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0 Download: 0

여대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다중역할계획태도의 매개효과

Title
여대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다중역할계획태도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Identity and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in the Relation between Ego-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Authors
김은석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전 연구들에서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가 일정하지 않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들 변인들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대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다중역할 계획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즉, 자아정체감이 높은 여대생은 진로에 대한 자기상이 뚜렷하여 그로 인해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이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자아정체감이 높은 여대생은 앞으로 다가 올 다중역할에 대하여 현실적으로 인식하고 잘 계획되어 있어서 그로 인해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다중역할 계획에 대한 태도가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총 380명을 대상으로 자아정체감 척도, 진로정체감 척도, 다중역할 계획에 대한 태도 척도, 진로결정수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65명의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다중역할 계획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를 각각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다중역할 계획에 대한 척도의 하위차원 중 지식/확신성 차원만이 진로결정수준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Baron과 Kenny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 매개변인과 종속변인간에 유의한 관계가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므로, 다중역할 계획에 대한 태도 중 지식/확신성 차원을 매개효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다중역할 계획에 대한 태도 중 지식/확신성 차원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 여자대학생이 진로를 결정할 때, 자아정체감이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며 두 변인 사이를 진로정체감과 다중역할 계획에 대한 태도 중 지식/확신성 차원이 각각 매개함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여대생들의 자아정체감 수준이 진로정체감 수준을 통해 진로결정수준을 설명함을 의미하며,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을 때 진로정체감 수준이 높아지고 결국에는 진로결정수준을 높여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다중역할 계획에 대한 태도 중 지식/확신성 차원을 통해서 자아정체감 수준이 진로결정수준을 설명함을 의미하며,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을 때 다중역할 계획에 대한 태도 중 지식/확신성 차원의 수준이 높아지고 결국에는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상담 장면에서 진로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여대생들에 대한 효과적인 조력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즉, 여대생들의 진로 상담에서 자아정체감 발달을 촉진시킬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진로에 대한 정체감을 확립하고 다중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어떤 계획과 준비가 필요한지 알고 여러 방법들을 준비할 수 있다고 확신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자신의 진로 선택에 대한 확신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The present study started from the inconsistent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 between ego-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and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which had been known as important variables in woman's career development, in the relation between ego-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hundred and eighty female undergraduates enrolled in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questionaire was composed of the Korean Version of Ego-Identity Scale, the Koren Version of Vocational Identity Scale, the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Scale,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Scale which is made up of a reverse score of the Korean Career Indecision Inventory. Ultimately three hundred and sixty five vali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1986).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knowledge/certainty of the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 level whereas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other subordinate variables of the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and career decision level for female participants. According to Baron and Kenny, to establish mediation the mediator must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 Therefore, only the knowldge/certainty subscale was used for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career ident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go-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result also showed that the knowledge/certainty of the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ego-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se research findings implied that promoting to achieve ego-identity development, to accomplish identity related to their career, and to prepare for multiple roles would be effective in supporting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difficulties in deciding their career. Final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mplications in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career counseling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addre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