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4 Download: 0

위험 커뮤니케이션에서 메시지 프레이밍, 수용자의 전문성 여부, 위험 유형이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위험 커뮤니케이션에서 메시지 프레이밍, 수용자의 전문성 여부, 위험 유형이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Message Framing, Expertise and the Type of Risk on Risk Perception in Risk communication
Authors
김효진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욱
Abstract
오늘날 위험(risk)은 과학기술의 발달과 동반하여 성장하고 있는 사회의 전형적인 특징이다(Crouch & Wilson, 1983). 산업화의 진전에 따라 자연 재해의 비중이 낮아지고 현대사회는 풍요와 편의를 누리게 되었다. 반면 기술의 발달로 인한 과학기술위험의 비중이 증가하게 되었고, 사회는 과학기술에 따른 위험을 감수 해야만 한다(김영평, 최병선, 소영진, 정익재, 1995; 김영평, 1995). 이와 같은 과학 기술이나 위험에 대한 소통을 다루는 위험 커뮤니케이션은 일반인과 전문가의 소통 형태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해 왔다. 오늘날의 위험커뮤니케이션은 개인의 주관적인 가치 평가적 속성을 지닌 위험인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일반인과 전문가의 쌍방향 소통을 중요시하는 단계에 있다. 그러나 일반인과 전문가의 쌍방향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데 서로 다른 인식차원으로 의사소통하기 때문이다(Leiss & Chociolko, 1994).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위험인식이 어떠한 요소에 의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 그 요인들이 위험인식 과정에서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지 파악하는 일이 중요하다. 위험인식에 대한 연구는 Kahneman 과 Tversky(1984)의 예상이론을 중심으로 많이 진행 되었다. 예상이론은 메시지의 프레이밍에 따라 인식이 달라진다는 것을 전제로, 확실한 결과를 추구하는 메시지 수용자의 특징에 의해 위험을 수용하거나 회피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위험인식은 메시지 수용자의 전문성 여부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는데 Sjöberg(1999)는 일반인과 전문가의 위험인식의 차이가 나는 원인을 11가지로 제시했다. 위험인식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주제와 유형으로 진행되었는데, 연구들을 살펴보면 위험 유형에 따라 인식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과학기술위험에 대한 위험인식 관련하여 방사선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기술을 이용한 위험 유형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에서 메시지 프레이밍과 수용자의 전문성여부, 위험유형이 위험인식과 수용 및 회피 과정에서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지 알아보고 더불어 각 요소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2(메시지 프레이밍: 손실/ 이익) x 2(위험 인식 집단: 일반인 / 전문가) x 2(위험의 유형: 방사선 식재료 살균 / 방사선 암치료)의 실험설계를 하였다. 메시지 프레이밍과 위험 인식집단은 실험 집단 간(between-subject)이고 방사선 이용사례는 실험 집단 내 (within-subject)설계이다. 피험자는 전문가 그룹과 일반인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의 그룹은 손실 메시지와 이익 메시지 설문지를 응답하는 총 4개의 그룹으로 구성하고 손실과 이익으로 프레이밍 된 기사 형식의 설문지를 이용한 실험 설문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상호작용효과를 요약해보면 위험의 이익의 정도를 인식 할 때 프레이밍 유형, 수용자의 전문성 유무, 그리고 위험 유형의 세 요소에서 서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고, 위험의 회피에 대해서 위험 유형과 전문성 여부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주 효과의 결과는 첫째, 메시지가 제시하는 위험의 유형에 따라 일반인과 전문가의 위험을 친숙하게 인식하는 정도와 위험 회피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수용자의 전문성 여부에 따라서는 위험의 이익을 인식하는 정도가 달라졌다. 셋째, 위험 유형과 전문성의 여부에 따라 위험 수용 정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메시지 프레이밍 만으로는 위험인식이나 수용 및 회피에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위험의 이익에 대한 인식에서 프레이밍과 위험 유형에 따라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함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인식에 있어서 프레이밍과 수용자의 전문성 여부, 그리고 위험 유형의 상호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실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둘째, 학제간 이론적 연결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오늘날의 위험 논의에서 중요시 되는 주관적이고 가치 평가적인 속성 및 위험 개념의 인식론적 차원을 경제학에서 사용되는 예상이론(Kahneman, Tversky ,1979)의 확률성과 주관적인 판단요소와 접목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셋째로 본 연구는 오늘날 위험커뮤니케이션에 중시하는 수용자 중심, 그리고 인식(perception)중심의 연구를 진행했으며 주관적이고 가치 포함적인 위험인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라는 는 데서 학문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한편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첫째, 위험 커뮤니케이션에서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또한 그 요소는 무엇인지 밝혔다는데 의미가 있다. 연구는 일반인과 전문가의 위험 인식 및 수용과 회피가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이는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서로의 차이점을 인정하고 그 차이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와 공중의 공론의 장을 통한 쌍방향적 의사 소통을 하려는 노력을 해야 함을 시사한다.;Risk communication h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yle between the public and experts. Although th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experts and the public are being emphasized these days, there is one-way communication in many cases. The reason is that experts and the public communicate in different levels of risk perception. This is why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factors and differences on their risk percep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teractive effects of message framing, expertise and the risk type on risk perception as well as to evaluate the interactive effects of them on risk taking and risk avers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experiment research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Prospect Theory” of Kahneman and Tversky (1979). Although the theory explains actual risk taking behaviors of humans under an uncertain risk and is being broadly utiliz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in the risk communication area.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mong 140 experts and 140 non-experts, divided into four (4) groups. Each group had 70 people, and they were exposed to experimental scenarios (loss and gain framing). The subjects answered the measurement questions about personal risk perception, risk taking and risk aversion. The experimental result was statistically verified through the repeated measurement ANOVA. The result of main effects is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the risk type that a message delivers, experts and non-experts showed difference in how much they perceive the risk familiar and engage in risk aversion. Second, depending on their expertise, recipients showed different degrees of risk benefit reception. Third, the type of risk and the existence of expertise determined the degree of risk taking. Though message framing alone did not decide any difference in risk perception nor risk aversion, message framing and the risk type drew difference in risk benefit perception from experts and non-experts. Academic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specifically demonstrates the interactive effects of framing, expertise and the risk type on the risk perception. Second, the study applies economics to risk communication. This interdisciplinary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links economics Prospect Theory to risk communication to practically prove three factors of the risk perception: subjectivity, probability and value evaluation. Third, the study is carried out in recipient-centered and perception-centered ways, which are being emphasized in today’s risk communication. Furthermore,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n empirical study on subjective, value-inclusive risk perception.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e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and the factors of the difference between experts and the public in risk communication. The study shows that in communication risk taking and risk aversion can vary between experts and non-experts. This signifies that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hrough public discussion between experts and the public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difference and resolve problems arising from such ga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