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2 Download: 0

우리나라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환경교과의 신·재생에너지 내용 비교 분석

Title
우리나라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환경교과의 신·재생에너지 내용 비교 분석
Other Titles
A Comparative Analysis of New Renewable Energy Contents in the Environmental Curriculum According to Curriculum Changes in Korea
Authors
나미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희
Abstract
세계는 화석에너지의 사용으로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문제를 겪고 있으며, 한정된 자원인 화석에너지의 사용은 범국가적으로 경제적 파급효과를 일으킨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국내·외에서는 에너지절약 및 에너지효율향상과 함께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법적·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금까지의 에너지교육은 에너지절약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나 이러한 에너지교육으로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에너지 수요와 에너지문제를 해결할 수 없기에 체계적인 신·재생에너지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교육이 환경교과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환경과가 독립교과로 지정된 제6차 교육과정부터 현재 고시된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살펴보고, 변화하는 교육과정에 따라 중등학교 환경과 교육과정에서의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내용이 얼마나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앞으로 개발될 중등학교 환경과 교육과정에서의 신·재생에너지 내용 구성의 방향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등학교 환경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각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체계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고, 신‧재생에너지 내용이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는지는 이 연구에서 개발한 분석틀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제6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등학교 환경교과의 변천을 살펴보고, 신·재생에너지 내용이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이 변화함에 따라 목표 진술이 구체화 되었으며, 내용체계는 세분화되었다. 또한 간학문적 특성이 강조 되었고, 교과목의 연계성이 중시되었다. 둘째, 제6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중등학교 환경과 내용체계에서 신·재생에너지 내용을 분석한 결과 중학교, 고등학교 모두 신·재생에너지 내용 빈도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고, 중학교 환경과 교육과정보다는 고등학교 환경과 교육과정에서 신·재생에너지 내용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내용 구성은 2007 개정 고등학교 환경과 교육과정을 제외하고는 종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았고, 신·재생에너지 필요성 영역으로 편향되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등학교 환경과 교육과정에서의 신‧재생에너지의 내용 구성이 편향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개발될 교육과정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내용을 종합적으로 구성하여 보다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개발된 분석틀은 후속연구에서 신·재생에너지 관련 내용을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본 분석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Globally, many countries are currently going through a lot of environmental problems like rapid climate changes due to the use of fossil fuel energy, and it is leading to considerable, economic ripple effects at the universal level. To solve out this matter, many countries are providing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for the new renewable energy field with reduction of energy and improvement of energy efficiency. In Korea, the energy education has only focused on reduction of energy, but it is impossible to deal with energy demand and energy issue which are rapidly increasing today, with this educational method. That's why we have to conduct more systematical education of new renewable energy. This study therefore intends to compare the 6th curriculum that designated the environment field as an independent class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n, to analyze how new renewable energy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is being implemented in the environmental curriculum in order to give implications to development of new renewable energy contents for secondary schools in the future. To examine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s, first of all, purpose and content of each curriculum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analysis tools developed in this research. When investigating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s from the 6th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o understand which content they include on new renewable energy,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ly, purposes of curriculums have been clarified with curriculum changes, and their contents have been subdivided in more detail. Also,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s and relation among curriculum subjects have been stressed more than in the past. Secondly, when analyzing new renewable energy contents in secondary schools from the 6th curriculum and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requency of new renewable energy contents has gradually increased in both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particular, the environmental curriculum in high schools had more contents of new renewable energy than the curriculum in middle schools. Also, except fo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for high schools, majority of curriculums didn't contain overall contents of new renewable energy. Instead, its contents were biased in the necessity mainly. In conclusion, it was found from these results that contents of new renewable energy in the environmental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s were highly biased in some aspects only. It implies, we need to implement more systematical education by developing overall contents of new renewable energy for the curriculum developed in the future. Furthermore, analysis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follow-up research on analysis of new renewable energy contents,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se analysis tools can be verified based on analysis resul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