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안단비-
dc.creator안단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9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1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6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ut sports to practical use in today's multicultural society and shed new light on the direction of sports and its role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tate, problems, andimprovements of multicultural sports programs. A sports institution with sports activity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was chosen,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six instructors teaching culturally diverse groups, and analyses of related books, articles and online data. The results were drawn by inductive category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se method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structors helping the multicultural families' workouts either had knowledge regarding cultural diversity and recognized these various cultures as coexisting concepts, or perceived foreign workers and marriage migrants as groups that had created diversity within Korean society. Second, the valu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sports and the necessity of its function were emphasized,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rough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values of sports, an improvement of health and a positive living environment were made possible. Moreover, sports could be used as a means of adapt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both emotionally and socially. Third, conside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holding discrimination, bias, and stereotypes was one of the qualities of sports instructors in a multicultural society. Fourth, 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of today's multicultural sports programs weredivided into the following: 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of programs cooperating with sports institutionsand multicultural centers, 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with program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with the goal and methods of the programs. Above all, sports institutions were in cooperation with multicultural centers in order to facilitate multicultural programs, which showed differences in program management, place of training, grouping of participants, and participation rates according to the attitude and environment of multicultural centers. Thus, difficulties arose in managing the programs, due to low interest and credibility, as they cooperated with the centers, and the programs were operated mainly with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In addition, those of various cultures showed little interest toward sports programs because of their financial problems, diverting sports programs into other programs that would help them with money-related issues. Also,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different rates of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approval of surrounding people. For instance, in the case of married migrant women, the participation rate was influenced by their husbands and mothers-in-law's level of approval, and with children, their financial environment and their parents' interest influenced their rate of participation. As for the programs, the cultural differences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brought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s of events and interests. And for the goal and methods of the sports programs, the events preferred were chosen and the programs were operated as a solution to mental stress and social integration, so as to offer an environment where multicultural families could acclimate themselves to Korean society. Lastly, for the improvement and vitalization of sports in society, there should be continuous sports activities targeted towards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y should be able to communicate through sports. Also, various sports activities should be applied, thus offering equal opportunities for them. Most of all, MOU (Memorandum of Understanding) should be signed with the government to provide systematic programs to multicultural families so that they can receive benefits from them. In addition, reorganization is needed in building up a cooperative system with the present multicultural centers, and trust and understanding in their relationship should be developed. Next, a methodical leadership training course is in need, and various instruction methods and guides must be developed. Moreover, sports activities should be a place for communication not only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but also for Korean society. To do so, equal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diverse sports activities should be applied. In conclusion, sports can be used as a significant tool in a multicultural society. Sports activities in a multicultural society should play a role in education, where each participant can grow up to be a multicultural person. To make this possible, a systematic training course must first be offered to the instructo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course should cover professional knowledge and educational contents regarding cultural diversity. Second, improvement on the awareness of sports should be made, from the welfare level to the educational level, therefore raising the role of sports to educate the people from a variety of cultures through sports activities.;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다문화 사회에서 스포츠가 활용될 수 있도록 스포츠 다문화 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 개선점 등을 파악하여 스포츠 역할을 재탐색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생활체육회와 서울특별시체육회 두 곳에서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교육하고 있는 지도자 6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 참여관찰, 문서수집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귀납적 범주 분석을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된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을 지도하는 지도자들은 다문화에 대해서 다양한 문화적, 민족적 배경이 공존하는 개념, 또는 한국 사회에 다양성을 형성한 집단으로 외국인 노동자, 결혼이주여성을 칭하는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스포츠 다문화 프로그램 지도자들은 스포츠 다문화 교육의 가치와 기능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스포츠의 신체적 가치와, 심리적 가치를 통해 건강의 증진과 긍정적인 생활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스포츠는 사회 정서적 기능과 사회 통합 기능을 통해 다문화가정을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 정착시키는데 있어 교육적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셋째, 다문화 사회에서 스포츠 지도자의 자질과 역할에 대해서는 차별, 편견과 고정관념의 인식을 배제하고 다문화가정을 이해하며, 배려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넷째, 현재의 스포츠 다문화 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은 스포츠 기관과 다문화 센터간의 협력 관계에 의한 프로그램 현황 및 문제점, 다문화가정의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의 현황 및 문제점, 프로그램의 목적과 방법의 현황 및 문제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가장 먼저 스포츠 기관들은 다문화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해서 다문화 센터와 협력을 맺고 있었고 이로 인해 다문화 센터의 태도와 환경에 따라서 프로그램 운영, 수업장소, 대상자 구성, 참여율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로 인해 센터들과의 협력에서 이해관계와 신뢰도가 낮아 프로그램의 운영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센터의 환경에 의해 결혼이주여성과 어린 자녀들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다문화 대상자들은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어 스포츠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가 낮았으며, 경제적 부분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정은 주변의 지지도에 따라서 참여율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결혼 이주 여성들의 경우는 남편과 시어머니의 지원정도에 따라서, 그리고 자녀들의 경우는 경제적 환경과 부모의 관심도에 따라서 참여율이 다르게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다문화가정의 문화적 차이에 따라 선호하는 종목과 흥미를 갖는 부분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스포츠 프로그램의 목적과 방법은 다문화가정이 어울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선호하는 종목을 선택하였으며, 활동을 통해 정신적 스트레스 해소와 사회 통합을 위한 교육적 목적을 두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다섯째, 스포츠 다문화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 및 활성화 방안으로는 다문화 사회에서 지속적인 스포츠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있으며, 스포츠를 통해 다문화가정이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만들고, 평등한 기회를 제공해주며, 다양한 방법의 스포츠 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정부기관과 MOU를 체결하여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 다문화가정에 다양한 혜택을 제공해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현재 다문화 센터와의 협력 체계의 관계에 대해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으며, 이는 서로에 대한 이해와 신뢰감이 형성되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체계적인 지도자 교육과정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지도 방법과 지침서가 개발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다문화 사회에서의 스포츠는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앞으로의 다문화 사회에서 스포츠 활동은 다문화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교육적 역할로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첫째, 다문화가정을 교육하는 지도자들에게 다문화에 대한 체계적인 연수과정이 제공되어야 하고, 연수과정 속에서는 다문화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교육 내용들이 포함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둘째, 스포츠 인식을 복지차원의 개념이 아닌 교육적 차원으로 인식을 개선해주어야 하며, 이는 스포츠 활동을 통해 다문화 교육을 시켜 줌으로써 스포츠의 역할을 복지차원에서 더 나아가 교육적 의미를 담고 다문화 교육의 방안으로 스포츠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연구의 제한점 6 Ⅱ. 이론적 배경 7 A. 한국 다문화 사회의 이해 7 1. 한국 다문화가정의 개념 7 2. 한국 다문화가정의 현황 9 3. 한국 다문화가정의 문제점 15 4.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19 B. 한국 다문화 사회의 스포츠 역할 21 C. 한국 스포츠 다문화 프로그램 현황 23 Ⅲ. 연구방법 29 A. 연구 설계 29 B. 연구 방법 30 1. 연구참여자의 이해 30 2. 자료 수집 33 3. 자료 분석 37 4. 자료 분석의 타당성 확보 38 Ⅳ. 연구결과 41 A. 스포츠교육 현장에서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41 1. 다문화와 다문화 교육의 인식 41 2. 스포츠 다문화 교육의 가치와 기능의 당위성 44 3. 다문화 사회에서 스포츠 지도자의 역할 49 B. 스포츠 다문화 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 52 1. 생활체육 현장의 다문화 프로그램 현황 53 2. 다문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축구프로그램 현황 70 3. 스포츠 다문화 프로그램의 문제점 79 C. 스포츠 다문화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 및 활성화 방안 86 1. 스포츠 다문화 프로그램의 지속적 운영을 위한 방안 86 2. 다문화 사회에서 스포츠의 활성화 방안 93 Ⅴ. 논의 99 Ⅵ. 결론 및 제언 107 A. 결론 107 B. 제언 111 참고문헌 112 부록1. 면담질문지 118 부록2. 참여관찰일지 120 ABSTRACT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16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스포츠 다문화 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 탐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of Multicultural Sports Programs-
dc.creator.othernameAhn, Dan Bi-
dc.format.pageix, 1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