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0 Download: 0

문장발화 수준의 발음 교육 연구

Title
문장발화 수준의 발음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Pronunciation Education at the Sentence Level
Authors
김수정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rticular problems of pronunciation education which is at present, deficient in generating conspicuous results in line with fulfilling the overall objective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e. “facilitating the accurate, effective use of the Korean language,” and to encourage practical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s that best reflect educational needs. Having a good command of the Korean language and its pronunciation is associated not only with smooth verbal communication among its language population, but also a rich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based on the precise use of language. As blatant mispronunciations of the language become more and more common across the Internet, on television, and other types of mass media that rapidly and prominently shape all aspects of everyday life, this ultimately exerts a negative effect on the language proficiency of our youths. Contrary to these rapidly evolving trends, however,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predominantly focused on knowledge-oriented pronunciation education without a systematic and prioritized approach to teaching. This is problematic because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no longer arouses the interest of students; furthermore, it fails to inculcate habits of proper pronunciation of the language since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has increasingly become reliant on merely encouraging ‘simple memorization.’ Moreover, despite the existence of the ‘Pronunciation Standard Law’ as a standard measure for the correct pronunciation of Korean, it has been criticized among scholars for its illogical explanations and structure. Numerous studies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developing measures to reform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m, however, are limited by the fact that they simply propose to measure whether studentsse to mealy pronounce several sample wordsse tording to the Standard Pronunciation Law in order to identify the cmeagories of mistakes whereby wordssere frequently mispronounced, and to nducted reperative measures to address these problems, yet still relying on tradientify knowledge-oriented tandard Pronunciation emphasize the memorization of content. These research an pronuere e the memu mikely to be reordered in wordsse tording to the Seducation straeagieskely to be, even if they are applied to to identify content,uere e th pfdevelopito solve to be,oblemsation ere nduvfyloping to rlopito identify wordsices. In this thesis, I have concentrated on devising pragmatic, yet effective methods for the enhancement of pronunciation education. First, I conducte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members of educational sites, such as teachers and students, and investigated their perception and opinions on what they think about standard pronunciation and pronunciation education. Also, I attempted to realistically assess the pronunciation accuracy of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level of actual articulation, i.e. the ‘sentence level’, in order to reveal any discrepancies between their perceptions and actual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acquired above, this thesis attempts to identify common features underlying the perceptions and realities of pronunciation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and applies these findings to suggest practical and effective principles for conducting pronunciation education. This thesis will proce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outline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Chapter 2, before looking at the actual state of pronunciation education, I systematically review the status of pronunciation education within the current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overview, is to point out the potential problems inherent in the current curriculum that undermine effective pronunciation education and present proper measures to address these deficiencies from a broader theoretical standpoint. In Chapter 3, I present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research that I employed in order to achieve validity for my findings on pronunciation education. This study does not stop at simply disclosing the extent of errors in pronunciation through statistical inquiry; rather I have adopted a much more structured approach that simultaneously implement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in order to jointly identify both the perceptions and actual practice of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pronunciation and pronunciation education. Therefore, I focus in this chapter on laying out the specific systematic procedures I employed in my research. In Chapter 4, based on the procedures and measures described in the previous chapter, I present and analyze the results I acquired through the actual conduct of my survey research. By identifying the perceptions and actual speech practices of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pronunciation precision at the sentence-level, I have attempted to propose measur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ronunciation education, and to seek practicable and efficient methods for its teaching.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in both its detailed engagement with the educational needs of both teachers and students and its assessment of the extent of mispronunciation in actual practice in order to present specific principles for pronunciation education that is practicable at the educational scene.;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한다는 국어과 교육 목표 내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발음 교육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교육적 요구를 최대한으로 반영한 현실적인 발음 교육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올바르게 발음을 구사한다는 것은 의사소통을 원활히 함과 동시에 언중의 정확한 언어 사용을 기반으로 국어 문화를 풍요롭게 발전시키는 것과 맥이 닿아 있다. 그러나 급속도로 우리 생활에 깊숙이 자리잡은 인터넷과 TV 등의 영상 매체에서 잘못된 발음을 무분별하게 사용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언어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흐름의 속도와는 달리 국어 교육에서는 아직까지 발음 교육의 체계성과 위계 성 없이 지식 위주의 발음 교육에 치중하고 있다. 이는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수용하지 못한 채 올바른 발음 습관으로 전이시키지 못하는, 즉 단순히 ‘외워야 하는’ 발음 교육으로 흘러가고 있어 문제가 된다. 국어의 정확한 발음의 잣대로 ‘표준 발음법’이 제정되어 있으나 내용 상에서 간혹 비논리적인 설명과 체계가 발견되어 이미 많은 학자들로부터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발음 교육의 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수많은 연구 결과물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표준 발음법의 예로 제시된 단어를 학습자들이 제대로 발음하고 있는지 측정하고 가장 많은 오류를 범하는 항목을 밝힌 후 이에 대한 지식 수준의 발음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머물고 있다. 이러한 연구물은 현실적인 발음 교육 방안으로 반영하기 어렵거나 교육 내용에 적용하더라도 지금껏 행해오던 발음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현실 적용 가능한, 실천적인 발음 교육 방안을 강구하는 데에 주력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교육 현장의 구성원인 교사와 학습자들이 표준 발음과 발음 교육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과 의견을 가지고 있는지를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실제 발화 수준인 ‘문장발화 수준’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발음 정확도를 측정하여 발음에 대한 인식과 수행 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와 학습자의 발음에 대한 공통 분모를 찾고 이를 교육 방안으로 적용하여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발음 교육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개는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발음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기 전에 국어과 교육과정 내에서의 발음 교육을 살펴보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국어과 교육과정과 발음 교육의 이론적인 부분에서 현재 발음 교육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찾아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제3장에서는 발음 교육에 대한 조사 결과의 신뢰성을 얻고자 연구의 방법과 절차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표준 발음의 오류가 어느 정도 인지만 밝히는 통계 조사 차원에서 벗어나 교사, 학습자의 인식과 수행을 동시에 알아보기 위한 질적, 양적 연구를 병행한 것이므로 3장에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절차를 밝히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제4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연구 절차를 토대로 실제 조사를 실행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문장발화 수준의 정확한 발음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행, 학습자의 인식과 수행 정도를 밝히고 발음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 현실 적용 가능하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발음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교사와 학습자의 교육적 요구를 상세히 알아봄과 동시에 수행 부분에 있어서 오류 정도를 분석하여 교육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발음 교육의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에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