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형용-
dc.contributor.authorDong, Liyang-
dc.creatorDong, Liyang-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0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4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3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48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중 양국 파생어를 비교하고 두 언어의 접두 파생어와 접미 파생어의 형태적 및 의미적 측면에서 대조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두 나라에서 쓰이는 한자 파생어를 대상으로 품사유형 및 의미유형을 밝히면서 그 동안 언급되지 않은 공통어기를 지닌 파생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이에 대해 의미 분석 및 특징을 제시해 보았습니다. 제Ⅱ장에서는 한·중 파생어의 개념과 설정기준에 대해 살핍니다. 우선 현대 한·중 양국의 파생어에 대한 연구를 하기 위해서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어근, 어간, 어기의 개념을 제시합니다. 이에 따라 파생어는 어기와 접사를 결합하는 단어라고 규정합니다. 그 다음에 접사의 개념 및 설정기준을 정립하여 이에 따라 한·중 양국에서 접사의 목록을 제시하고 설정기준도 다시 정립하였습니다. 제Ⅲ장에서는 접두 파생어의 분류에 대해 '품사유형에 따라 분류된 접두파생어, 의미유형에 따라 분류된 접두파생어 및 공통어기를 지닌 접두파생어'등 세 부분으로 설명하였습니다. 품사유형에 따라 분류된 접두 파생어에서는 한국어에서와 중국어에서 대표성 및 사용빈도가 높은 접두파생어를 선택하여 품사별에 따라 다시 파생명사, 파생동사, 파생형용사, 파생부사를 분류합니다. ‘의미유형에 따라 분류된 접두 파생어’에서는 한·중 공통 쓰이는 접두 파생어를 대상으로 하여 의미유형에 따라 '유정물과 무정물 관련 접두파생어'그리고 '부정의미과 관련 접두파생어' 로 나눕니다. '유·무정물 관련 접두파생어'에서는 접두사 그 자체의 의미 및 그에 의해 형성된 파생어를 통하여 유정물이나 무정물로 분류합니다. 앞에서 제시하는 구체적인 예를 통하여 한·중 동일 의미를 가지는 접두사, 이질 의미를 가지는 접두사를 제시하기도 합니다. ‘공통어기를 지닌 접두파생어’에서는 우선 공통어기를 지닌 접두사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한·중 공통어기를 지닌 접두사가 표로 제시하고 공통어기를 지닌 접두 파생어의 특징을 찾아냈습니다. 제Ⅳ장은 Ⅲ장의 연구방법과 비슷하여 '품사유형에 따라 분류된 접미파생어, 의미유형에 따라 분류된 접미파생어 및 공통어기를 지닌 접미파생어'등 세 부분으로 설명하였습니다. 품사유형에 따른 접미파생어에서는 파생명사, 파생동사, 파생형용사, 파생부사를 분류하며 ‘의미유형에 따라 분류된 접미 파생어’에서는 '유정물과 무정물 관련 접미파생어'와 '인칭과 관련 접미파생어' 로 분류하였다. ‘공통어기를 지닌 접미 파생어’에서는 우선 공통어기를 지닌 접미사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그 다음에 한·중 공통어기를 지닌 접미사가 표로 제시하고 공통어기를 지닌 접미 파생어의 특징을 제시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제Ⅳ장에서는 본문의 결론으로 조사결과 및 한 중 접사의 특징을 종합 귀납을 하여 다시 정리하겠습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derivatives and a contrastive analysis of prefix and suffix derivatives of two languages in morphologic and semantic aspects. It also examined word-class types and semantic types in Sino-Korean language, as well as systematic arrangement of arranged derivatives with common bases which have never been mentioned before, to achieve semantic analysis of the derivatives and show their features. Chapter Ⅱ explained the concepts of Korean and Chinese derivatives and their setting standards. First, it showed roots, stems and bases, which are basic and essential to study modern derivatives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 It also established the concepts of affixes and their setting standards, and showed lists of affixes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 in addition to their reestablished setting standards. Chapter Ⅲ divided prefix derivatives into three groups: 'those classified according to word class types and semantic types, and those with common bases.' First, according to word class types, there are derivational nouns, verbs and adverbs. According to semantic types, there are two groups: 'those related to animate and inanimate things' and 'those related to negative meanings,' which are commonly used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Moreover, For 'the prefix derivatives with common bases,' prefixes with common bases were first explained. Then, those with common bases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were made into table and their features were shown. Like Chapter III, Chapter Ⅳ divided prefix derivatives into three groups: 'those classified according to word class types and semantic types, and those with common bases.' For ‘the prefix derivatives with common bases,' suffixes with common bases were first explained. Then, those with common bases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were made into table and features of suffix derivatives were explained. Last, Chapter IV rearranged results of examination,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e main body, and features of Korean and Chinese affixes according to comprehensive indu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제기 및 연구목적 1 B.연구 범위 및 구성 2 C. 선행연구 검토 3 1.한국어 파생어에 대한 연구 3 2.중국어 파생어에 대한 연구 5 3.한국어와 중국어 파생어의 대조 연구 7 Ⅱ. 파생어의 개념과 범위 9 A.파생어의 개념 9 B.접사의 개념과 설정기준 12 1.접사의 개념 12 2.접사의 설정기준 13 C.접사의 목록 21 1.접두사의 목록 22 2.접미사의 목록 28 Ⅲ.한·중 접두 파생어 대조 37 A.품사유형과 의미유형에 따른 접두파생어 37 1.품사유형에 따른 접두파생어 37 2.의미유형에 따른 접두파생어 50 가.유정물과 무정물 관련 접두파생어 50 나.부정의미 관련 접두파생어 56 B.공통어기를 지닌 접두파생어 61 Ⅳ.한·중 접미 파생어 대조 64 A.품사유형과 의미유형에 따른 접미파생어 64 1.품사유형에 따른 접미파생어 64 2.의미유형에 따른 접미파생어 79 가. 유정물과 무정물 관련 접미파생어 79 나. 인칭과 관련 접미파생어 87 Β.공통어기를 지닌 접미파생어 96 1.접미사가 같은 경우 97 2.접미사가 다른 경우 98 Ⅴ.결론 102 참고문헌 105 ABSTRACT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933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한국어와 중국어의 파생어 대조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about derivativ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dc.creator.othername동여양-
dc.format.pagevii,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