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김하영-
dc.creator김하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8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2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9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234-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사용의 결과가 아닌 화용 인식에 주목하여 언어 학습 환경에 따라 구분된 태국인 KSL 집단과 태국인 KFL 집단의 화용 인식을 문법 인식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본 연구이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해 논의하고 화용 인식과 언어 학습 환경에 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로부터 언어 학습 환경과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인식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문제 1-1은 언어 학습 환경 차이가 화용적 오류 및 문법적 오류의 유무를 알아차리는 것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며 연구 문제 1-2는 알아차린 오류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에 언어 학습 환경이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 문제 2는 실험 상황이 아닌 학습자의 실제 언어생활에서의 화용 인식과 언어 학습 환경 간의 상관관계를 사후 질문과 면담의 방법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Ⅱ장에서는 언어 학습 환경에서 기인하는 입력의 차이에 관해 정리하고 본고의 논의의 대상이 되는 화용적 능력 및 언어 인식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이 장에서는 피험자 선정 기준과 연구의 대상 및 자료의 수집 방법으로 사용된 화용 인식 판단 평가 도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또한 예비 실험과 본실험으로 이루어진 연구의 절차를 순차적으로 기술하고 자료 분석을 위해 사용된 통계 처리 방법 및 사후 질문지 결과 분석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계 분석하여 KSL 학습자가 KFL 학습자보다 화용적 오류를 잘 알아차리고 한국어 모어 화자와도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KSL 학습자는 KFL 학습자보다 문법적 오류보다 화용적 오류에 대해 부정적으로 반응하였으며 KSL 학습자의 결과는 KFL 학습자의 결과보다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결과 쪽으로 치우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인식에 있어서 언어 학습 환경이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후 질문지 및 면담의 결과를 통해 언어 학습 환경과 학습자의 화용 인식간의 관계를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목표어의 담화 현장에서 언어 학습을 하는 KSL 학습자 집단은 목표어를 통한 상호 작용 및 입력의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화용 인식 발달의 토대가 된다는 것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본고의 의의와 제안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고의 의의를 밝히자면 다음과 같다. 학습자의 언어 생산과 현상이 아닌 인식에 초점을 맞추어 화용 인식과 언어 학습 환경과의 관계를 고찰하려 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 동안 연구가 미진하였던 KSL 집단과 KFL 집단 간의 비교를 통해 현지에서의 언어 학습의 여부가 화용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화용적인 측면의 중요성과 화용 발달에 있어서 모국어가 아닌 다양한 학습자 변인이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강조하였다. 특히 국외의 한국어 학습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과 맞물려 이는 KFL 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This study focuses on the pragmatic awareness rather than the results of language usage in learners of Korean. We compared the pragmatic awareness with the reception of grammar in a Thai KSL group and a Thai KFL group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ir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This paper is structured as follows. In Chapter I we discus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investigate the existing literature on pragmatic awareness and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From these studies, we induce a research probl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and pragmatic awareness. Research problem 1-1 involves analyzing the influence of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on perceptiveness of pragmatic and grammatic errors. Research problem 1-2 involves analyzing the influence that the negative reactions to perceived errors have on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Research problem 2 involves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al-life pragmatic awareness of learners and their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in non-experimental situations through post-test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Chapter II deals with input differences stemming from the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as well as the concept of language perception and pragmatic awareness, which serve as the subjects of this paper. In Chapter III, we have described the research methods in detail. In this chapter, we iterate details on the subject selection standards and the pragmatic awareness evaluation tool used to gather data as well as subjects. Also we describe the order of the research process, which was comprised of preparatory and main experiments, as well as describing the statistics method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method utilized for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post-test questionnaires. In Chapter IV, we have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gathered data, it has been shown that KSL learners are more likely to notice pragmatic errors when compared to KFL learners, and that they show a similar tendency to Korean native speakers. Also, KSL learners, when compared to KFL learners, responded more negatively to pragmatic errors rather than grammatical errors, and the results of the KSL learners was also closer to the results shown by Korean native speakers. This showed that the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influences the pragmatic awareness of learners of Korean. Finally, through the results of the post-test questionnaires and the interviews, we reaf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 pragmatic awareness of learner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we showed that the KSL learner group that is learning the target language at its main site of speaking has sufficient possibility for interaction and input through the target language. We also showed that this form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ragmatic awareness. Finally, in Chapter V, we summarized the results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paper.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in it attempte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ragmatic awareness and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without focusing on the language production and phenomena of the learner, but in the department of perception. This paper also proved the influence that studying language at its country of origin has on pragmatic awareness,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the KSL and the KFL. These study results re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agmatic aspects as well as the fact that in pragmatic development, various learning variables can influence progress. This is especially meaningful for KFL education, in tandem with the increasing foreign students of Korea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2 C. 연구 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11 A. 언어 학습 환경과 입력 11 B. 화용적 능력 13 C. 언어 인식 14 Ⅲ. 연구방법 17 A. 피험자 선정 17 1. 피험자 선정 기준 18 2. 동질성 검사 20 B. 자료 수집 방법 20 1. 실험 도구 개발 21 2. 사후 질문 및 면담 28 C. 연구의 절차 28 1. 예비 실험 29 2. 본실험 31 D. 자료 분석 방법 32 1. 통계 처리 방법 32 2. 사후 질문 및 면담 결과 분석 방법 33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34 A. 화용적 오류와 문법적 오류 인식 판단 평가 34 1. 오류 유무 인식 34 2. 부정적인 반응의 정도 44 B. 사후 질문 및 면담 결과 분석 52 1. 실험 도구에 대한 응답 근거 53 2. 한국어 학습 시 학습 방향 55 3. 한국인과의 의사소통 시 고려하는 부분 57 Ⅴ. 결론 및 논의 62 참고문헌 65 부록 1. 화용 인식 평가 도구 69 부록 2. 사후 질문지 77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43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title언어 학습 환경이 화용 인식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문법 인식과의 비교를 통해-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on pragmatic awareness-
dc.creator.othernameKim, Ha Young-
dc.format.pagevii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