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3 Download: 0

이야기하기를 통한 여성의 우울증 치료

Title
이야기하기를 통한 여성의 우울증 치료
Other Titles
Treating Female Depression through Storytelling : from the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ling
Authors
김경애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손운산
Abstract
과거의 남성 중심의 전통상담은 여성들이 우울증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심리적 성장을 주거나, 영적인 회복을 불러 일으킬만한 건강한 자아와 영성을 지닐 수 있도록 돕지 못했다. 본 논문은 남성 중심의 전통적 상담으로는 근본적인 치유가 되지 않음을 인식하고, 여성주의 관점에서 여성의 우울증을 이해하고, 이야기적 접근을 통해서 여성 우울증의 치료 방법을 모색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나아가 우울증의 치유와 더불어 통합적인 인간과 영적 성장이 목회상담의 목표가 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여성 우울증의 근본 원인이 가부장제 사회의 억압과 그에 따른 목소리 상실에 있음에 주목하여 Ⅱ장에서는 사회문화적, 심리적인 측면에서 여성의 우울증을 고찰하고, 여성의 목소리 상실과의 연관 속에서 우울증을 설명하였다.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는 여성이 겪고 있는 불합리한 대우와 평가, 통합적인 자아의 형성을 저해하는 성역할 고정관념, 결혼생활의 힘 분배의 불균등과 역할에 대한 이중고 등을 겪으면서 여성들이 우울증에 걸리게 되었음을 고찰하였다. 심리적인 측면에서는 여성의 낮은 자존감, 무기력함, 내면화된 분노가 우울증과 큰 상관관계 속에 있음을 고찰하였다. 라자러스(Richard Lazarus)는 우울을 삶의 나쁜 조건에 의해 자극되는 감정으로 보았는데, 이와 관련하여 뉴거(Christie Cozad Neuger)도 여성이기 때문에 겪어야 했던 좌절 경험들에 의해 우울증이 유발되었다고 언급했다. 곧, 여성 우울증을 유발하는 삶의 나쁜 조건은 여성으로서 경험하는 삶의 자리와 관련되어 진다고 볼 수 있다. Ⅱ장의 후반부에는 이야기적 관점에서 여성의 우울증을 고찰하였다. 남성 중심 사회에서의 억압으로 여성은 계속된 목소리의 거절과 차단을 경험하면서 목소리를 상실한다. 목소리는 단지 여성의 주장이나 말하고 싶은 바람을 이야기하는 것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뉴거가 말하는 목소리의 개념을 따라서, 목소리는 한 사람의 경험을 달성하고 그 경험을 진실로 중요한 것으로 칭하는 의식을 이야기할 수 있는 언어와 모델을 찾아낼 수 있는 능력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목소리는 여성의 의식과 삶과 관련된 총체적인 경험과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써, 목소리의 상실을 자아 상실, 여성 우울증과의 관련 속에서 살펴보았다. 우울증이 목소리의 상실과 관련된다는 전제하에 여성의 이야기하기는 건강한 자아를 찾아 나서는 것으로써 억압에 대한 개인적인 항거이며, 공동체 안에서 이야기하기는 억압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항거가 된다. Ⅲ장에서는 이야기하기를 통한 여성 우울증 치료의 실제적인 부분을 다루었다. 전반부에서는 우울증 치유를 위한 신학적 자원들로써 여성을 존중하신 예수님에 대한 메시지와 풍성한 하나님의 이미지, 여성만의 고유한 특성에 대한 여성 긍정의 메시지를 제시했다. 이를 통해 우울증으로 인해 낮은 자존감과 자기비하, 무기력함으로 일관하며 자신을 부정하던 여성이 자신을 긍정함으로 우울증에서 회복될 수 있음을 주장했다. 또한, 치유를 위한 상담적 자원으로써 여성주의 관점에서 이야기 상담의 개론적인 부분을 살펴보았다. 후반부에는 뉴거의 이론을 중심으로, 여성을 위한 목회상담의 관점에서 여성 우울증을 바라보고, 이야기 이론을 적용하여 여성 우울증 치유를 위한 방법과 과정들을 제시했다. 목소리 내기, 분노표현하기, 명료화하기, 새로운 이야기 선택하기, 지지 공동체와 연결하기로 요약할 수 있다. 목소리 내기에서는 여성이 잃어버린 자신의 언어를 찾고,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 자신의 이야기를 함으로 분명한 목소리를 내도록 해야 함을 살펴보았다. 분노표현하기에서는 가부장제 사회에서 내면화된 분노가 여성 우울증의 양상으로 나타남을 인식하고, 여성이 우울증에서 벗어나기 위해 합리적인 분노 표현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을 주장했다. 합리적인 분노의 표현은 우울증에 대한 방어이며, 인간관계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관계 속에서 여성이 착취당하지 않고 희생되지 않도록 지킬 수 있는 방편임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여성을 우울하게 하는 억압적 상황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그것에 대항할 수 있는 풍성하고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고, 선택해야 함을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새롭게 선택한 이야기가 계속해서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대항 공동체에 속하는 것이 중요함을 살펴보았다. 여성 우울증의 근본적인 해결은 우울증의 해결만이 아니라, 통합적이고 건강한 자아를 형성하고 심리적 충만함과 더불어 영적 성숙이 이루어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Traditional male-oriented counselling has failed to help women overcome depression or achieve a healthy self-image and spirituality in order to heal themselves. Recognizing that traditional male-oriented counselling does not offer fundamental solutions for female depression,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depression of women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nd discover ways to treat female depression by taking a storytelling approach. The study further goes on to maintain that the goal of pastoral counselling should be not only treating depression but also helping patients be holistic human beings and achieve spiritual growth. In the second chapter, recognizing that oppressive patriarchal society, which leaves women voiceless, is the fundamental cause of female depression, the study examines depression of women from a sociocultural and psychological point of view and explains the depression in relation with voiceless women.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 study presents that women become depressed due to unfair treatment and discrimination, gender stereotype which hinders them from establishing holistic self-images, imbalanced power distribution in marriage and gender role.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the study shows that women’s low self-esteem, helplessness, internalized anger is closely related to depression. Richard Lazarus viewed depression as emotion triggered by bad conditions in life. In the same light, Christie Cozad Neuger also said women’s depression is caused by their frustrating experiences. In other words, bad conditions in life that cause female depression are closely related to experience of life as a woman. In the latter part of the second chapter, the study examines female depression from a storytelling point of view. The oppressive, male-dominated society has denied women opportunities to express themselves, which leaves them voiceless. Voice is not confined to only the storytelling of women's arguments or wishes to tell. Based on the concept of voice defined by Neuger, voice even includes the ability to achieve a person's experience and find out the language and model which can tell awareness designating the experience as a truly important thing. Therefore, given that voice is related to women’s awareness and their comprehensive experiences in life, the study looks into the loss of voice in relation to a loss of self-image and female depression. Supposing that depression is related to the loss of voice, self-storytelling of women is a path to establishing a healthier self-image, which is a personal protest against oppression. Storytelling within a community is a more active protest against oppression. The third chapter deals with a more practical approach to treating female depression. The former part of the chapter presents theological resources to treat depression - the message of Jesus who fully respected women, the image of God’s abundance, and positive messages about women’s unique traits. This study maintains that these resources can help depressed women with low self-esteem, self-criticism, helplessness and self-denial have positive self-images and overcome depression. In addition, the study takes an overview of storytelling counselling from feminist perspective as a counselling resource for treatment. The latter part of the third chapter sees female depre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ling based on Neuger’s theory and suggests ways of using storytelling to treat female depression - raising one’s voice, expressing anger, clarifying, choosing new stories, and establishing connection with support groups. In ‘raising one’s voice,’ the study shows that women should regain their lost voice and deliver their own stories in the patriarchal society. In ‘expressing anger,’ the study examines that internalized anger suppressed by the patriarchal society can lead women to develop depression and maintains that women should express their anger in a reasonable manner. Reasonable expression of anger is a defense mechanism against depression, and it is not a way of destroying interpersonal relations but a way for women to ensure that they are not exploited or forced to sacrifice. The study also maintains that women should clearly recognize the oppressive situations that push them into depression and create and choose abundant, new stories that enable them to resist the oppression. Finally, the study shows that joining a healthy protestor community is important for women to be continuously empowered by the new narratives. The fundamental solution to women’s depression is not just treating the depression itself but helping women establish holistic and healthy self-images and reac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piritual grow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