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8 Download: 0

한국전쟁기 중립국 선택 포로 연구

Title
한국전쟁기 중립국 선택 포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Prisoners of War Who Chose to go to Neutral Countries during the Korean War
Authors
이선우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병준
Abstract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n an unusual aspect of the Korean War - the existence of prisoners of war (POW) who, rather than being repatriated, were allowed to go to third countries after the armistice. It will focus on the process through which this came to be, and point out the main features of this arrangement. During the Korean War, the United Nations (UN) Forces and the Communist Forces were locked in battle - ideological, impassioned and for the sake of honor and prestige - over the number of prisoners of war. After June 1951, as the number of Communist prisoners of war, who were interned en masse at the Kojedo Prisoner of War Camp, stabilized, these numerical figures ceased to be mere statistics and began to take on a symbolic meaning, indicating the superiority/victory of a particular ideology. The UN Forces drew into attention the fact that many Communist POWs refused repatriation to their country of origin and pressed for the principle of voluntary repatriation. The Communists invoked the Geneva Conventions and argued for forced repatriation. This resulted in a stall of the armistice talks for more than two years, and the POWs who refused forced repatriation emerged as iconic figures of an ideological conflict. Research on the POWs who chose a third way by going to neutral countries reveals in stark detail how the negotiations on the principles of repatriation became another battlefield of rival ideologies. These POWs provided the theme of the 1960's novel The Square (광장) and the topic of the 1994 MBC documentary The Seventy Six Prisoners of War (76인의 포로들). Subsequent academic studies have focused on anthropological aspects of the issue, and through analysis on the situation after their arrival in India (1954-57), have concluded that the choices of their final destination do not indicate sympathies for neutrality, and support the view that they were rather like victims trying to flee a war zone. Nevertheless, these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the final destinations of the POWs at the expense of researching the substance of who they were and the process of how they came to be. Furthermore, these studies have relied on limited sources and materials; until now a verified list of such POWs has not been publicly disclosed, and even basic facts, such as the number of those POWs with Korean nationality, have not been confirmed. This dissertation makes use of previously neglected sources and materials, such as Interrogation Reports, to provide a list of names of the POWs who chose neutral countries as their destination, and analyzes the process and institutional structures that led to their relocation to third nations. The armistice talks ended with an agreement that the contentious issue of POWs refusing repatriation be decided by the Neutral Nations Repatriation Committee (NNRC), working under the principle of voluntary repatriation. This agreement was the result of a compromise embracing the core arguments of both negotiating sides. POWs refusing repatriation were transferred to the Demilitarized Zone near Panmunjom and into the hands of the NNRC. These POWs were supposed to be granted a free choice following a four-month period of 'explanation.' In reality only one-tenth of them were given 'explanations'; the rest had to express their choice by resorting to extreme measures. POWs who chose third countries underwent the same process, but with the added difficulty of having to face the discouragement of Camp authorities and their fellow POWs. For many this proved to be a major obstacle, and with final interventions from various governments trying to dissuade them from making such choice, only eighty-eight POWs took the decision to go to third countries. The rationale for such discouragement was the lack of authorities who would take care of them after their relocation. The reality that POWs were not provided with an atmosphere that encouraged genuine free choice implies that had the situation been different, more POWs would have favored third countries. The eighty-eight POWs were transferred to India in February 1954 and remained there under the watch of the Indian military for two years until their final destinations - such as Brazil, Argentina and the United States - were decided. In the end, some of them did repatriate to either the Republic of Korea (ROK) or North Korea. In the case of repatriations to the ROK, the ROK government's approach to the issue was to take into account the self-identity of the POWs. An important finding of this dissertation is that of the eighty eight POWs, seventy-seven can be confirmed as Koreans. Until now the number of such Korean POWs has been generally accepted as being seventy-six. A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materials revealed different, conflicting figures, but through further research undertaken for this dissertation, it can now be ascertained that the actual number is seventy-seven. On the basis of such information the author has been able to retrieve the Interrogation Reports of ten Korean POWs, and with the additional means of conducting interviews, has drawn a general profile of these POWs as being relatively well-educated and having suffered exceptional hardships in the Camps. Detailed analysis of the relocation process indicates that as far as the POWs were concerned, choosing to go to third countries was not, in itself, a choice for a certain ideology. And while their choice was based on a repudiation of both the ROK and North Korea, it should not necessarily be understood as being ideologically neutral. What the POWs wished was to escape the situation of competing ideologies that manifested itself in the form of violent war and grueling prisoner camps, and to go to a 'neutral' - a shorthand for 'foreign' - country. The fact that many POWs - and not only eighty-eight who were able to make the final choice - also yearned for the opportunity to make such genuine 'voluntary' relocation is helpful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voluntary repatriation for Korean War POWs and the POWs who refused repatriation.;본 논문은 한국전쟁기 중립국을 선택했던 포로들이 어떻게 발생했는지를 알아보고 그 과정을 통해서 이들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전쟁기 공산군와 유엔군은 발생한 포로의 숫자를 둘러싸고 감정, 체면, 이념싸움을 벌였다. 특히 1951년 6월을 전후하여 공산군 포로의 규모가 일정해지고 이들이 거제도 포로수용소에 일괄 수용되면서부터 포로의 숫자가 곧 이념의 승리를 의미하기 시작했다. 이에 유엔군은 본국으로 송환을 거부하는 포로들이 많다는 점을 부각시키면서 포로 ‘자유 의사에 의한 송환’ 원칙을 주장했고, 공산군측에서는 제네바 협약에 따른 강제 송환을 주장하면서 휴전협상은 2년 이상 지연되었다. 다시 말해서 송환 거부 포로의 존재는 자원 송환 원칙과 맞물리면서 한국전쟁 ‘이념 대립의 아이콘’이 되었다. 중립국행 포로들은 이러한 전쟁기 포로 송환 원칙에서 나타나는 이념 대립과 체제경쟁의 과정을 여실히 드러내주는 소재이다. 이들의 존재는 1960년대 소설 『광장』과 1994년 MBC 다큐멘터리 『76인의 포로들』을 통해서 조명을 받았고, 이후에는 주로 인류학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 연구들은 1954년~1957년 포로들이 인도로 송환된 직후 상황을 분석해서 최종 정착지와 선택 과정을 봤을 때 중립성을 추출할 수 없으며 전쟁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전쟁 피해자에 가깝다는 결론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중립국행 포로의 성격 분석에서 이들의 최종 정착지만을 주목하고 있을 뿐, 그 발생 과정에서 나타나는 실체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게다가 지금까지 확실한 전체 명단이 공개된 바 없고 그 중 한국인이 몇 명이었는지에 대한 확인 없이 연구가 이루어져서 자료 활용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포로심문보고서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지 않았던 자료를 적극 활용하면서 중립국행 포로의 명단을 확보하고, 이들이 중립국으로 보내지기까지 과정과 이를 주도한 구조 속에서 그 실체를 파악하고자 한다. 휴전 회담의 포로 협상 결과 가장 논쟁이 되었던 송환 거부 포로 문제는 중립국송환위원회에 의해서 처리하되, 포로 자원 송환 원칙을 반영하도록 합의되었다. 이는 양 측의 핵심 주장을 최대한 반영한 결과였다. 이에 따라 송환 거부 포로들은 모두 판문점 근처의 비무장지대로 옮겨져서 중립국송환위원회로 인계되었다. 약 4개월간의 ‘해설(Explanation)’ 기간 동안 포로들은 자신의 의사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했지만, 1/10에 해당하는 포로들만이 해설을 받을 수 있었고 그 외에 포로들은 극단적인 방법으로 송환을 요청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발생했던 중립국행 포로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게다가 중립국행 포로들에 대해서는 수용소 당국이나 포로들 사이에서 설득과 만류가 있었고 이는 포로들이 중립국행을 선택하는데 큰 장애물이었다. 마지막까지 이들을 만류하는 각국 정부의 접근이 있었고, 최종적으로 총 88명의 중립국행 포로가 나오게 되었다. 이같이 중립국행을 만류했던 이유는 포로들이 이송된 이후 그 관리를 책임질 당국이 정해져 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요컨대 포로의 중립국행은 충분히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선택할 수 없었고, 이는 더 많은 포로들이 중립국행을 갈 수 있었다는 점을 시사했다. 1954년 2월, 88명은 인도로 이송된 후 인도군 관리 하에 최종 정착국이 정해질 때까지 약 2년간 인도에 머물렀고, 이후 브라질, 아르헨티나, 미국 등지에 머물렀다. 그 중 대한민국이나 북한으로 재송환되었던 포로들도 발생했는데, 그 과정에서 대한민국의 접근 방식은 이 포로들이 스스로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방식과도 연관이 깊었다. 88명의 전체 중립국행 포로들 중 한국인이라고 볼 수 있는 포로들은 총 77명이었다. 지금까지 이들 포로의 수는 76명으로 알려져 왔으나 선행 연구와 자료를 살펴보면서 숫자가 일치하지 않음을 발견했고 결국 77인임을 확인했다. 이를 기반으로 포로심문보고서를 검색해서 10명의 보고서를 찾아냈고, 이와 함께 인터뷰, 기반으로 이들의 배경 및 경력을 추출했다. 이를 통해서 이들이 상대적으로 교육 정도가 높은 이들이었다는 점과 전쟁기간동안 수용소에서 힘든 상황을 겪었다는 점을 밝혔다. 중립국행 포로의 발생 과정을 세밀히 분석한 결과 이들의 선택이 곧 이념이나 체제 선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다. 이들의 선택은 대한민국과 북한을 모두 거부했던 것이었지만 그것이 반드시 이념적 중립으로 해석될 수는 없었다. 오히려 이들은 체제 경쟁에서 벗어나고자 먼저 전쟁을 포기하고, 그리고 끔찍했던 수용소를 도망친 사람들이었다. 게다가 이들이 생각했던 ‘중립국’은 ‘외국’에 가까웠다. 그리고 분명 이들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의미의 진정한 자원 송환을 원하고 있었다. 이 지점에서 중립국행 포로는 한국 전쟁 포로의 자원 송환 원칙과 송환 거부 포로 대한 깊이 있는 이해에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