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지연-
dc.contributor.author진미영-
dc.creator진미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9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3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909-
dc.description.abstract학교교육의 기본 목표는 학생의 학업과 행동을 발달시키는 것이다. 즉, 학생이 학교생활을 성공적으로 하는 데 있어서 학업과 행동은 가장 핵심적인 두 축을 이룬다. 최근 통합교육의 양적 확산과 질적 제고가 강조되면서 일반학급 상황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학생의 학업적, 행동적 어려움들은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들은 자기 자신의 수업참여뿐만 아니라 학급 전체의 수업을 방해하고 교사를 소진시킨다. 이러한 문제행동이 지속될수록 학업적 수행은 더욱 저조해지고, 그에 따라 학업적 저성취의 문제도 심각해진다.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들 대부분이 심각한 학업 문제를 동시에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지도하는 데 있어서 학업적 요구보다는 행동적 요구를 더 우선시함에 따라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 대상의 연구들은 행동 지원에 편중되어 왔고, 이들을 위한 학업 지원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자기조절 전략개발(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SRSD) 모델은 여러 장애 유형의 학생을 대상으로 쓰기와 관련하여 높은 중재 효과를 입증하여 왔으며, 최근 증거 기반의 실제(Evidence Based Practices; EBP)로서의 가치도 인정받고 있다. 특히 SRSD 모델은 쓰기에 대한 전략 개발과 함께 자기조절 절차에 대한 교수가 명시적으로 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정서․행동장애 및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학생에게 더욱 적합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초등 특수학급 학생들에게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를 실행하여 이것이 대상 학생의 글쓰기 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인천 시내 17개 공립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 22명으로, K-CBCL 점수, KISE_BATT 점수, 장애유형, 학년, 성별 등을 기준으로 짝짓기 기법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1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SRSD 모델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게는 SRSD 적용에 대한 안내나 정보 제공을 하지 않았다. 실험은 약 6개월 간 중재 준비, 사전 검사, 중재,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SRSD 쓰기 중재를 위한 준비 단계에서는 교사 연수와 관련 양식 협의가 이루어졌고, 실행 단계에서는 배경지식 개발하기, 토의하기, 시범 보이기, 기억하기, 협력적 쓰기, 독립적 쓰기의 6단계 SRSD 교수적 절차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였다. SRSD 반성적 쓰기 교수가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이 쓴 글을 사전과 사후에 각각 3편씩 수합하였다. 수합된 글들은 글에 포함된 내용요소의 수와 어절 수를 세고 글의 질을 채점하여 각각의 평균을 산출하였다. 평균 점수의 사전․사후 차이에 대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각 1회의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차이와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차이에 대하여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의 변화에 대해서는 캠코더로 녹화된 수업 장면을 직접관찰한 결과와 교사가 작성한 행동평가일지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직접관찰에 의한 수업참여행동 발생률과 행동평가일지에 의한 수업참여행동 평정 점수는 사전․사후 각 2회의 결과에 대하여 평균을 산출하였다. 실험집단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이 사전과 사후에 유의한 차이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과 받지 않은 통제집단의 글쓰기 능력은 글에 포함된 내용요소의 수, 어절 수, 글의 질 점수의 사전․사후 평균을 비교한 결과 세 가지 하위 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집단의 글쓰기 능력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과 받지 않은 통제집단은 자기효능감의 변화 정도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로 향상되었다. 셋째, 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의 수업참여행동이 사전과 사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접관찰의 결과와 행동평가일지의 결과 모두 중재 후의 수업참여행동이 중재 전에 비해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하위영역에 있어서는 직접관찰의 결과는 지시 따르기, 주의집중 하기, 과제수행 하기 영역 모두 향상되었으나, 행동평가일지의 결과에서는 지시 따르기와 과제수행 하기 영역은 향상되었으나 주의집중 하기에서는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가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글쓰기 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수업참여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외국 선행연구에서의 SRSD 모델을 국내 초등 특수학급 학생에게 적합한 형태로 적용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말의 음운 특성과 특수학급 학생의 인지적 특성에 맞추어 SRSD 모델의 교수 전략과 자료를 변형하여 적용하였고, 그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적 어려움과 행동적 문제를 동시에 다룰 수 있는 중재 방안으로서 SRSD 모델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The fundamental goal of education in school is to develop students' learning and behavior. These two are the most essential core components for students to lead a successful school life. As the quantitative spreading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inclusive education have been emphasized, students’ academic and behavioral difficulties to be taken care of in general classroom situation are getting highly diversified. In particular, students with externalized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not only have difficulties in their classroom engagement but also disrupt the whole classroom atmosphere, and exhaust their teachers. As problematic behavior continues, the students show poorer academic performance and subsequent low academic achievement issue is getting serious. Although students who exhibit externalized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have low academic achievement issue at the same time, behavioral approach has been prioritized over academic approach and accordingly,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externalized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while very limited research has been done on academic interventions. In connection with this,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SRSD) model has been proved as a highly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in terms of writing for students with a variety of disorders and recently, its usefulness as evidence based practice (EBP) was acknowledged. The SRSD model has been proved particularly appropriate for students with or at risk for emotional or behavioral disorders (EBD), as it explicitly combines self-regulation procedure and writing strategy developmen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influences that reflective writing instruction based on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may have on the writing ability, self-efficacy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students having externalized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in elementary special classrooms. The participants were 22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ttended 17 special classroom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y 11 people in each group, through a pairing process based on their K-CBCL scores, KISE_BATT scores, type of disabilities, grade, and gender. The SRSD model was applied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no information or guidance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about 6 months in the order of intervention preparation, pre-test, intervention, and post-test. In the preparation phase, teacher training and relevant format discussion were conducted, and in the intervention phase, instruction was given according to the 6-step SRSD instructional process; background knowledge developing, discuss it, model it, memorize it, support it, and independent performance. In order to investigate influences that SRSD-based reflective writing instruction may have on the writing ability of the participants, 3 writing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collected writing samples were evalu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content elements and the number of words and by scoring the quality of writing to calculate their average scores.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see if there is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changes of writing ability. Self-efficacy tests were give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an independent t-test for two independent samples was performed regarding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in experimental group and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in control group. For changes i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data obtained from directly observing a classroom scene through the video clips and from daily behavior report cards completed by teachers were analyzed. Direct observations and teacher ratings o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were conducted twic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their average scores were calculated. T-test for a dependent sample was carried out to examine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th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riting ability, evaluated by comparing average scor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content elements contained in their writing, the number of words, and the quality of the writing, in experimental group where reflective writing instruction based on SRSD model was giv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ontrol group, in all of three categories. It is verified that the writ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 of self-efficacy between experimental group where reflective writing instruction based on SRSD model was given and control group. In other words, the self-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enhanc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room engagement behavior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in experimental group. Both direct observations and teacher ratings verified that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after intervention was improved in a significant level. For sub-testing category evaluation, direct observation results showed that following instruction, paying attention, and performing tasks were all improved, but teacher rating results only showed the improvement of two sub-testing areas, i.e., following instruction and performing tasks, and paying attention area didn’t exhibit any significant improvement. SRSD writing instruction in this research was design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at the same time it was modified according to Korean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reflective writing instruction based on SRSD model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writing ability, self efficacy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students with externalized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in elementary special classrooms.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is proposing the usefulness of SRSD model as an intervention procedure capable of addressing the academic difficulties as well as behavioral problems of students in elementary special classroo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C. 용어정의 7 II. 이론적 배경 10 A. 문제행동과 자기조절 10 1. 문제행동의 유형 10 2. 문제행동과 자기조절 능력의 관계 13 B. 자기조절 전략개발(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SRSD) 모델 15 1. SRSD 모델의 개관 15 2. SRSD 관련 선행연구 고찰 36 C.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을 위한 학업적 지원 42 1. 학업 중재의 필요성 42 2.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쓰기 44 III. 연구방법 54 A. 연구 참여자 54 1. 초등 특수학급 학생 54 2. 특수교사 57 3. 보조연구자 61 B. 실험장소 62 C. 실험기간 63 D. 독립변인: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 63 1. 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의 준비 64 2. 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의 실행 68 E. 종속변인 측정 82 1. 글쓰기 능력 82 2. 글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 86 3. 수업참여행동 86 F. 실험설계 및 절차 90 1. 실험설계 90 2. 실험절차 91 G. 사회적 타당도 96 H. 중재충실도 98 I. 채점자 및 관찰자 간 신뢰도 101 J. 자료 처리 방법 103 IV. 연구 결과 105 A.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의 적용이 글쓰기 능력에 미친 영향 105 1. 글에 포함된 내용요소의 수 105 2. 글의 길이 106 3. 글의 질 107 B.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의 적용이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 108 1. 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 검사 108 C.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의 적용이 수업참여행동에 미친 영향 109 1. 직접관찰에 의한 수업참여행동 109 2. 행동평가일지에 의한 수업참여행동 110 V. 논의 및 제언 116 A. 논의 117 1.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의 적용이 글쓰기 능력에 미친 영향 117 2.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의 적용이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 125 3.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의 적용이 수업참여행동에 미친 영향 128 B. 연구의 제한점 136 C. 제언 137 참 고 문 헌 139 부 록 162 Abstract 1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741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자기조절 전략개발(SRSD)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가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글쓰기 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elf-Regulated Strategies Development(SRSD) Instruction for Reflective Writing on the Writing Ability, Self-Efficacy,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y who Exhibit Externalized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
dc.creator.othernameJin, Mi Young-
dc.format.pagexiv, 19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