group. Emotional attitude has characteristic to be classified by involvement like change of behavioral intention and cognition attitude, there was no discret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urge to recognize. Since emotion is greatly affected by individual difference, it was excluded in this study. As a result, situational involvement affect whether the attitude of news article is positive or negative, and urge to cognition make audiencer's level of attitude different, thus it can be said that it has huge effect on frame effect. The predominant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we verify the effect of situational involvement in the public response research. The acceptor first depends on the content when translating the article. Therefore, offering information in a knowledge level or news articles regarding improvement of general life pattern, the content itself is important in news article. When the news article introduces the situational involvement, we can measure more effectively about the news article's effect. Also, this study, by analyzing practically and in detail about the effect of real news article's frame, it has significant meaning that it provides practical meaning about the useful cancer related article. The peculiar characteristic during the research is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of medical frame with general cancer news article represented low level of involvement cognition, cognition attitude, emotional attitude, change of behavioral intention than the medical frame with classified cancer news. In change of behavioral intention, medical frame with general news article represented low than the human interest frame with classified cancer news. This result showed that frame effect becomes enlarged when dealing with specific cancer which offers medical information. Thus cancer related report article need to be offered in a sophisticated article form specifying the kind of cancer. However, political-social frame with general cancer has the low effect, especially; low involvement-high cognition group represented the most negative aspects. Political-social frame emphasizes poverty, prejudice, social structure surrounding the cancer and social problem and responsibility, acceptor should grasp as not specific cancer but overall cancer, which prefer social approach various cancer. Thus, political-social frame news article need to be produced in a direction that seek social problem and solutions. The offering of medical knowledge and individual care centered medical frame or human interest need to be focus on the classified cancer. The political-social frame report article need to be produced in a manner those social problems of various cancer and seeking solutions. Since report article has disparate effect over public according to its type, it needs to be analyzed in a various way so that it might be helpful to produce useful report artic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1 B. 연구목적 6 C. 논문의 구성 10 Ⅱ. 이론적 배경 12 A. 뉴스 프레임 12 1. 뉴스 프레임의 개념과 속성 12 2. 뉴스 프레임이 수용자의 정보처리에 미치는 효과 15 B. 뉴스와 수용자의 정보처리 과정 19 1. 정교화 가능성 모델(Elaboration Likelihood Model) 19 2. 프레이밍 효과와 정교화 가능성 29 3. 뉴스 프레임과 건강신념 모델 36 C. 정교화 가능성 모델 관점의 뉴스 프레임 효과 41 1. 뉴스 프레임과 정교화 수준의 관계 41 2. 뉴스 프레임과 건강신념 42 Ⅲ. 연구설계 46 A. 언론의 암 관련 보도 프레임 46 1. 암 관련 보도 프레임의 특성 47 2. 언론의 암 관련 보도 프레임 분석 50 B. 연구설계 및 연구모형 61 1. 프레임에 따른 암 관련 보도기사의 정교화 가능성 63 2. 암 관련 보도기사가 수용자의 인지정교화 수준에 따라 건강행동을 변화시키는 과정 67 C. 연구문제 71 1. 프레임에 따른 암 관련 보도기사의 정교화 가능성 72 2. 암 관련 보도기사 기사가 공중의 건강행동을 변화시키는 과정 74 3. 암 관련 보도기사의 프레임 효과 76 D. 분석유목 78 1. 건강신념, 인지욕구, 사전지식 79 2. 관여도 인식, 인지적 태도, 정서적 태도, 행동의도 82 E. 실험처치물 설계 84 F. 사전조사 91 G. 본 조사 93 1. 조사대상자의 특성 93 2.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95 Ⅳ. 연구결과 100 A. 연구문제 1의 검증 : 프레임에 따른 암 관련 보도기사의 정교화 가능성 100 1. 보도기사 프레임에 따른 정교화 가능성 수준 102 2. 연구가설 검증 109 B. 연구문제 2의 검증 : 암 관련 기사가 공중의 건강행동을 변화시키는 과정 114 1. 의학적 프레임에서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건강행동 변화과정 114 2. 정치사회 프레임에서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건강행동 변화과정 119 3. 인간적 흥미 프레임에서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건강행동 변화과정 122 4. 가설검증 125 C. 연구문제 3 의 검증 : 암 관련 보도의 프레임 효과 126 1. 프레임에 따른 관여도 인식, 인지정서적 태도 및 건강행동의도 126 2. 인지욕구와 관여도 인식에 따른 인지적 태도, 정서적 태도 및 행동의도의 차이 130 3. 가설검증 138 Ⅴ. 결론 및 제언 140 A. 연구결과 요약 140 B. 결론 및 함의 147 C. 연구의 한계 155 참고문헌 158 부록 1 : 설문지 174 부록 2 : 참고용 표 187 영문초록 1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669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이용한 뉴스 프레임 효과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국내 암 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ffect of News Frame using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 Focusing on the cancer related news in Korea-
dc.creator.othernameJung, Jae Seon-
dc.format.pagexi, 20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