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4 Download: 0

高麗時代 金屬象嵌技法 硏究

Title
高麗時代 金屬象嵌技法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Inlay Works in Goryeo : Focusing on the Metalwork Artifacts
Authors
김세린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stream, characters and background, status of an inlay work on Goryeo metalwork and besides an interaction, technique relations among other crafts, particularly pottery or woodcraft. Including the melting inlay and the niello carved on a few artifacts with the line inlay and the side inlay, Goryeo metalwork has various inlay techniques. The more rigid metal object was used as a base metal and it was a required process to intaglio on a surface intended for metal ornament before inlaying. It is the line inlay put together with material on a same height after inserting a threadlike base metal into the intaglio surface and the melting inlay is decorated with mercury on the side inlay and the intaglio space and sometimes attaches mercury or nails to the other decorative metal surface. In addition the technique, a grinded ingot of various metals scatters into the intaglio space, is classified as niello although the technique is still classified inaccurately. However this article studies the possibility of categorizing into Goryeo niello since the technique has similar effects like plating in many cases and is also classified as niello in China and Arab despite the technique is not classified clearly in Korean artifact category. The background becoming a main carving technique in Goryeo metalwork is considered in three sides in the next part. Primarily to understand inlay technique is examined through censer records and the written real usage in Goryeosa and Goryeosajeolyo. The status and understanding of metalwork in their times are seized into Goryeo artifacts, so called offering a prayer and diplomatic presents with inlay technique. Moreover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goldwork began to be become a main carving technique in the fifth year of King Myoungjong. Furthermore this article also inquires inlay work into the previous situation to become popular through analyzing the raw material production and the demand system, the relationship between import and export, goldwork market. Gradually inlay technique craftworks with bronze or iron were declined except weapons and harnesses from the unified Shilla to the early years of Goryeo as gold and silver work decorated with plating, repoussé technique, ring-matting technique had been considered the main carving techniques in Dang, Yo, North Song, prevailed widely though inlay technique had become one of the main carving techniques in metalworks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Countries. Especially the naturalized master craftmen from Yo made repoussé technique prevailed and these situations were seriously by the raw material trade of gold, silver, mercury from Yo and Song. The raw material import of gold and silver work was interrupted by the state of Yo and Song, Yo had the decline of national power in China, and North Song was defeated by Guem beginning from rising of Jeongkang's revolt, these caused severances of diplomatic relations and trade relationship with not only North Song but also Yo. The raw material of gold and silver was lacking, finally gold and silver work was banned but for royal and religious treasure. Consequently bronze metalwork had been getting brisk, inlay had revived in decoration technique and the decisive moment was in the reign of King Myoungjong. Besides the system of metalwork production is examined as an important clue to study the mutual relation between metalwork production circumstance under two production systems―a government handiwork and a private handiwork― and chapter V. This article categorizes the displayed metalwork with Goryeo inlay technique, in this regard an inlaid pattern presentation form is inquired. Goryeo metalworks are divided into Buddhist material and living material, though the artifacts are not plenty it is inferred that inlay technique with censer as a center was used in Buddhist material as well as living material extensively. The various patterns were carved in accordance with craftwork use. The side inlay was used for a long time became a main technique to decorate from thirteenth century. The relationship between pottery inlay technique and mother-of-pearl carving technique is examined, too. Each of carving techniques and characters is studied by a point of difference and resemblance, contemporary recognition to celadon carved with mother-of-pearl and inlay is considered. Additionally the existence of painters on the Goryeo craftwork producing system is assumed accurately, they may have had roles of contemporary vogue inlay technique and pattern in their times. The pattern design was done complying with demand of the royal, noblemen, a temple for each ceremony. Hence the influence of each pattern design relationship is analogized to the status of painters' work and their roles as well as working process. Moreover all of the details at that time, a raw material source of supply and a production area to make mother-of-pearl and pottery and metalwork, are searched and it is examined that the whole factors influenced each other in conclusion. Goryeo metalwork inlay usage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ype I had been mainly carved in twelfth century uses only the line inlay technique and is inferred to switch into the appropriate method to Goryeo from the line inlaid carving in the era of the Three Countries. Type II had been mainly carved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fall of Goryeo in the fourteenth century, and uses a combination of line inlay and side inlay. Type III had used inlay technique with ring-matting technique, intaglio and the other techniques to decorate. Consequently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inlay technique on Goryeo metalwork can be made sense following analysis. First inlay technique tradition from the era of the Three Countries was transformed properly to Goryeo art form. Second inlay technique form became wide spread by the international and Goryeo circumstance, third inlay technique was made by interaction with the contemporary pottery and mother-of-pearl lacquer ware closely. Fourth inlay technique has various character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a base metal, decorative metal quality, color. Finally inlay technique was developed by the interaction with other techniques although inlay technique is one of the decorative technique to metalwork alike other techniques. Inlay technique was used to diversity objects for instance metalwork, mother-of-pearl, pottery not only shows the important aspect of Goryeo craftworks but also is a main keyword to reflect Goryeo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carved inlaly patterns. The main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analyzing to reciprocal relation with other craft techniques, the analyzing of metawork objects and patterns, the inquiry to the related politics, economy, diplomacy, and cultural history.;본 논문은 고려시대 금속공예에 나타난 상감기법의 흐름을 파악하여, 상감기법의 특징과 성행하게 된 배경, 그리고 당대에 가지고 있던 공예적 위상을 알아보고 이와 더불어 도자와 목공예 등 타 공예품과의 기법 관련성과 상호작용에 대해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고려시대 금속공예에서 사용된 상감기법의 세부 표현기법은 크게 선 상감[입사], 면 상감을 중심으로 기타 소량의 유물에 시문된 소 상감과 양감 등이 있다. 기물인 바탕금속은 재료에 비해 강도가 단단한 금속재가 사용되었고, 상감을 하기 전 장식금속을 감입하기 위한 자리에 음각을 해 넣는 것은 상감시문의 필수 과정이다. 이 음각된 자리에 실과 같이 얇은 바탕금속을 삽입한 후 기물과 높이를 맞추는 것을 선 상감[입사], 음각공간에 판으로 된 장식금속을 삽입한 후 기물과 높이를 맞추면 면 상감, 음각 후 그 자리에 수은을 발라 장식하거나, 기타 다른 장식금속판에 수은 혹은 못을 이용해 기물에 부착하는 것을 소상 감이라 분류하였다. 또한, 아직 분류가 명확하지 않아 기타에 놓았지만 각기 다른 재질의 금속을 녹여 괴 로 만들고, 이 괴 를 갈아 음각한 부위에 뿌려 놓는 기법을 양감이라 구분하였다. 이 기법은 도금과 유사한 효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우리나라 유물에서는 구분이 현재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중국이나 이슬람에서는 이 기법을 사용한 유물을 양감으로 분류하고 있고, 고려의 유물 가운데도 이들이 양감이라 부르는 기법과 비슷한 장식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들이 있어 고려에서도 양감기법을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다음으로 고려시대 금속공예에서 상감기법이 주류시문기법으로 자리잡게 된 배경에 대해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우선 당대 상감기법이 시문되어 있는 향 완 의 명문과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서술되어 있는 직접적 사용 례 등을 통해 상감기법에 대한 인식을 검토해보았다. 발원이나 외교적 선물 등으로 상감기법으로 장식된 금속기를 활용했던 사례를 통해 인식과 금속기의 위치를 파악해보고, 주류시문기법으로 자리 잡은 결정적인 계기로 추정되는 명종 5년(1175)의 금제 단행 배경에 대해 알아보았다. 원료생산과 수요의 체계, 수입수출관계, 금속기의 유통 등의 분석을 통해, 상감기법이 주류로 부각되기 이전 상황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삼국시대부터 상감기법은 금속기의 주류 시문기법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았으나, 통일신라에서 고려 전반기에 당과 거란[요], 북송의 금은기에 사용되었던 주류 시문 기법인 도금, 타 출, 어자 문 등으로 장식되어 있는 금은기가 유행하면서, 무구나 마구를 제외한 청동이나 철로 주로 만들었던 상감기법 공예품은 점차 쇠퇴를 맞이하였다. 특히, 요와 송과의 금과 은 수은 등의 원자재 무역과 외교관계는 이와 같은 현상을 심화시켰고, 요에서 귀화한 장인들은 타 출 기법이 성행하는데 한 몫을 담당했다. 이 같은 정황 속에서 요가 점차 쇠퇴하고 북송마저도 정강의 변을 기점으로 금 세력에 의해 멸망해 북송황실이 남쪽으로 천도하게 되면서 외교와 무역관계가 불가능해졌고, 금은기의 원자재 수입 통로 역시 차단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사태는 금은기의 재료 부족을 야기했고, 결국 금제를 통해 금과 은을 왕실과 법 보 를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못하게 하였다. 이와 같은 상황들은 동기의 활성화를 가져왔고, 장식기법에 있어서도 상감기법이 발달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 후에 충렬왕대에 다시 한 번 금제가 있기는 하였으나, 결정적 계기가 된 것은 명종대의 금제였을 것으로 생각한다. 아울러, 금속기를 제작하는 체제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관영수공업과 민영수공업의 체계는 당시 왕실과 사찰에서 동시에 제작이 이뤄졌던 상감금속기의 생산 환경과 제작 양상 그리고 Ⅴ장의 상호연관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라 생각한다. 더불어 현재 전세되고 있는 고려시대 상감기법으로 장식된 금속기들을 대상으로 기종과 기형을 분석해 어떤 기물에 주로 상감기법의 시문이 이뤄졌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감기법의 문양 표현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불교 용구와 생활 용구로 나누어 기종과 기형을 분석한 결과, 유물의 수량이 많지 않아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현재 남아있는 유물로 보면 향 완 을 중심으로 주로 불교 용구에서 상감기법이 활용되었고, 생활용구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문양은 포 류 수금 문, 문자 문, 동물 문, 식물 문, 기하학문 등 공예품의 용도와 각 부분의 공간에 맞추어 시문되었고, 면상 감은 이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13세기부터는 본격적으로 중심문양을 장식하는 주요 기법으로 등장하였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금속상감기법의 양상과 시문 배경을 바탕으로 도자상감 법, 나전시문법과의 상호연관성도 고찰해보았다. 동 시대에 각각의 서로 다른 재질로 활용되었던 이들 기법들은 금속기의 상감기법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각각의 시문 방법과 특징을 상감을 바탕으로 차이점과 공통점을 알아보았고, 이와 함께 당대 나전과 상감기법이 주로 시문된 청자에 대한 인식을 분석했다. 또, 당시 공예품 생산체계에 대해 다시 한 번 고찰함으로써, 고려시대 공예품을 제작할 때 ‘화 업(畵業)’이라는 도안 제작 화원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이들이 당시 문양 제작을 담당하면서 유사한 공예 분야에서 문양을 공유하게 하는 역할을 담당했을 것이라 추정했다. 이들의 도안 제작은 작업을 발주하는 왕실이나 귀족, 사찰 등의 사상이나 미의식, 그리고 각각의 의례등과 연관 지어 유기적으로 이뤄졌다. 따라서 화 업의 역할과 작업과정, 화 업을 담당하는 화원의 위치와 당대 화원에 대한 인식에 대해 살펴보면서 이들 각 기법들의 상호연관성에 이들이 미친 영향에 대해 유추해보았다. 이와 함께 당시 나전과 도자, 금속기의 원료 수급 지와 생산지 그리고 이들이 유통되는 교통로도 함께 살펴보고, 이러한 전반적인 요소들이 상호적으로 많은 영향관계를 주고 받는데 한 요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파악했다. 고려시대 금속기의 상감기법의 시문양상은 크게 세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Ⅰ유형은 선상 감만을 이용한 시문기법으로 12세기에 주로 사용되었던 기법이다. 이들은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선상 감의 시문양상을 바탕으로 고려만의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는 유형으로 파악했다. Ⅱ유형은 선상 감과 면 상감이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으로, 12세기 후반~14세기 고려가 멸망할 때까지 활발하게 사용되었던 유형이다. 면 상감이 주문의 한 축으로 등장하였고, 명종대 금은기 금제가 실시된 이후, 주류시문기법으로 자리 잡게 되고, 그 후 고려만의 조형을 발전시킨 유형이었다. Ⅲ유형은 상감기법과 함께 어자 문이나 음각 등 다른 기법들을 병용해 장식에 사용한 유형이었다. 유물은 일정한 편년을 갖고 있지 않았지만, 타 출 이나 어자 문 등 다른 공예품들을 통해서 고찰해 보았을 때, 이러한 복합적 장식방법 역시 고려시대 금속기를 제작하고 장식하는 데 있어 시문기법의 한 축이었을 것으로 보여 진다. 이와 같은 내용들을 토대로 고려시대 금속기에 시문되었던 상감기법의 성격과 의의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감기법은 삼국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전통을 계승, 고려만의 형태로 발전을 이뤘고, 둘째, 고려의 12세기 국제상황과 그에 따른 고려의 현실이 맞물리면서 상감기법이 활성화 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셋째로 상감기법은 조형디자인과 기법 등에서 구조적으로 동시대 도자와 나전과 긴밀한 영향관계를 가지며 제작이 이루어 졌다. 넷째로 상감기법의 바탕금속과 장식금속의 재질이나 색채를 달리하는 특성에 따라 다양한 장식적 면모를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감기법은 다른 기법들과 마찬가지로 금속기를 장식하는 기법 가운데 하나였지만, 다른 기법들과 함께 여러 가지 상호 작용을 통해서 발전이 이뤄진 기법이라는 점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금속기 뿐만 아니라 나전이나 도자기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되었던 상감기법은 고려시대의 공예양상을 보여주는 한 단면일 뿐만 아니라, 시문된 명문과 문양을 통해 당시의 사상과 그들의 미의식을 반영한 중요한 키워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시대 상감기법이 활용된 금속기의 기물, 문양에 대한 분석과 이와 관련된 정치, 경제, 외교, 문화사적 고찰, 그리고 타 공예와의 상호연관성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두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