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5 Download: 0

음악전공 여대생의 완벽주의와 연주불안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Title
음악전공 여대생의 완벽주의와 연주불안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Other Titles
Mediation Analysis of Perfectionism-Music Performance Anxiety Relationship in Female Music Students
Authors
강유선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는 음악전공 여대생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와 수치심, 연주불안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무대 위에서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는 연주자들의 연주불안과 그와 관련된 심리적 변인들을 밝힘으로써 음악 연주자들에 대한 상담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소재 4년제 음악대학에 재학 중이며 작곡 및 이론을 제외한 연주 경험이 있는 기악 및 성악, 국악 전공 여자 대학생 38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완벽주의를 측정하기 위해 Rhéaume, Freeston과 Ladouceur(1995)가 개발하고 박현주(1999)가 번안, 타당화한 완벽주의 질문지(Perfectionism Questionnaire; PQ)를 사용하였고, 수치심을 측정하기 위해 Cook(1987)이 개발하고 이인숙, 최해림(2005)이 번안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nternalized Shame Scale; ISS)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연주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표내숙, 김정숙, 표종현(2003)이 제작한 무대불안 척도(Stage Performance Anxiety Scale; SPAS)를 음악 연주자를 대상으로 사용한 정인지(2008)의 척도로 사용하였다. 완벽주의 질문지는 완벽주의 성향,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의 2개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는 부적절감, 공허, 자기처벌, 실수불안 4개의 하위요인으로, 무대불안 척도는 걱정, 산만, 불안의 3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문제는 이와 같다. 첫째, 음악전공 여대생의 적응적/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수치심, 연주불안은 서로 유의한 관계를 가질 것이며, 둘째, 음악전공 여대생의 수치심은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연주불안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으며,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응적 완벽주의를 측정하는 완벽주의 성향과 연주불안 사이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부적응적 완벽주의를 측정하는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와 수치심, 연주불안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어, 이는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수치심이 높을수록 연주에 대한 불안감을 크게 느낀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매개모형을 통해 살펴본 결과,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수치심이 높았으며, 높은 수치심은 연주불안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중의 평가에 민감한 연주자일수록 부정적 평가로 인한 고통스런 감정을 크게 인식하며, 이를 통해 수많은 청중들로부터 집중되는 상황인 무대 위 연주에 대한 불안이 심화될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치심이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연주불안의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하여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비교한 결과, 완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대부분의 경우 수치심을 경유하여 연주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며 두 변인이 이러한 경로를 통해 연주에 대한 두려움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연주불안을 경험하는 연주자들의 심리적 기제에는 청중의 평가를 염려하고 완벽한 연주를 하고자 하는 성향이 있으며 이와 함께 수치심의 특성인 부정적 평가에 대한 취약성이 연주불안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여자 연주자들의 연주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관계를 탐색하여 연주에 대한 두려움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상담 장면에서 자신의 연주 평가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수치심이 형성된 발달 과정을 고려한 상담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This study explore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perfectionism, shame and music performance anxiety, hypothesizing that adaptive/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hame affected the anxiety in female music students. 384 female musical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Seoul and capital area were surveyed. Perfectionism Questionnaire(PQ) and Internalized Shame Scale(ISS) were used to measure the students' perfectionism and shame. To measure music performance anxiety, Stage Performance Anxiety Scale(SPAS) modified for music performers was used. PQ consists of ‘perfectionism tendency’ for measuring adaptive perfectionism and ‘negative consequence’ for maladaptive perfectionism. ISS is made of 4 sub-dimensions of ‘inappropriateness’, ‘emptiness’, ‘self-punishment’, and ‘mistake anxiety’. ‘Worry’, ‘discursiveness’, and ‘anxiety’ are sub-dimensions of SPA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factor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obtain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shame. It was found that ‘perfectionism tendency’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rformance anxiety. On the other hand, ‘negative consequence’ and shame significantly influenced performance anxiety. It shows that performers who have high degree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hame would be more anxious in music performance.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shame mediates the maladaptive perfectionism-performance anxiety relationship, explained by complete mediation model. Maladaptive perfectionism affects to performance anxiety through shame. These two variables follow the path leading to the performance anxiety. In conclusion, worry about the audience’s assessment and inclination to be perfect constitute to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performance anxiety. Shame, which means vulnerability to the criticism could deepen the performance anxiety. This study evaluated the factors and their interrelationship in performance anxiety, focusing to find a clue to reduce the anxiety. Counseling strategy including consideration to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hame is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