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Customizing Foriegn Aid to Conflict Areas

Title
Customizing Foriegn Aid to Conflict Areas
Other Titles
분쟁지역을 위한 맞춤형 대외원조 : 1984-1986년 미국의 에티오피아 원조 사례 연구
Authors
이혜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궁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four specific ways of considering how ‘customized aid’ can be provided successfully for areas in conflict by analyzing how U.S. aid to the Ethiopian famine of 1984_1986. In the case of this famine, existence of discrimination by Ethiopian government against those regions of the country that were being held by rebel forces was in fact more significant than natural disasters that contributed to the famine. Because of concerns that the Ethiopian government was using food as a weapon, U.S. chose the direct distribution formula. In case where foreign aid is being provided, it is generally necessary for the recipient to process both a capacity for distributing that aid fairly and a willingness to do so. In the case of the Ethiopian famine, both elements were deficient in Ethiopian government. Four identifiable changes made by the donor show how U.S. took on the responsibility not only for providing famine relief but also for distributing the aid. The four kinds of changes were as follows. First, U.S. decided on alternative plans for cooperation with Ethiopian government. The mediator role between Ethiopian government and guerillas that the U.S. took on was intended to avoid violating their sovereignty in order to enable the aid to reach the areas under control of Ethiopian government. Second, by establishing legal support for nonfood aid, U.S. could change the patterns of inland transportation for areas in the conflict, despite the high cost. Third, a partnership between U.S. and a number of NGOs made proper distribution possible. In the field of relief, NGOs were specialized in local conditions than the donor country, and their stance of political neutrality was the appropriate one in the circumstances of civil war. Finally, the way to agricultural recovery helped famine victims return to self-sufficiency. Because of the accurate information about yield and weather conditions that they were applied to supply, stable food production became possible. This also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aid in enabling sustainability. U.S. emergency relief was successfully finished, but despite this donor flexibility regarding the way aid was distributed, food shortages remained in the areas where the conflict persisted. Thus, despite the donor possessing the capacity to distribute aid effectively, there was still a great dependence on the willingness of the host government to allow this to happen. This thesis therefore not only suggests specific ways considering how customized aid can be provided for areas in conflict, but also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the willingness of recipient country to cooperate in this process.;본 연구는 분쟁지역을 위한 ‘맞춤형 대외원조’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1984-1986년 미국의 에티오피아(Ethiopia) 원조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어떠한 변화를 통해 미국 원조가 성공할 수 있었는지 분석한다. 1984-1986년 에티오피아 기근은 반군 지역에 대한 에티오피아 정부의 지역적 차별이 핵심 문제가 되었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식량을 무기로써 사용하였고, 이 때문에 미국은 에티오피아 식량 분배를 통하지 않는 직접 분배 방식을 선택하였다. 원조에 있어서 수혜국(recipient)에게는 원조 수용 능력과 의지가 요구되는데, 에티오피아의 경우 두 가지가 모두 결핍되어 있었다. 때문에 미국은 ‘공여국(donor)의 유연성’을 바탕으로 기근 구호뿐만 아니라 에티오피아의 원조 수용 능력까지 담당하였다. 미국의 에티오피아 기근 구호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변화를 통해 성공에 이르렀다. 첫째, 미국은 에티오피아 정부와의 협력을 위한 대안을 선택하였다. 미국은 에티오피아와 게릴라(guerrilla)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담당하였고, 그들의 주권을 침해하지 않는 대안적 선택으로 인해 반군 지역 식량 공급은 가능해졌다. 둘째, 미국 정부의 ‘비 식량원조’ 부분에 대한 법적 지원으로 인해 반군 지역만을 위한 국내 식량 운송 수단의 변경은 값비싼 경우에도 가능했다. 셋째, 비정부기구(NGO)와의 협력으로 필요에 따른 균등한 식량 분배가 가능해졌다. 비정부기구의 정치적 중립성, 그리고 지역적으로 전문화된 프로그램은 공여국보다 분쟁지역 구호활동에 더욱 적합하였다. 넷째, 수확량과 기후 조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산량은 안정화되었고, 농업 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기근 희생자들은 자급자족의 생활로 돌아갈 수 있었다. 또한 농업 재활 프로그램은 이와 같은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는 장기적 개발원조의 중요성을 상기시킨다. 기근 구호뿐만 아니라 수혜국의 원조 수용 능력까지 도맡았던 미국의 원조는 성공에 이르렀다. 그러나 기근 구호 이후 에티오피아 분쟁이 다시 시작됨으로써 이 성공은 단기적 효과에 머물고 말았다. 수혜국의 원조 수용 능력은 공여국가로부터 유입이 가능하지만, 그 의지는 불가능하다. 그런 의미에서 에티오피아 사례는 수혜국이 갖는 의지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갈등지역을 위한 맞춤형 원조의 네 가지 고려사항을 제안함과 동시에 원조에 있어서 수혜국이 갖는 의지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