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09 Download: 0

젠더감수성(Gender Sensitivity)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젠더감수성(Gender Sensitivity)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veloping Gender Sensitivity Measurement
Authors
이진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재경
Abstract
지난 수십 년 동안 한국 사회는 성차별을 극복하고 성 평등을 지향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마련해왔으며, 현재 공식적이고 노골적인 성차별주의는 다소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비공식적이고 암묵적인 성차별과 성 고정관념은 여전히 한국 사회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성차별과 관련하여 우리 사회의 제도와 의식 사이의 격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인데, 이와 관련하여 형식적인 성 평등 수준의 달성이 아니라 일상적이고 실질적인 성 평등의 확산을 위해 새롭게 등장한 개념 가운데 하나가 바로 젠 더 감수성(gender sensitivity)이다. 젠 더 감수성은 젠 더 이슈를 감지하는 능력으로서, 젠 더 간 차이를 인지하는 것에서부터 그 차이들이 미치는 영향, 즉 성차별과 젠 더 불평등을 인지하는 것까지 광범위한 능력을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 젠 더 감수성은 한국 사회의 특정한 정책적 맥락에서 성인지성 또는 성인지력이라는 용어로 번역되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젠 더 감수성 개념을 좀 더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차원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젠 더 감수성에 대한 여러 관점들을 정리하고, 젠 더 감수성이 어떤 차원의 개념인지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기존 젠 더 감수성 또는 성인지성 논의를 검토하고, 다른 종류의 감수성 연구들을 참고하여 젠 더 감수성을 재 개념화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젠 더 감수성을 일상적인 성차별주의와 젠 더 이분법에 대해 정서적인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정의하고, 이에 기초하여 젠 더 감수성 측정도구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젠 더 감수성 측정도구의 개발은 젠 더 감수성이 계량화하기에 적합한 개념이기 때문은 아니다. 많은 여성주의자들은 기존의 양적 연구방법론이 여성들의 경험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함을 지적해왔다. 몇몇 여성주의자들은 양적 방법의 사용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지만, 양적 방법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여성주의자들은 양적 연구방법론에 비판적으로 개입하여 기존 양적 연구방법론의 내용과 형식을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재구성하는 등 양적 방법론의 발달에 기여해왔다. 본 연구는 여성주의자들이 양적 방법론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을 때 양적 방법으로 생산된 지식은 여성들의 경험을 왜곡하거나 성차별적인 이데올로기를 생산하고 유지시킬 수도 있다는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젠 더 감수성이라는 매우 질적이고 정서적인 차원의 개념을 계량화하여 측정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결과 젠 더 감수성의 구성요소에 대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젠 더 감수성은 성 정체성에 대한 개방성, 자기성찰, 비폭력, 성 역할에 대한 개방성의 4개 요인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양적 방법으로 측정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어왔던 정서적 차원에 대해서도 여성주의자로서 양적 연구를 했을 때 연구물음, 연구과정, 연구결과의 해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성 정체성에 대한 개방성과 성 역할에 대한 개방성이 분리되었을 뿐만 아니라, 성 정체성에 대한 개방성 요인이 전체 젠 더 감수성의 가장 많은 부분을 설명하고 있는 반면 성 역할에 대한 개방성 요인이 가장 적은 부분을 설명하고 있는 것은 젠 더 감수성에 대한 논의가 성 역할 이데올로기에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여성과 남성 간 차별의 문제뿐만 아니라 이성애중심주의 및 양성체계를 전제하는 젠 더 이분법에 대해 적극적으로 문제 제기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젠 더 감수성은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개념으로서, 예를 들어 성 역할에 대한 개방성은 높은 반면 성 정체성에 대한 개방성은 낮은 사람이 있는 등 젠 더 감수성의 차원은 균질 하지 않거나 비연속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이는 젠 더 감수성 교육이 성 역할 이데올로기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더 다양한 특성들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변화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기존의 성 평등 교육이나 성인지 교육이 성 역할 이데올로기나 성 주류화를 위한 실무적 기술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면, 앞으로의 젠 더 감수성 교육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하고 있는 젠 더 이분법적 사고가 성차별적일 수 있음을 깨닫는 것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젠 더 감수성 교육은 성 평등에 대해서 지식으로 아는 것뿐만 아니라 성차별적이고 젠 더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이 정의롭지 않음을 정서적으로 느끼고 그것이 왜 문제이며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스스로 또는 함께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검증된 요인과 함께 측정이 불가능하여 검증되지 않은 요인들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계량화하여 측정할 수 있는 특성이 아닌 것은 그것이 젠 더 감수성의 구성요소가 아니거나 의미가 약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조사 결과 추출된 젠 더 감수성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그 동안 페미니즘 이론들에서 강조해온 개념들을 함께 검토하여 젠 더 감수성 개념에 대해 통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For decades, our society has arranged diverse system to over sexual discrimination and head for gender equality. As a result, some formal and explicit sexism seems to be alleviated to a certain extent. But it seems that informal and implicit sexism and sexual/gender stereotype still has a continuous power on our society. It is because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system of our society and our consciousness in relation to sexism is not easy. In this context, a new concept, gender sensitivity has emerged as one of latest concepts, not only to accomplish formal level of gender equality but also to spread mundane and substantial gender equality. Gender sensitivity is a certain ability to identify gender issues, and it means from becoming aware of gender differences to recognizing the consequences they affect, in other words, sexual discrimination and gender inequality. But in Korea, gender sensitivity is apt to be used according to some specific context in connection with policies. This paper attempts to discuss various opinion about the concept of gender sensitivity and clarify the dimension of gender sensitivity to make it applicable in more concrete and quotidian aspects. To do this, I examine the existing discussion on gender sensitivity and reconceptualize gender sensitivity in reference to other kinds of sensitivity studies. In this paper, I define gender sensitivity as sensing emotional discomfort toward daily sexual discrimination and gender dichotomy, and grounding this definition, I try to develop a gender sensitivity measurement. Developing gender sensitivity measurement is not because this concept is very adequate to quantify. Many feminists have pointed that some established quantitative methodology are not able to include specific and varied women's experiences. While many feminists exhibit a skeptical attitude and some of them go so far as to reject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other feminists who acknowledge the need for quantitative methods have contributed to reconstruct the contents and forms of existing quantitative methods through critical feminist intervention. This paper starts from the view that when feminists don't intervene existing quantitative methods actively, the knowledge produced through the quantitative methods may distort women's experiences or produce and sustain sexist ideology. So I try to quantify and measure gender sensitivity, the concept which has very qualitative and affective dimens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very significant findings. Gender sensitivity has 4 elements―openness to sexual identity, self-reflection, non-violence, and openness to gender roles. This implies when doing research as a feminist, research questions, research processes, and interpretation of the findings can be changed even in a emotional dimension which used to be thought hard to be investigate through the quantitative methods. It also shows that the openness to sexual identity and to gender roles are separated. And while the openness to sexual identity explains most about gender sensitivity, the openness to gender roles explains least means that the theory of gender sensitivity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gender role ideology and we must consider not only the issues of discrimination between women and men but also the gender dichotomy which grounds on heterosexism and gender dualism. Gender sensitivity is a multi-dimensional and complex concept. For example, there are those who are sensitive to the problem of gender roles but not sensitive to the sexuality issues. The dimension of gender sensitivity may appear inhomogeneous or discontinuous. This means that gender sensitivity training should be changed in ways to improve more diverse traits associated with gender sensitivity as well as the recognition on problems of gender role ideology. Until now, specifically in Korea, many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gender equality or gender sensitivity training is composed of knowledge about gender role ideology or immediately applicable skills in relation to gender mainstreaming affairs. From now on, we can start gender sensitivity training from realizing sexism in gender dichotomous thinking which we daily do. Gender sensitivity training should aim for some kinds of education that informs not only the knowledge about gender equality but also the step to sense the truth that sexist and gender dichotomous way of thinking is unjust and to find why it is problematic and what we must do to solve the problem. At last, this paper insist that some untested elements for reasons of their impossibility to be measured also should be considered as the elements of gender sensitivity. The outcome some elements didn't tested doesn't mean that they are not the elements of gender sensitivity or they can't explain gender sensitivity. We need to approach the concept of gender sensitivity syntagmatically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qualitative concepts many feminists have emphasized on as well as the 4 tested elements of gender sensitiv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