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최윤정 | - |
dc.contributor.author | 김민정 | - |
dc.creator | 김민정 | - |
dc.date.accessioned | 2016-08-25T11:08:55Z | - |
dc.date.available | 2016-08-25T11:08:55Z | - |
dc.date.issued | 2011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066788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073 | - |
dc.identifier.uri |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788 | - |
dc.description.abstract | We can communicate with many people through SNS. There are MySpace, Facebook, Cyworld, Metoday, etc. Twitter launched in USA in 2006, Twitter is not used only in the computer but also mobile devices. Also, Limited word in 140. For that reason, Twitter becomes most popular after use rates of Smart phone increased. This is a analyzes of Online and Offline relationship of Smart phone Twitter Users. Then, I thought Cognitive Interaction is a catalyst of Online and Offline relationship. This empirical study have the academic meaning to contribute in expanding the study of Smart phone and SNS. Also, previous Research studied only Online relationship, However this study has examined How Online relationship becomes Offline relationship. We need to continue the study of mobile SNS.;많은 사람들은 SNS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대표적인 SNS에는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 싸이월드, 미투데이 등이 있다. 트위터는 2006년 미국에서 시작되었고, 140자의 제한된 글자 수를 통해 컴퓨터뿐만 아니라 모 바일 장치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트위터 는 스마트 폰 이 보편화된 현재 가장 있기 있는 SNS가 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 폰 을 통한 트위터 이용자의 온라인, 오프라인관계 형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 폰 을 통해 트위터 를 이용하는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주제를 탐색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첫째, 모 바일 SNS의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지각된 상호작용 성이 높게 나타나는 가에 대해 살펴본다. 지각된 상호작용성은 선행연구들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의 지각된 상호작용 성 척도로 가장 많이 사용 된 쌍방향성, 반응 성, 연결성에 본 연구의 특성 상 모 바일 상호작용성의 척도인 이동성을 더해 네 가지 차원으로 측정하였다. 둘째, 모 바일 SNS 사용자의 지각된 상호작용 성 이 높게 나타날수록 긍정적인 온라인 관계를 형성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온라인 관계에 대한 척도는 친밀감, 유대감, 신뢰감, 놀이 성으로 측정하였다. 온라인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놀이성의 중요성을 부각시키지 않았지만 본 연구는 아무 때에나 수시로 스마트 폰 을 통해 마치 소소한 재미를 얻듯이 트위터 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연구하는 특성상 놀이 성을 중요시 평가 해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모 바일 SNS사용자의 긍정적인 온라인 관계는 활발한 오프라인 관계 형성으로 연결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 살펴본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 유효한 표본 280명을 대상으로 밝혀낸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폰을 통한 트위터 에서 다른 사람들과 대화 빈도가 높을수록 쌍방향성, 반응 성, 연결성, 이동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존의 컴퓨터를 매개로 한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을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연결성과 이동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비율이 많을수록 이동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1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둘째, 스마트 폰 을 통한 트위터 사용에 있어 연령이 높고 이용시간이 많을수록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사람과 대화빈도가 높을수록 친밀감, 유대감, 신뢰감, 놀이 성 모두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중 쌍방향성과 반응 성을 높게 인지할수록 친밀감, 유대감, 신뢰감, 놀이 성을 높게 인지하며 다른 사람과 연결성을 지각할수록 신뢰감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을 적게 할수록 유대감과 신뢰감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온라인상에서 부정적인 경험이 적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동성이 낮을수록 친밀감, 유대감, 신뢰감을 높게 형성한다고 나타났는데 이는 스마트 폰 을 통한 트위터 사용의 주요한 특성인 이동성은 관계 형성에 있어 영향이 없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가설 2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셋째, 트위터 에서 형성한 온라인 관계를 오프라인으로까지 발전시키는 이용자 104명을 분석한 결과 유대감은 외적인 오프라인 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화빈도와 이용비율이 높고 반응 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유대감과 놀이 성을 많이 느낄수록 스마트 폰 에서 온라인 관계를 형성한 후 오프라인 상에서도 만나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가깝다고 느끼며 만남 자체에 거리낌이 없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화빈도와 이용비율, 반응 성, 유대감, 놀이 성을 높게 느낄수록 내적인 오프라인 관계 형성이 긍정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외적인 오프라인 관계보다 내적인 오프라인 관계에 더 많은 영향이 나타난 것은 오프라인 관계 형성이 어렵지만 일단 한번 형성된 후에는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 폰 과 SNS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연구의 폭을 넓히고, 주로 온라인 관계만 연구한 선행연구들을 보완 해 온라인 관계를 오프라인 관계로 까지 발전시켜 연구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개인과 기업들에게 SNS와 스마트 폰 에 대한 현황파악 및 서비스 확대를 위한 전략 제시에 필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Ⅱ. 이론적 배경 3 A. 스마트폰의 등장과 이론적 고찰 3 (1) 스마트폰의 정의와 특성 3 (2) 스마트폰에 대한 선행 연구 5 B. SNS의 등장과 이론적 고찰 9 (1) SNS의 정의와 특성 9 (2) SNS에 대한 선행 연구 12 (3) 트위터의 정의와 현황 15 (4) 트위터에서의 관계 형성 17 C. 지각된 상호작용성 20 (1) 상호작용성의 정의 20 (2) 모바일 환경에서 상호작용성의 구성 요소 22 (3) 상호작용성의 종류 24 (4) 지각된 상호작용성에 대한 정의 26 (5) 지각된 상호작용성의 구성 요소 27 (5-1) 쌍방향성 (two-way communication) 29 (5-2) 반응성 (responsiveness) 30 (5-3) 연결성 (connectedness) 31 (5-4) 이동성 (mobility) 32 (6) 트위터 이용과 지각된 상호작용성 33 D. 모바일 SNS를 통한 온라인 관계와 오프라인 관계 35 (1) 온라인 관계에 대한 정의와 선행연구 35 (2) 온라인 관계를 형성하는 구성요소 40 (2-1) 친밀감 43 (2-2) 유대감 44 (2-3) 신뢰감 45 (2-4) 놀이성 45 (3) 온라인 관계에서 발전된 오프라인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 47 Ⅲ. 연구모형 및 가설 49 A. 연구 모형 49 B. 가설 49 Ⅳ. 연구방법 51 A. 표본구성과 분석방법 51 B. 설문의 구성 52 (1) 스마트폰을 통한 트위터 이용 정도에 대한 문항 52 (2) 지각된 상호작용성에 대한 문항 53 (2-1) 쌍방향성 53 (2-2) 반응성 53 (2-3) 연결성 54 (2-4) 이동성 54 (3) 온라인 관계 측정에 대한 문항 54 (3-1) 친밀감 55 (3-2) 유대감 55 (3-3) 신뢰감 55 (3-4) 놀이성 56 (4) 오프라인 관계 측정에 대한 문항 56 (5) 인구 통계학적 질문 57 Ⅴ. 연구 결과 58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59 B. 스마트폰을 통한 트위터 이용 정도 61 (1) 트위터를 이용하는 정도 61 (2) 스마트폰을 통한 트위터를 사용하면서 관계 형성 정도 62 C. 스마트폰을 통한 트위터 이용에서의 지각된 상호작용성 63 D. 스마트폰을 통한 트위터 이용에서 형성된 온라인 관계 65 E. 스마트폰을 통한 트위터 이용에서 형성된 오프라인 관계 67 F. 스마트폰을 통한 트위터 사용에서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68 G. 스마트폰을 통한 트위터 이용이 지각된 상호작용성에 미치는 영향 71 (1) 쌍방향성 71 (2) 반응성 72 (3) 연결성 73 (4) 이동성 75 H. 지각된 상호작용성이 온라인 관계에 미치는 영향 76 (1) 친밀감 76 (2) 유대감 78 (3) 신뢰감 80 (4) 놀이성 81 I. 트위터 이용과 지각된 상호작용성으로 형성된 온라인 관계가 오프라인 관계에 미치는 영향 83 (1) 외적인 오프라인 관계 84 (2) 내적인 오프라인 관계 86 Ⅵ. 결론 및 논의 88 A.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88 B.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93 참고문헌 95 부록. 설문지 113 Abstract 123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1043268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
dc.title | 스마트 폰에서의 SNS 사용이 온라인, 오프라인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subtitle | 트위터를 중심으로 | - |
dc.title.translated | Study on Online and Offline relationship of Smart phone SNS Users : Centering on Twitter | - |
dc.creator.othername | Kim, Min-Jung | - |
dc.format.page | x, 123 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 - |
dc.date.awarded | 2011. 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