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과학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Title
과학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Science Curriculum Implementation
Authors
송윤미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여성희
Abstract
This study has a purpose for providing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curriculum for efficient curriculum implementation through investigating on perceptions about science curriculum implementation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5 teachers who attended elementary schools at Seoul, Incheon, BusanㆍGyeongsangnam-do. The result of the survey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é post hoc test, Pearson correlation assa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2.0. The result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s about science curriculum implementation has shown teacher's internal factors higher than teacher's external factors(p<.05). Second, the perceptions about the sub-region in teacher's external factors has shown 'resource adequacy', 'professional support', 'school ethos', and 'time' in the order(p<.05). And the perceptions about the sub-area in teacher's internal factors has shown 'resource adequacy', 'professional support', 'school ethos', and 'time' in the order(p<.05). Third, the perceptions about science curriculum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has shown high that more higher teaching career. Forth, the perceptions about science curriculum implementation according to 'continual implementation or not' has shown high that continual implementation about identical grade curriculum higher than not continual implementation about identical grade curriculum(p<.05). Fifth, after checking the correlation between sub-region of perception about science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result was that there was a signigicant positive correlation(p<.05). Most of all, perception about science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perceptions about teacher external factors was the highest correlation(p<.05). Sixth,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factors affected perception about science curriculum implementation were 'teaching career', 'type of establishment', 'continual implementation or not' in the order. Also, It shows the influence of 11%(p<.05). This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raining courses to help with decision-making can be used as materials. Because of this, the teacher's variables are considered effectiv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will be achieved;최근 교육과정 연구의 관심은 교육과정의 이해와 실행에 모아지고 있으며,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연구에서는 교사변인의 중요성이 부각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의 교육과정 실행과 교사변인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흡하며,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변인을 중심으로, 학교 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과학 교육과정의 실행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과 인식 영역 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교사변인의 영향력을 조사함으로써 효과적인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교육과정 연수나 장학, 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과정 운영 등의 지원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인천, 부산ㆍ경남 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 교사 3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사변인은 ‘교직경력’, ‘담당학년’, ‘연속실행 여부’, ‘연수 횟수‘, ‘설립유형’ 별로 분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é 사후검증, 상관 분석, 그리고 단계선택법을 이용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인식은 교사외적요인 영역보다 교사내적요인 영역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p<.01). 교사가 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외부적인 요인보다는 교사 자신의 태도와 지식, 교수기술 등의 교사내적요인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교사외적요인의 하위 영역에 대한 인식은 자원 적절성, 전문적 지원, 학교 풍토, 시간 순으로 나타났고(p<.05), 교사내적요인의 하위 영역에 대한 인식은 교사의 교수태도와 교수적성이 동일하게 높게 나타났고 교수지식은 낮게 나타났다(p<.05). 셋째, 교직경력 여부에 따른 과학 교육과정 실행에서의 인식은 교직경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p<.05). 이는 교사의 교수경험 및 교직경력이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교수ㆍ학습의 능력과 지식 등을 습득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연속실행 여부에 따른 과학 교육과정 실행에서의 인식은 교사가 동일교육과정을 연임한 경우가 연임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5). 따라서 연속실행 여부의 능력은 교사들은 1차년도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해의 수업에서는 과학 교육과정 실행의 능력이 의도에 맞게 더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과학 교육과정 실행의 인식 영역 간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정적 상관이 높게 나타났고(p<.01), 그 중에서 교사외적요인과 과학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간의 상관계수가 .9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1). 이는 과학 교육과정 실행의 영역들이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 복합적으로 과학 교육과정 실행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섯째, 과학 교육과정 실행의 인식이 교사변인에 의해 얼마나 설명이 되는지, 교사변인의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교직경력’, ‘설립유형’, ‘연속실행 여부’에 의해 11%의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 중에서 교직경력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교사들의 교직경력이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교수ㆍ학습의 능력과 여러 상황에 대처하는 방법, 지식 등을 습득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중등학교의 경우에는 교육과정 실행이 초등학교와 다른 형태인 교과 담임제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연구대상을 중등학교의 교사의 실행에 대한 인식으로 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