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6 Download: 0

모국어와 숙달도에 따른 담화표지 ‘뭐’의 의미 기능 이해

Title
모국어와 숙달도에 따른 담화표지 ‘뭐’의 의미 기능 이해
Other Titles
A Study about Understanding of Semantic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 'mwuh' according to Learner's native language and Proficiency
Authors
민유미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고는 담화·화용론적 요소 중 특히 담화표지에 주목하여 담화표지 ‘뭐’의 다양한 의미 기능을 찾아 정리하고, 모국어와 숙달도를 변인으로 하여 하위권과 상위권으로 나눈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을 대상으로 ‘뭐’ 의미 기능 이해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연구이다. ‘뭐’는 대부분의 한국어 교육기관 초급 단계에서 의문사로서의 뜻만 교수되지만 실제 한국인의 발화를 살펴보면 의문사보다 담화표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매우 많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뭐’의 여러 의미 기능을 정리하여 듣기 과제를 만든 뒤 일본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뭐’의 의미 기능 이해를 살펴보았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기술하였고 본고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찾아 정리하였다. 그리고 연구 문제를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 기술하였는데 먼저 담화표지의 정의 및 특징에 대해 정리하였고 의문사인 ‘뭐’가 담화표지로 변한 과정인 문법화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그리고 담화표지 '뭐‘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 기능에 대해 정리하였고 어휘 의미 확장에 따라 학습자 모국어 전이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구 참여자 선정 기준, 연구 대상과 실험 도구, 연구절차, 자료 분석에 사용한 통계 프로그램과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고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14가지 ‘뭐’의 의미기능을 정리하여 그를 바탕으로 듣기 이해 평가 도구를 만들었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모국어에 따라 ‘뭐’의 의미 기능별 이해에 차이가 있는지, 또 숙달도에 따라 ‘뭐’의 의미 기능별 이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고 숙달도 그룹 내에서 모국어에 따라 ‘뭐’의 의미 기능별 이해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간략하게 정리하고 본고의 의의와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본고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화·화용론적 연구와 교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담화·화용론적 연구 실적은 미진한 편이다. 특히 개별 담화표지의 연구는 이루어진 것이 별로 없는데 본고에서 ‘뭐’에 대해 연구함으로 개별 담화표지 연구의 범위를 조금이나마 넓혔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본고에서는 의문사 ‘무엇’의 축약형 ‘뭐’가 담화표지로 쓰일 때의 의미 기능을 정리하였고 실험을 통해 학습자들의 이해도를 살펴보았다. 비단 ‘무엇’ 뿐 아니라 ‘어떻게’, ‘어디’, ‘왜’ 등도 의문사에서 의미 범위가 확대되어 담화표지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의문사의 담화표지화 연구의 중요성을 본고가 다시 한 번 강조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선행 연구들에서는 '뭐'의 다양한 의미 기능을 밝히기만 하였지만 본고에서는 실제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어떤 의미 기능을 어려워하는지 알 수 있었다. 넷째,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매우 자주 쓰는 ‘뭐’인데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이 다양한 ‘뭐’의 의미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결론을 통해 수업시간에 체계적인 담화·화용론적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This study focuses on the colloquial discourse marker 'mwuh' and analyzes its various semantic functions. Many Korean Language center teach students 'mwuh' is an 'interrogative' in beginner level. However 'mwuh' has many semantic functions as a discourse marker and many Korean use 'mwuh' as a discourse marker than an interrogativ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determine differences in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the semantic function of 'mwuh' among Korean native speakers, Chinese Korean learners and Japanese Korean learners, with native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s variables. Chinese and Japanese Korean learners are divided into higher rank and lower rank groups. This study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Chapter 1 identifies the objective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followed by a discussion of existing literature related to the topic of said paper. Finally, the research question is presented in detail. Chapter 2 discusses relevant theoretical background. After a discussion of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markers,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interrogative 'mwuh' into a discourse marker is summarized. Finally, this chapter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features and semantic functions of the discourse marker 'mwuh' and language transfer according to meaning extension. Chapter 3 discusses research methodology, which consists of the following elements: standards used to select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object, data collection method, research procedure, and the statistical program and method used for data analysis. Chapter 4 presents research findings. Firstly, upon conducting one-way ANOVA and the Scheff? post hoc test and contrast on each survey question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or not native language has an impact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emantic functions of 'mwuh'. Secondly, upon conducting one-way ANOVA and the Scheff? post hoc test and contrast on each survey question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or not Korean language proficiency has an impact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emantic functions of 'mwuh'. Thirdly, in order to answer research question 3, two-way nested anova was us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native languages within the same proficiency level. Finally, Chapter 5 briefly summarizes research findings and discuss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need for teaching and research on colloquial and conversational speech theory is growing, but there is relatively little research in this field compared to other areas of linguistic research. This study on the discourse marker 'mwuh' can be seen as having contributed at least marginally to discourse marker research.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the semantic functions of the discourse marker 'mwuh', the abbreviated version of the interrogative ?mu-ut,? and investigated participants? level of understanding through experimentation. In addition to 'mwuh', the interrogatives 'uhttughkke', 'uhdi' and 'woeh' are increasingly being used as discourse markers as their semantic functions increase in number. However, learners at the beginner level learn only the interrogative meanings. This study can be seen as havi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the transformation of interrogatives into discourse markers. Thirdly, In many research, researchers only present to many semantic functions of 'muah'. However, in this research findings, we can know what semantic functions are hard to be understanding to Japanese korean learner and Chinese korean learner. Lastly, despite the frequent usage of 'mwuh' by Korean native speakers in everyday conversation, this study shows that learners do not understand its various meanings. More systematic instruction of the colloquial meanings of discourse markers is necessa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