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규방소품 제작을 위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Title
규방소품 제작을 위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extile Design for making the traditional craft articles
Authors
정은자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섬유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임선
Abstract
Women from the Joseon Dynasty, which called the time of the courtesy and criterion, had no right to go out freely, and they completely belonged to men under the standards of the Three Rules Which Women Should Follow and the Rule Which Women Should Obey Their Husbands. There was also the rule that men and women strictly kept their distance from each other, so men and women had separate resident areas such as Sarangche for men and Gyubang for women. Women were never frustrated in their limitations and expressed their lives as the cultural art, traditional korean women's handcraft. Hunminjeongeum, Korean script, which is the matrix of Hangul, was created by King Sejong the Great who had pity on his people's illiteracy. Its making-script principle is based on the natural logic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and Heaven, Earth and Man, and modeled the vocal organs of human being. It has internationally superior national brand, but it hasn't been developed well because of the inadequate designing development. If it was tied up with the past with the name of succession of the tradition, it can't be the base of making new culture. Through the wider interests and researches for the culture, the meaning of the tradition should be rearranged and new culture was necessary to be made. Traditional Korean Women's Handicraft reflected the formativeness and aesthetic sense of Korean images. Based on the original and visual beauty, new design for the modern sense of traditional handicraft become necessary. Thus, this thesis regards it as meaningful to design fabrics by utilizing the making principle of Hunminjeongum and its formativeness and to develop various designs by making new traditional handicrafts with newly made fabrics. The content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 the culture of traditional women's living room which is the base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classify the handicrafts as their purposes, and analyze the design cases of handicrafts which utilized on the modern times. Second, research of making principle of Hunminjeongum which is the motif of fabric designs and its formative element, and analyze the design cases of utilizing Hunminjeonum. Third, the setting of designing theme is four Korean words, Onsaemiro, Gaon-nury, Saehamano and Gombi-imbi, Each theme has three fabric designs which made by repetition and transformation based on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Hunminjeongum. Fourth, fabrics are made by Jacquard weaving and Digital Textile Printing using 16mm twilled weaves with silk. Jacquard weaving has three colourways and digital printing two. Fifth, the casts of the spectacle case, norigae and reel are necessary to make articles, and the backing papers are grafted as a traditional order of cotton cloth, hanji and cotton cloth. Sixth, traditional women's handicrafts are made by utilizing the manufactured fabrics, and manufactured various handmade articles by categories such as three pincushions, three norigaes, seven pockets, two cloths, two spoon holders, six reels and three spectacle cases, total 26 articles. The results from these researches are as follows: First, Hunminjeongum is the script which is simple and geometric structure and formative feature. It becomes the aesthetic and original material that can express the cultural depth by utilizing on the fabric designing. Second, it was possible to develop the differential, changed designs out of the limited materials of handicraft by utilizing newly made fabrics based on Hunminjeongum. Third, newly designed Jacquard weaving could make easy to develop new designs out of the stereotypes, and it was capable of making various expressions with digital printing out of the limited restrictions of images and colors of traditional fabrics. Fourth, by utilizing the fabrics visualized with traditional beauty of Hunminjeongum and traditional women's handicraft, it was possible to increase the inter-modern and artistic expressions. As mentioned above, Hunminjeongum and the traditional Korean women's handicraft are two important national brands, which presents the possibilities of development by converting the designs, not the script or the tradition. By researching Hunminjeonum and the traditional Korean women's handicraft, I hope the formativeness of Korean culture should be rediscovered, and the new dimension of aesthetic function should be added to make new Korean image, not just a formative language ended up as a visual culture.;예와 규범의 시대라 불리는 조선시대에 여성은 외부출입이 제한되었고, 삼종지도나 여필종부라는 규범 아래 여성은 남성의 절대적 종속관계에 있었다. 내외 법이 있어 남녀의 주거공간이 구분되어 남성의 거처인 사랑채와 여성의 거처인 규방으로 분리되었다. 제한된 공간에서 좌절하지 않고 자신들의 삶을 문화 예술로 표현한 것이 규방공예이다. 여성의 손끝에서 섬세하고 아름답게 표현되어 전통문화가 되었다. 훈민정음은 백성이 자기 뜻을 펴고자 해도 한자를 알지 못하여 표현하지 못함에, 이를 가엾게 여겨 세종 대왕 께서 창제한 문자이다. 제자 원리는 음양오행과 천지인 자연의 이치와 인간의 발음 기관을 본떠 만들어진 문자로 지금 사용하고 있는 한글이다. 세계적으로 뛰어난 국가 브랜드 요소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글은 디자인 개발의 미비로 그 가치를 다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전통의 계승이란 명목 하에 과거에 묶여 있으면 새로운 문화를 창조 할 수 없다. 따라서 문화에 대한 폭 넓은 관심과 연구를 통해 전통의 의미를 재정리하고, 현재의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규방공예는 한국적 이미지의 조형성과 미적 감각을 잘 반영하고 있다. 한글이 가지는 독창적이고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바탕으로 현대적 감각에 맞는 규방공예의 다양한 디자인 개발과 활용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조형성을 모티프로 활용하여 패브릭을 디자인하고 제작된 패브릭으로 규방공예품을 전통방식대로 제작함으로써 규방공예의 다양한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배경이 되는 조선시대의 시대적 배경과 규방문화를 고찰하고, 규방공예를 용도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현대적 활용 성을 고려한 규방공예품의 디자인 사례를 고찰하였다. 둘째, 패브릭 디자인의 모티프가 되는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조형적 요소를 연구하고 훈민정음을 활용한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셋째, 디자인 테마 설정은 온 새 미 로, 가온 누리, 새 하 마 노, 곰 비임 비 네 개의 순 우리말 테마로 훈민정음의 자음과 모음을 모티프로 배열의 변형과 반복을 통해 각 테마마다 세 가지씩의 디자인을 하였다. 넷째, 패브릭 제작은 실크를 소재로 하여 자카드 직조와 16mm 능 직을 사용한 디 지 털 날염(Digital Textile Printing)을 하였고, 자카드 직조는 세 가지 DTP는 두 가지 컬러웨이를 주었다. 다섯째, 소품제작에 필요한 모형 틀은 안경집, 노리개, 실패 등이고 이것들을 만들기 위한 배 접지는 광목•한지•광목 순으로 전통방식을 따랐다. 여섯째, 규방소품 제작은 제작한 패브릭을 활용하였고, 규방 소품을 분류하여 형태를 다양하게 바늘꽂이 류 3점, 노리개 3점, 주머니 류 7점, 보자기 류 2점, 수저 집 2점, 실패 류 6점, 안경집 3점 총 26점을 수작업으로 제작하였다. 연구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훈민정음은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기하학적인 구조와 조형적 공간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문자로만 아니라 패브릭디자인 활용에 있어서 문화적 깊이를 표현할 수 있는 독창적이고 심미적인 소재가 될 수 있었다. 둘째, 훈민정음을 모티프로 디자인한 패브릭을 규방공예에 활용함으로써 규방공예의 제한된 소재의 표현에서 벗어나 차별화되고 변화된 디자인 개발이 가능 하였다. 셋째, 새로운 디자인의 자카드 직조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디자인 개발이 용이하였고 디지털 프린팅은 규방공예의 직조 직물에서 오는 이미지와 색상 표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었다. 넷째, 예술적 깊이와 문화적 정서를 잘 표현하고 있는 규방공예와 훈민정음을 모티프로 한국적인 미를 시각화한 패브릭을 상호 활용하여 예술적 표현을 확대하고 현대적 표현으로서의 전통공예를 재정립 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훈민정음과 규방공예는 중요한 국가적 브랜드 요소로서 단순한 문자와 전통이 아닌 디자인 개발의 매체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한글을 통해 우리문화의 조형성을 재발견하고 이를 기본으로 새로운 차원의 심미적 기능성을 더함으로써 규방공예가 단순히 시각 문화로 끝나는 조형언어가 아니라 새로운 한국 이미지를 디자인하는 창조적 작업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전통에 대한 깊은 관심을 통해서 우리 문화의 조형적 우수성을 세계인이 공감하는 보편성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창출하여, 현재를 표현하는 디자인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