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9 Download: 0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강남지역 학부모의 의사결정 분석

Title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강남지역 학부모의 의사결정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Gangnam Parents' Decisions Making of the Private Music Education Programs
Authors
한송이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or considerations that the parents in Gangnam area, Seoul use in selecting or composing their children's private music education programs and the characteristics observed in supporting their children's music education. The main areas of this research include the following: First, how can we categorize private music education in the Gangnam area into different types based on the objectives that the parents have? Second, in the process of composing a private music education program for their children, what are the decisions that the parents make, and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decisions? Thir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port offered by the parents who compose and manage their children's private music education programs? Fourth, what are the ro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community in relations to private music education? Fifth, what are the notable points we can mak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o initiate parents' participation in education and build up public policy regarding private education? In the present study, the participation-observation method and the interview method were adop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as the main method. From the interviews with the parents, meaningful statements, themes, theme groups, and categorie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several different types of private music education in the Gangnam area in terms of objectives, expectations, or attitudes of the parents towards the education: (1) The "basic education" type (where the parents believe that music education is limited to the basic training that a child should get during the elementary school years) (2) The "academic achievement" type (where the parents believe that music education can help the children get good grades at school and/or prepare them for study abroad); (3)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ype (where the parents believe music education is for entering a reputable university as a music major); and (4) the "life-long education" type (where the parents focus on the long term objective of enriching the children's life with cultural experience). Second, since private music education tends to not have a commonly adopted formal curriculum, parents have to make their own decisions through consultation with instructors and sometimes with the help from other parents in the community. The decisions that the parents make include, among others, (i) level of objective for the education (among the "objective types" mentioned above), (ii) type of musical instrument(s), and (iii) instructors. Various factors are considered in making each decision and the education objectives play some role in most of the decisions that the parents have to make. Third, the parents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to support the education, such as setting up environments for education, managing the schedule and time, and collecting information regarding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in order to provide support to their children in undertaking private education programs. The details and degrees of support that the parents provide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objective types" explained above. In the case of "basic education type," only minimal support is provided. In the case of "academic achievement type," the parents tend to get deeply involved and even control the contents and the schedules of the music education in light of school exam schedules. In the case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ype," although the parents actively provide support, they respect and trust the instructor's decisions. In the case of "life-long education type," since the parents' focus is to set up an environment for music education, such as sending their children to music concerts or buying music CD, their support is provided in a more relaxed manner. Fourth, in the Gangnam area, the parents’ commun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when it comes to private education. The parents' community in this area tends to be a closed one where high-value information is shared only amongst them and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ciding the types of music education and the management of that education. The limited nature of the information on music education is one of the causes for such tendencies. Notable points found in the activities of Gangnam parents related to their children's music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s for and the types of private music education are diverse. While the parents consider the competition in the college entrance exam as an important factor on the one hand, they also value their children's personal growth. In that regard, the private education can supplement the deficiencies of public education. Second, another factor related to the variety of private music education is the "educational fever" of the parents. On one hand, this fever is the result of the parents'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ir children, but on the other hand, it may be an expression of the parents' desire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for the purpose of saving their own face or boasting. Third, one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variety of private music education is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of the value of music education. Generally the parents consider the instrumental values (or, short-term values), such as the success in entrance examinations, as more important. However, some parents consider the internal values (or, long-term values) of music as being more important. In the case of private education, achieving the long-term goal of providing the children with cultural enrichment should be encouraged and supported rather than suppressed simply because it is "private" education. Fourth, the competitive strategies of the parents focused on the college entrance competition include (i) "Not lagging behind" and (ii) "Moving ahead." The former one is based on anxieties about lagging behind others, and can work as a strategy for expanding a specific private education made for a minority group into a prevalent one. The latter strategy can work in making new types of private education, which includes "advance-study" strategy, early education strategy, and specialization strategy. Fifth, the parents’ community plays a critical role in deciding the contents of the private music education. The information shared in such a community acts as a practical guideline with respect to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private education, although some information is inaccurate. By initiating public sharing of information within and between communities, parents can overcome the limitation of access to information caused by the closed nature of the existing communities, which can alleviate some of the problems of private education. As explained abo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selection of and support for private music education by the parents in the Gangnam area. According to the study, the music education in this area is categorized into diverse types, and parents' supports are clearly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type. Music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up cultural sensitivity and attainment of the students around the time of entrance to elementary school. The methods for strengthening public education and reducing private education should be sought after by initiating better art education in the public school system.;이 연구는 서울 강남지역의 유⋅초⋅중학교 학부모들이 자녀의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또는 구성하는 데 있어서 보여 주는 제반 의사결정 및 판단의 내용과 그 특징, 그리고 자녀의 음악 사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활동들의 내용과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남지역 음악 사교육은 학부모가 갖는 교육목표 의식에 따라 어떻게 유형이 구분되는가? 둘째,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학부모가 내리는 의사결정의 내용은 무엇이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을 위한 학부모 지원활동이 갖는 특징은 무엇인가? 넷째, 음악 사교육 관련 학부모 커뮤니티의 기능과 특성은 무엇인가? 다섯째, 이러한 연구결과가 교육에서의 학부모 참여 활성화 및 사교육 대응 정책 수립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는 참여관찰과 면접법이 이용되었으며, 주로 심층 면담에 의해서 행해졌다. 대상자와의 면담 내용으로부터 의미 있는 진술과 주제, 주제모음, 그리고 범주 등을 이끌어 내어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남지역 음악 사교육은 학부모가 추구하는 음악 사교육의 목표나 기대 수준,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등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기본교육형‘은 음악교육을 반드시 시켜 주어야 할 기본적 경험으로 받아들이되 초등학교에서 종료가 된다. 이는 '전공할 것이 아니니 음악의 기본만 시켜 주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으로 음악교육이 주지교과 학습에 지장을 초래한다고 판단될 경우 중단하게 된다. ‘내신관리형‘은 학교의 음악교과 성적을 높여주는 데 목적을 두는 음악 사교육으로써, 학교에서 실시하는 음악교과의 시험 대상이 되는 악기연주 실기시험이나 이론시험 대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이 유형에는 자녀에게 외국 유학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음악교육 관련 경력을 쌓도록 하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 ‘전공교육형‘은 음악을 전공으로 선택하고 명문대학에 진학할 것을 목표로 하는 입시 위주의 사교육으로써, 경제적 부담을 수반한 강도 높은 전문교육이 이루어지는 사교육 유형이다. ‘평생교육형‘은 음악의 내재적 가치를 중시하는 유형으로 단기적 효과를 추구하기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지속적인 지원을 하여 자녀들에 대한 삶의 질 제고를 추구하는 유형이다. 이상의 음악 사교육 유형 결정에는 자녀의 음악적 재능이나 음악에 대한 태도 등도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이와 같이 음악 사교육의 유형은 다양하고 추구하는 목표의식이나 지원활동 등에서 유형별로 차이가 있다. 둘째, 학부모들이 자녀의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의사결정을 내리게 된다. 음악 사교육의 경우, 다른 교과 영역과 달리 단계별로 정형화된 공통적인 프로그램의 기준이 없는 관계로 학부모가 중심이 되어 의사결정을 하게 되는데, 이때 학부모들은 강사와 협의를 하거나 또는 학부모 커뮤니티의 도움을 받기도 한다. 음악 사교육을 시키는 학부모들이 내려야 하는 의사결정의 과제는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과제들이 포함된다. 먼저, 학부모들은 음악 사교육을 어떤 수준, 어떤 유형으로 시킬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자녀가 음악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을 갖추는 정도만 할 것인가, 아니면 학교 내신성적에 도움이 되는 정도로 음악을 배우도록 할 것인가, 대학에서 음악을 전공하게 할 것인가, 또는 음악을 평생 즐기도록 할 것인가 등 목표의식을 어디에 둘 것인가를 고려하여 음악 사교육의 방향을 정한다. 이를 음악 사교육의 유형별로 구분해 보면 ‘기본교육형‘의 경우 대체로 큰 고민 없이 결정을 내린다. 반면에 ‘전공교육형‘이나 ‘내신관리형‘의 경우에는 다양한 가능성을 비교하면서 자녀의 입시경쟁에 더 유리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더 신중한 과정을 거쳐 의사결정을 내린다. 음악 사교육의 유형을 정하게 되면 그 다음은 무슨 악기를 배우도록 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악기 선택에 있어 ‘전공교육형‘ 이외의 유형에서는 피아노, 관⋅현악기 중에서도 기본적인 악기가 중심이 된다. 이때 학부모 커뮤니티의 조언을 바탕으로 자녀의 성격이나 소질과의 적합성, 내신성적 관리에 대한 도움 여부 등을 고려한다. ‘전공교육형‘의 경우에는 어릴 때부터 익숙하게 연주해왔던 악기를 선택하는데 궁극적으로는 대학입시에서의 경쟁력을 더 중시한다. 악기 선택과 함께 중요한 의사결정의 과제는 실제로 교육을 담당할 강사를 선정하는 것이다. 특히 ‘전공교육형‘의 경우 강사 선택에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다. 주변의 추천을 받거나 학부모 스스로 전문 연주자들을 만나는 등 우수한 강사를 찾기 위해 적극 노력을 한다. 또한 강사의 교육역량, 인지도, 경력 및 전문성, 특히 입시 정보와 입시전략에 대한 전문성이 강사 선택에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전공교육형‘ 과 달리 ‘비전공교육형‘의 경우에는 음악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수준의 강사 또는 강남지역에서 이미 레슨을 하고 있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한다. 이 경우 자녀의 바쁜 스케줄 맞추기, 레슨시간 정확히 지키기, 자녀 성향, 자녀와의 관계 등을 함께 고려한다. 셋째, 학부모는 자녀가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학습 환경조성, 일정 및 시간 관리, 입시정보의 수집과 관리 등 다양한 지원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지원활동의 내용이나 적극성의 수준은 음악 사교육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기본교육형‘의 경우 거의 방임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소극적인 수준에서만 지원활동이 이루어진다. 반면 ‘내신관리형‘의 경우 학교 시험 일정에 따라 음악 사교육의 구체적 내용과 시간을 조정하는 등 학부모가 적극적인 코치의 역할을 수행한다. 심한 경우, 학부모들은 자녀의 의사와 관계없이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며, 강사의 교수법이나 레슨 진도 등 레슨활동에 관여하기도 한다. ‘전공교육형‘의 경우 학부모의 지원활동은 매우 적극적이며 강사의 의견을 존중하고 절대적으로 신뢰하는 편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학부모가 연습 내용을 확인하는 등 실기 보조교사의 역할까지 수행하게 된다. ‘평생교육형‘의 경우, 학부모는 음악회 참석, CD 구입 등 음악교육에 도움이 되는 환경조성에 중점을 두며 여유를 갖고 음악 사교육을 지원한다. 넷째, 음악 사교육에 대한 의사결정에 있어서 학부모 커뮤니티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 지역사회의 특성상 학부모 커뮤니티와 같은 인적 네트워크가 잘 구축되어 있다. 강남 학부모들은 인맥과 경제적 뒷받침으로 인해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제든지 필요하면 전문적인 강사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가지고 있다. 학부모 커뮤니티는 폐쇄적 연결망을 통해서 자신들만의 고급 정보를 교류하면서 서로 협력하고 함께 고민을 나누는 장이 되고 있다. 또한 이 학부모 커뮤니티는 음악 사교육의 유형을 결정하거나 운영 방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는 음악교육과 관련한 정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학부모 커뮤니티는 예술학교 커뮤니티, 강사 중심 커뮤니티, 아파트 커뮤니티, 일반학교 커뮤니티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강남지역 학부모의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선택 행위의 특징에서 찾아볼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사교육의 동기와 유형이 다양하다. 자녀의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함에 있어서 학부모들은 입시경쟁의 측면을 고려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자녀의 교육적 성장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와 같은 교육적 관점에 의해 이루어지는 사교육은 공교육의 부족함을 보완하는 성격을 갖는다. 둘째, 음악 사교육의 유형을 다양하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인 학부모의 교육열이 갖는 다면적 특성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교육열은 자녀의 교육적 성공을 위해서 학부모가 갖는 책임의식으로부터 비롯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학부모의 체면유지나 자기과시를 위해 자녀의 교육적 성공을 추구하고자 하는 열망으로부터 비롯되기도 한다. 셋째, 음악 사교육의 유형을 다양하게 하는 또 하나의 요인으로 음악교육의 가치에 대한 관점의 다양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학부모들은 대학입시에서의 성공과 같은 수단적 가치, 단기적 가치를 중시하지만 일부 학부모의 경우 음악의 내재적 가치, 장기적 가치, 즉 음악을 통한 심성의 함양이나 교양 함양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이기도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 기초한 사교육의 경우 억제하기보다는 오히려 권장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들이 적극적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넷째, 입시 경쟁에 초점을 두는 학부모의 경쟁 전략으로 ‘뒤처지지 않기 전략’ 과 ‘앞서 가기 전략’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는 뒤처짐에 대한 불안감에 기초한 소극적 전략으로써 일부 집단에서 시작한 사교육을 널리 확산되게 만드는 전략으로 작용한다. 후자는 새로운 유형의 사교육을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선행학습 전략, 조기교육 전략, 특성화 전략 등이 이에 포함된다. 다섯째,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의 실제적 내용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학부모 커뮤니티가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들 커뮤니티에서 공유되는 정보들은 학부모의 사교육 활동을 이끌어 가는 실제적 지침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 중에는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정보에서부터 잘못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된다.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공적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킨다면, 폐쇄적인 커뮤니티로 인해 나타나는 정보 접근의 제약성을 극복해 나갈 수 있을 것이며, 사교육의 부정적 문제점들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이 연구는 서울 강남지역 학부모들의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 구성, 선택 및 지원활동을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 지역 음악 사교육은 다양한 유형을 보이고 있으며, 각 유형별로 학부모의 지원활동과 태도가 뚜렷하게 차이가 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악교육은 초등학교 입학 전후 시기에 감성능력과 문화적 소양을 기르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학교교육에서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통해 사교육을 줄이고 공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