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6 Download: 0

한국어 학습자 작문에 나타난 시제상 습득 연구

Title
한국어 학습자 작문에 나타난 시제상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cquisition of Tense aspect in Korean learners' writings based on the Discourse Hypothesis
Authors
심은지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usage patterns of tense aspect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based on the Discourse Hypothesis that explains the acquisition of tense aspect within the context of discourse. The hypothesis suggests that speakers may distinguish foreground from background by using different tense aspects for discourse structures. To fulfill this study's objective, the uses of tense aspect for writing discourses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first examined, and the percentages of past tense used in the learners' compositions by their proficiency levels in using tense were also analyzed along with the comparisons with native speakers' compositions. In addition, the recognition that most of existing studies associated with the discourse hypothesis were limited to the narrative discourses, in particular those in story retelling formats, led to the expansion of target text genre in order to examine how the usage patterns of tense aspect were changed in each of the varied text genres. The composi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Section 1 identifies this study's objective and need, and inquires into previous studies associated with the discourse hypothesis, finally dra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Section 2 outlines theories of interlanguage tense aspect acquisition and the discourse hypothesis, and explores the types and conceptions of discourse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narrative discourse. Based on this research, the specific standards of distinguishing foreground from background are established as a foundation for the study of the discourse hypothesis, and lays out a logical basis for the selection of diary and travel essay as distinguishing factors of text genre; Section 3 explains the procedure and results of preliminary and main experimentations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paper collects diaries and travel essays of both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are reclassified by their proficiency levels in using tense morpheme; Section 4 statistically analyzes the results and considers whether this study's hypothesis could be supported. When the usage patterns of tense aspect are analyzed by discourse structure for writing discourses among the two group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the results reveal that for both groups, the percentages of past tense uses are significantly higher in foreground than background. And when learners are classified by proficiency in using past tense and their usage patterns of tense aspect are compared, the results indicate that learners with higher proficiency tend to use lower percentages of past tense both in foreground and background, showing wider difference from native speakers. This is the very point where this study attains different results from the ones of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discourse hypothesis. Finally, the examination of the usage patterns of tense aspect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by genre reveals that the general usage percentages of past tense are higher in travel essay than in diary, but the statistical differences are not significant. Furthermore, the absolute percentages of past tense are not high enough to be considered significan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meaningful by showing that the discourse hypothesis can be applied to Korean language and discourse genre influences the usage patterns of tense aspect. This paper, however, has implications for fully covering other diverse factors of influence on discourse structures in selecting genres as comparing targets. Further studies must be done through a thorough analysis of text qualifications, considering the context where foreground and background could be turned around.;본고는 시제상 습득을 담화의 맥락에서 설명한 담화구조가설을 기반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상 사용 양상을 밝히는 연구이다. 담화구조가설이란 화자가 담화 구조에 각각 다른 시제상을 사용함으로써 전경과 배경을 구별한다는 이론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담화에 나타나는 시제상 사용을 살폈고 학습자의 시제 사용 숙달 도에 따른 과거시제 사용 비율 차이와 모어 화자와의 유사성도 분석했다. 또한 기존 담화구조가설 연구가 주로 서사 담화 내에서도 이야기 재구성 방식의 유도된 담화 맥락에서만 논의를 진행한 한계를 인식하고 장르 변인을 추가하여 다양한 텍스트 장르 안에서 시제상 사용이 달라지는 양상을 보고자 했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Ⅰ장에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담화구조가설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고찰했다. 그리고 본고가 다룰 연구 문제를 도출한다. Ⅱ장에서는 중간 언어 시제상 습득이론과 담화구조가설을 개괄하고 담화의 유형과 개념, 서사 담화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폈다. 여기서 담화구조가설 연구의 기초가 되는 전경과 배경을 구분하는 구체적 기준을 설정하였으며 일기와 기행문이라는 텍스트를 장르 변별 요인으로 정한 근거를 밝혔다. Ⅲ장에서는 이를 토대로 예비 실험과 본 실험을 진행한 절차와 결과를 설명했다. 본고는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일기와 기행문 작문을 수집하였고, 학습자는 시제 형태소 사용 능력을 기준으로 숙달 도를 재 분류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Ⅳ장에서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연구 가설의 채택 여부를 살폈다. 한국어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쓰기 담화에서 담화구조에 따라 나타나는 시제상 사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 양자 모두 전경에서 과거시제 사용 비율이 배경에 비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과거시제 사용 능력에 따라 학습자의 숙달 도를 나누고 이들 간에 시제상 사용 양상을 비교한 결과 시제상 숙달도가 향상될수록 전경, 배경 모두에서 과거시제 사용 비율은 오히려 감소했으며 모어 화자의 사용 방식에 접근하지 않았다. 기존 담화구조가설 연구 결과와는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장르별 시제상 사용 양상을 살핀 결과 일기보다 기행문에서 전반적인 과거시제 사용 비율이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과거시제 사용 비율의 절대적인 크기도 유표적이라고 할 만큼 크지 않았다. 본고는 담화구조가설이 한국어에서도 설명력을 가지는 지와 담화의 장르가 시제상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보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본 연구는 비교 대상이 되는 장르를 선정할 때 담화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녔다고 평가할 수 있다. 향후 보다 면밀한 텍스트 자질 분석을 통해 전경과 배경이 역전될 수 있는 맥락을 고려하여 논의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