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438 Download: 0

듀안 핸슨(Duane Hanson)의 인물조각에 나타난 미국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

Title
듀안 핸슨(Duane Hanson)의 인물조각에 나타난 미국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
Other Titles
The Critical Consciousness on American Society in Duane Hanson's Human Sculptures
Authors
장연우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본 논문은 듀안 핸슨(Duane Hanson, 1925-1996)의 인물 조각에 나타난 미국사회에 대한 비판의식에 관한 연구이다. 듀안 핸슨은 1965년부터 1996년 사망하기까지 평범한 미국인들을 사실적으로 재현했는데, 이들은 공통적으로 우울하고 지친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에 핸슨이 미국 사회를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핸슨의 다양한 인물들이 미국 사회의 문제점들을 보여주고 있다는 인식이 본 논문의 출발점이다. 본 논문은 미국 시회에 대한 비판의식을 통해 핸슨의 전 작품들을 주제와 기법으로 나누어 고찰함으로써, 핸슨의 평범한 인물들이 미국 사회의 문제점들을 명확하게 포착하여 설득력 있게 보여주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핸슨의 미국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은 당대의 정치사회적 상황, 미술계의 분위기, 그의 성장 과정 등에서 비롯되었다. 핸슨이 본격적으로 사회비판적 인물 조각을 시작한 1960년대 미국은 인종차별에 대한 저항, 반전운동, 반문화운동 등으로 혼란과 갈등의 시기였다. 미술계에서도 ʻ예술을 위한 예술'을 주장하는 모더니즘 미술에 반기를 들고, 주변사회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리얼리즘 미술 경향들이 부상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회와 미술계의 저항적 분위기 속에서, 핸슨은 가난하고 힘들었던 어린 시절에 대한 기억, 보수적인 환경에 대한 거부감, 인간의 고통이나 비극에 대한 관심 등 그의 개인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비판적 시각을 형성하게 되었다. 1965년부터 1970년경까지 핸슨은 주로 정치적 사건이나 범죄의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주는데 초점을 맞추어 미국사회에 대한 비판의식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부터 그는 미국인들이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일상적인 문제들을 포착했다. 예를 들어, 핸슨은 인간소외 문제를 다루면서 미국 대도시 곳곳에서 볼 수 있는 노숙자들, 은퇴 후 경제력을 상실하고 새로운 하층민으로 전락한 노인들, 저임금으로 비천한 일을 담당하는 블루칼라 노동자들의 모습을 작품화했다. 이들을 통해, 핸슨은 경제력에 따른 위계구조가 미국사회에 존재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계급에 위치한 노숙자, 노인, 블루칼라 노동자들을 경시하는 미국 사회의 불합리한 측면을 지적했다. 이어서 핸슨은 필요에 따른 합리적인 소비가 아니라, 보다 우월한 가치를 향유하기 위해 부적절한 소비의 오류를 범하는 인물들을 작품화함으로써, 미국 사회의 소비지상주의 풍조를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핸슨은 미국 사회에 정형화된 미의 기준이 존재하며, 이에 관심을 갖거나 이상적인 미를 획득하기 위해 과욕을 부리는 미국인들을 작품화함으로써, 미국 사회의 외모지상주의 풍조를 지적했다. 미국 사회의 문제점들은 핸슨의 인물표현방식으로 인해 보다 설득력 있게 관람객들에게 전달되었다. 핸슨은 먼저 살아있는 인물로부터 그 형을 뜨는 라이프캐스팅 기법을 이용하여 사실적으로 인물을 표현했다. 그러나 핸슨이 단순히 사실적인 재현에만 초점을 맞춘 것은 아니었다. 핸슨은 그의 인물 조각이 평범한 미국인들을 대변할 수 있는 전형적인 인물로 표현되기를 바랐다. 따라서 핸슨은 대상 인물의 관찰을 통해, 조각의 자세나 표정, 형태 등을 수정함으로써 실제 현실에 있을 법한 자연스러운 인물의 표준형을 만들어냈다. 마지막으로 핸슨은 좌대를 제거하고 관람객들과 동일한 공간 안에 인물 조각을 위치시켰다. 라이프캐스팅 기법과 전형화를 통해 이미 현실성을 획득한 핸슨의 인물 조각은, 설치 장소에 관계없이 자연스럽게 관람객들의 삶의 공간으로 침투되었고, 미국인들에게 그들의 주변인으로 다가갔다. 따라서 관람객들은 핸슨의 인물 조각이 보여주는 미국 사회의 문제점들에 깊이 공감하고, 그들이 처한 현실을 깨닫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 핸슨이 평범한 인물들을 통해 미국사회의 현실적인 문제점들을 가장 공감 가는 형태로 보여준 작가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핸슨은 미국 사회의 문제점들을 제시하는 것에만 그친 것이 아니라, 미국인들이 그의 인물 조각들을 통해 현실을 직시하고 당면한 문제들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끝으로 핸슨은 리얼리즘 미술 경향의 흐름을 이어가면서도 일상의 오브제를 예술의 문맥으로 끌어들이는 대신, 일상의 인물 조각을 실제 삶의 공간에 두는 독창적인 방식을 통해 미국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을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구상 미술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미술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is thesis is an inquiry into the works of Duane Hanson(1925-1996), namely the human sculptures showing his critical stance of American society. Duane Hanson described the ordinary Americans realistically from 1965 up to 1996, and all of his sculptures looked exhausted and gloomy. At this point, this thesis has begun with that Hanson viewed the American society with a critical eye and Hanson's diverse human sculptures showed the problems of American society. It is the aim of this thesis to find that Hanson's ordinary figures clearly capture the problems of American Society and shows them persuasively, through considering his overall works in both subject matter and technique. Hanson's critical consciousness was formed from historical and personal backgrounds: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of America in 1960s, the art world of the time, and his personal backgrounds. America in 1960s was in a state of confusion and conflict due to the protest against racism and Vietnam war, and the Counter-Cultural Movement. At the same time, realistic art movements had emerged slowly, rebelling the Modernism's ‘Art for Art's sake'. Under these circumstances, Hanson could have built his critical perspective based on his hardscrabble childhood, hostility to conservatism and his interests in pain and tragedy. From 1965 to 1970, Hanson focused to describe political issues or crime scenes vividly. But after 1970, he started to capture the everyday problems which Americans could experience from the daily routine. For example, Hanson dealt with human isolation, producing human sculptures of the homeless, the old people, and the blue-collar workers. Through these works, Hanson pointed out that there was a hierarchical order of the finance in America and the unreasonable aspect of disrespect for them. Next, Hanson criticized Consumerism through sculptures of people who consume improperly. Also, he stated the standard of beauty existing in America and criticized Lookism as producing the sculptures of people trying to improve their appearances. These problems which Hanson pointed out could communicate with viewers effectively due to his own style. First, Hanson expressed the human sculptures realistically using the lifecasting technique. But the important thing to Hanson was not to make the same with the model but to create the stereotype as the representative of Americans. In this sense, Hanson corrected sculptures' postures, faces, and forms through the observation of real people. Also Hanson eliminated the pedestals and placed his sculptures at ground level. As Hanson's human sculptures already obtained the reality by lifecasting and standardization, regardless of place, his sculptures could invade into life and seemed like neighbors who live around viewers. Thus viewers could feel sympathy with the problems and situations that figures showed and they also could have chance to think about themselves and their society. Hanson's ordinary figures showed the problems persuasively which Americans experience in daily lives. And Hanson's critical consciousness was not just the indicating the problems, but the providing the opportunity for Americans to face reality and reconsider their problems. Taking this into account, Hanson is one of the artists who suggested the new realistic style to place the ordinary human sculptures in real life for expressing the critical consciousness on American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