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2 Download: 0

키치(Kitsch)의 미적 특성을 응용한 도자 센터피스(Centerpiece) 연구

Title
키치(Kitsch)의 미적 특성을 응용한 도자 센터피스(Centerpiece)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eramic Centerpiece in Application of Kitsch’s Aesthetic Characteristics
Authors
정의선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석영
Abstract
It is a known fact that eating has been the most important part of daily life. Simply from maintaining life to express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a culture, eating has a variety of purposes. Economic growth has improved the quality of human life, and these improvements have also drastically changed eating habits. The importance has shifted from ‘how much to eat’ to ‘How to eat’. People have started to enjoy food within their culture. Eating habits became a particular part of culture, and spaces for solely eating appeared. This can be defined as dining space. Due to the fact of the appearance of dining space and the appearance of jobs solely for decorating dining space, the concept of dining space has currently become an important aspect of life. Dining space consists of many factors and these factors each carry their specific roles and characteristics to project the dining space. The mission of the research is to produce a centerpiece that carries an ornamental value. The aesthetic value of the kitsch was used in this project. Even though the Kitsch culture has a negative aspect in modern society due to the centralization during the post modernism era after industrialization, it is a culture that has a strong international position in this world. Kitsch seeks its characteristics through atypical matters. Due to this characteristic,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ecause it was determined that Kitsch culture would formulate a different outcome when applied to dining space. First, the approach was done theoretically. The definition of dining space was formulated,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display of kitsch was researched to reduce the inconvenience that might exist in the use of the ceramic within a dining space. Furthermore, the origin,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and fundamentals of the kitsch culture was researched. The six characteristics of the kitsch culture were organized to produce 10 different ceramics that showed its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ypical objects and brilliant colors were used to enhance the characteristics of kitsch and to function as an ultimate genre of the dining space. As a way of producing, I used gesso injection technique to have a consistent shape for each product. I also use the 'Solid Injection Technique' and 'Drain Injection Technique' in accordance with the product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Articles that I used high temperature paint, I poured the mud mixed with 0.3~8%. In terms of the plastery, I made the first plastery at 800℃. In 0.2m³of the electric kiln for 7 hours. And, I made the second plastery at 1,250℃ of the ultimate temperature in an oxidizing flame for 10 hours and 30 minutes.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determined that the influence of dining space was quite larger than expected. It was also concluded that the desire to display ones personal dining space was strong. In order to satisfy this desire, there needs to be countless attempts and a variety of different cultures should be grafted and displayed. Through this research, a new attempt was made to intervene ceramics and kitsch. This newly type of kitsch will give an atmosphere of surrealistic feeling through changes made in conventional and typical objects, verbal effects to manipulate the audience, using low grade materials through a skillful turn of expression. However the ceramics were made with limited styles and as dining space is displayed with these ceramics, the dining space also lacked the variety that satisfies the needs of modern people. Grafting the Kitsch culture with ceramics is a possible solution to fulfill the needs of modern people. Also it is essential to know there are many more methods that can be researched to produce a variety of ceramics.;음식을 먹는 행위는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행위 중 하나이다. 단순하게는 생명을 유지하는 행위에서부터 나아가서는 특정 민족의 문화를 나타내는 행위에 이르기까지 그 의미 역시 다양하다. 경제적 성장은 인간 생활의 질을 향상시켰고, 이는 식생활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음식을 얼마나 먹느냐 보다 어느 음식을 어떻게 먹느냐가 중요해진 것이다. 사람들은 음식을 그들의 문화 안에서 즐기기 시작했다. 식생활은 민족 특유의 문화가 되었고, 식생활만을 위한 공간이 생겨났다. 이를 식 공간이라고 정의한다. 식 공간이라는 표현이 새롭게 생겨나고, 식 공간을 꾸미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직업이 생겨날 만큼 식 공간은 현재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식 공간은 여러 요소들로 구성 되며, 이러한 요소들은 각자의 역할과 특성을 지니고 있어 그로 인하여 식 공간이 연출된다. 본 연구에서는 식 공간 의 요소들 중에서 장식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센터피스(centerpiece)를 제작 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제품제작에 있어, 키치(kitsch)의 미적 특성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산업혁명을 거치고 포스트모던 시대가 도래 하자 중심현상으로 나타난 문화, 키치 는 다소 부정적인 뜻을 내포하고 있는 용어지만 그럼에도 국제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 유일한 용어이다. 키치 는 일상적이지 않은 충격에서 재미를 찾는다. 이러한 키치 의 특성을 센터피스 제작에 응용하였을 때, 새로운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센터피스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접근하였다. 센터피스의 개념을 정의하고 센터피스의 종류와 역할을 조사하여 작품이 식 공간에 사용되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다. 또한 키치 문화의 기원 및 발생배경과 특징, 원리를 조사하였고, 키치 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여섯 가지로 정리하여 각각의 특성이 드러나는 열 가지의 도자 센터피스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에서의 키치 의 개념과 특성을 새로이 정의 하여, 더욱 특성 있는 작품을 제작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디자인 과정에서는 키치 의 특성인 화려한 색상과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물을 센터피스 디자인에 표현함으로써 식 공간에서 장식적 요소로 작용 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식 공간 성격에 따른 다양한 형식의 센터피스를 제작하여 활용도를 높였다. 제작방법에서는 모든 작품을 석고 틀을 이용한 이장주입성형기법을 사용하였고, <작품 8>은 타일의 특성 상 고형주입성형기법을, 나머지 작품은 배출성형기법을 사용하였다. 태토는 모든 작품에 고화도 안료를 0.5-8% 배합한 자기 질 점토를 사용하였고, <작품 6,7,10>에는 유약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작품에는 일부 또는 전체를 투명유로 담금 시 유 하였다.소성은 모든 작품을 0.2m3 전기가마에서 800℃ 1차 소성 후, 1250℃에서 2차 산화소성 하였다. <작품1,6,8>은 2차 소성 후 1도전사지 부착, 800℃로 3차 소성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식 공간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과 식 공간에서의 센터피스의 역할이 예상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인간이 자신만의 식 공간을 연출하고자 하는 욕구 또한 크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가 접목된 여러 가지 시도들이 필요하며 제시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급문화로 여겨지는 도자와 저급문화로 일컬어지는 키치 를 접목함으로써 새로운 형식의 작품을 제작하였고, 이것이 새로운 시도가 될 수 있길 바란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새로운 형식의 키치 는 일상적이고 상투적인 사물을 이용한 것, 본래의 목적을 벗어난 것, 시각적 충격을 이용하여 관찰자를 조롱하는 것, 싸구려소재에 정돈된 표현방식을 이용하는 것, 본래의 크기나 색상을 바꾸어 초현실적 느낌을 조장하는 것 이다. 이러한 새로운 키치 의 형식의 센터피스 개발이 자신만의 독특한 식 공간을 원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하나의 대안이 되길 바라며, 도자제품의 다양화와 더불어 도자제품의 새로운 시도에 대한 즐거움을 함께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