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7 Download: 0

도덕적 판단력 향상을 위한 문화비평 수업모형

Title
도덕적 판단력 향상을 위한 문화비평 수업모형
Other Titles
Teaching Model based on Cultural Criticism for the Improvement of Moral Judgment
Authors
김현정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지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cultural criticism teaching model for improving students' moral judgment ability. As the modern society develops, the number of ethical issues has increased while the moral reasoning skills of students have stopped growing. This is why moral judgment ability is important. Phenomena of moral anomie, the-science-for-science principle, Value shift phenomena' are major issues in modern society. These phenomena have been derived under the influence of popular culture. If students absorb the pop-culture without moral judgment, they will grow to be adults with immoral thoughts, and the culture these adult will be creating won't solve the modern society's problems, catching in vicious circles continuously. In addition, if individuals fail to perform moral judgment ability, they will develop their values set by the people who hold the power of the culture. Moral judgment made with subjective values will make one live an ethical life, and furthermore set a communal good for the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nurture moral judgment making ability through the criticism of the culture has created, and enjoyed by human beings.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e and the ethic is an important task in apply cultural criticism to moral education. Social customs are projected inside the culture, and we call the acts of socially accepted customs that come from old ethical practices and projected social customs 'ethical'. In many definitions of the word 'culture', I've found the word has similarities with the origin of the word 'ethic'; Ethos(customs). I have realized that the culture become the object of value judgment, and it is obvious to give it an ethical thought to this culture. The convergence of cultural criticism and moral education were justified according to the claim of Van person which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thical strategy in modern culture. Therefore, he convergence of cultural criticism and moral education were justified according to the claim of C. A. Van Peursen, who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thical strategy in modern culture; I. Kant who asserts morality of culture which is "if the art doesn't combine itself with ethics, it is just an activity for entertaining"; E. Cassirer who defines culture as the whole activity of human beings' language and ethics. In order to relate the culture critic and moral judgment ability, we need to find something that can improve moral judgment ability by carefully studying the background of cultural criticism. I have inferred following three 'thinking abilities' from the anthropologist Marcus and Fischer, a culture critic Burger, a philosopher Michel Foucault. Marcus and Fisher propose vitalization of criticism’s function through cultural criticism and through an ethnographic method. They raise the issue of cultural, moral relativity to moral educators. They intend to form relative perspective by comparing other cultures. It is interpreted that the origin of how they can form the relative perspective is the existence of the concept of ‘universality’. Even when Cultures with relativity and diversity have variety of expression methods, they have something (duty, courtesy, dignity) in common within the variety. The concept of relativity exist when universality exist, criticizing task of the cultures with variety and comparing the criteria of relative cultures are considered as ‘universality’. Only with the perspective of universality allows the comparing and contrasting possible. I claim the prerequisite and criteria for comparing and contrasting is ‘universality. So, I refer it to ‘thinking ability of pursuing the universality.’ The culture critic Burger’s stance is based on a view of well explained object. In other words, critics reveal that they can only be relative to the perspective. Furthermore, the origin of perspective that each decides about a culture in a diversified society derived from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ours can only be different. Individuals go through diverse experiences, and with differences in living environment, parenting methods, and education background, distinct outcome of the perspective of criticizing the culture is somewhat apparent. So, culture criticism class at moral education need "acknowledged thinking of relative perspective" that accept different source of interpretations. I divided the meaning of relative when integrating this thinking to the moral judgment improvement. One is the perspective that sympathize the others' positions and the other is the perspective that acknowledges different points of view based on the ethical judgement. It has significant meaning, when students subjectively develop their perspective by improving moral judgment ability through this thinking process. Finally, “Subjective perspective developing thinking” has presented to understand the culture by analyz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prison in the writing of Michel Foucault’s discipline and punish(Surveiller punir : Naissance de priso). Foucault says that although the prison was justified under the purpose of correcting the prisoners, in fact it was designed to change the individuals, He interprets the power as the purpose of personal transformation and tells that this power has brought changes to the individuals in any societies by invisible and non-physical ways. The power includes everything that bring changes to individuals such as the social and political orientation, the historically cumulated myths and customs, and the lifestyle led by the natural environment. The subjective thinkers formed by elements of the power do not realize and understand the power around them and propose the critical return. Applying this to modern society’s youth generations has equal result. The purpose of pop culture is influenced as a type of the power to socialize and develop their emotions and values. Therefore, I hope students to develop their own subjective perspective by understanding and culturally criticizing the cultural environment formed by the power. In this cultural environment, students need to grow their “subjectively developing thinking ability” that strengthens the perspectives and beliefs. We need to provide opportunities to enhance the moral judgment ability by proposing ‘deep basis’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thinking abilities which enables morally judging actions upon cultural criticism in the background. "thinking ability that pursue universality", "thinking ability that admits the relative perspective." What I think of as ‘Moral Judgment’ is a judgment made based on ‘deep basis’. ‘Deep basis’ is a foundation that makes moral considerations related to moral values which forms as the moral judgment. Value judgments and moral judgments correlated with the moral relativism can be the moral judgment. To nurture moral judgment of students based on ‘deep basis’, 'Raising laurel trees in seven steps teaching model' was proposed and the teaching model has been applied to the students. After monitoring the TV program students were encouraged to exercise 'the pursuit of universal thinking', 'thinking to recognize the relative terms' about the primarily made moral judgments on the basis of ‘deep basis’, and it was proved that their judgment basis were expande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student moral judgment ability was proven through this type of activity. In addition, by discussing individual’s moral judgment and basis in a society, we can suggest the process of one’s developing subjective perspective by comparing with others. What this paper aims at cultural criticism teaching model is as follows. The improvement in students’ moral judgment ability, reviewing of our lives, and pursuing communal good, leading the culture to advancing direction are purposes of criticism classes. This class model with possibility is departure point of opening club activities such as 'Teenager Culture Criticism' and 'Teenager Culture Criticism Team' group, and can be an attempt to launch a media education 'teenager's moral judgment improvement program about pop culture morality'. Furthermore, these activities through media education sites have chances to open 'teenager culture criticism column' corner for students to communicate with real society. This study has effect of improving judgment ability by approaching students’ reasons individually. Socially, it carries meaning of a teaching model that suggests students as culture creators to head to the direction where they should be.;본 논문의 목적은 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을 향상시켜주기 위한 문화비평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도덕적 판단력이 중요한 이유는 현대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윤리 문제들이 증가하고 있음에 반하여 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은 이에 상응하여 성장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덕적 아노미현상, 과학지상주의, 가치전도현상은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문제들이다. 이러한 현상들은 대중문화의 영향력아래 파생되었다. 대중문화를 접하는 학생들이 도덕적 판단 없이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다보면 비도덕적 사고를 갖춘 성인으로 성장하게 되고 이들이 창조하는 문화는 현대사회의 문제를 해결해 주지 못해 악순환 될 것이다. 그러면 당연히 아랫세대에 답습될 것이 뻔하다. 또한 개인이 주체적인 도덕적 판단력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문화의 권력이 추구하는 목적대로 자신들의 가치관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주체적 관점에 의해 내린 도덕적 판단은 도덕적 행위자로 만들어줄 수 있으며 윤리적 삶을 살 수 있게 하고 나아가 공동체가 지향하는 공동선을 설정할 수 있다. 그래서 인간에 의해 창조되고 인간이 향유하고 있는 문화 비평을 통해 도덕적 판단력을 길러주는 것이 필요하다. 문화비평과 도덕교육을 접목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작업은 문화와 윤리의 관계성을 밝히는 일이다. 문화 속에는 사회적 관습이 투영되어있으며 우리는 그 사회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용인된 관습들에 맞게 행위 하는 것을 윤리적이라고 한다. 문화의 여러 정의에서 윤리의 어원인 Ethos(관습)와 공통적으로 통하는 것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문화는 가치판단의 대상이 됨을 알게 되었고 이러한 문화에 대해 윤리적인 고려를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하여 “예술이 도덕과 결합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단지 오락을 위한 활동에 불과하다.”는 문화의 ‘도덕화’를 주장한 칸트, 문화를 “인간의 언어적인 활동들 전체와 도덕적인 활동들 전체”로 규정하는 카시러, 현대 문화에 있어서 윤리적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한 반 퍼슨의 주장에서 문화와 윤리, 즉 문화 비평과 도덕교육의 접목을 정당화하였다. 문화비평과 도덕적 판단력의 향상을 연관 짓기 위해 문화비평의 배경들을 살펴 도덕적 판단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어떤 것을 찾아야한다. 논자는 인류학자 마커스와 피셔, 문화비평가 버거, 철학자 푸코로부터 다음의 사고력 세 가지를 유추하였다. 민족지적 문화비평을 주장한 마커스와 피셔는 문화비평을 통해 자기 사회에 대한 비평의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것과 민족지적 방법을 통한 문화비평을 제시한다. 이들은 도덕 교육자들에게 문화적․도덕적 상대성의 문제를 제기하여준다. 그들은 다른 문화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상대적 관점을 형성시키고자 한다. 이들이 상대적 관점을 형성할 수 있는 근원에는 ‘보편성’의 개념이 존재하기에 가능해진다고 해석한다. 다양성을 가진 문화들은 표현양식이 다양하다고 하더라도 다양성 속에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무엇인가(인간사이의 도리, 예의, 존엄성 문제 등) 있기 때문이다. 보편성의 개념이 존재하기에 상대적인 개념도 존재한다고 해석하고 다양성을 가진 문화를 비평하는 작업, 즉 상대적인 문화들을 비교 대조하는 기준을 ‘보편성’이라고 보았다. 보편성의 관점에 서야 비교 대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논자는 비교 대조의 전제와 기준은 ‘보편성’이라고 주장한다. 하여 ‘보편성을 추구하는 사고력’을 유추해 내었다. 다음으로 문화비평가 버거는 문화비평가는 사물을 잘 설명하는 어떤 시각에 기초를 두고 있다고 한다. 다시 말해 문화비평가는 관점에 있어서 비평가 자신들의 입장이 상대적일 수밖에 없음을 말해주고 있다. 더욱이 정보사회의 도래로 다원화된 우리 사회에서 하나의 문화에 대해 각자 내리는 관점의 근원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개인은 다른 생활환경 양육방식, 교육의 정도등과 같은 차이에 의해 각자 다양한 경험을 하기에 문화를 비평하는 관점들이 달라지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도덕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문화비평 수업에 각 개인의 해석의 근원이 다르다는 것들을 수용하는 ‘상대적 관점을 인정하는 사고력’이 필요함을 알게 된다. 논자는 이 사고력을 도덕적 판단력 향상에 적용시킬 때 ‘상대적 관점’ 의미를 두 가지로 나누었다. 하나는 상대에게 감정이입을 하여 ‘상대방의 처지를 고려하는 관점’이고, 하나는 ‘타인의 도덕적 판단에 대해 인정하는 관점’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고과정을 통해 도덕적 판단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문화적 환경 안에서 학생들 스스로가 주체성을 가지고 주체적 관점을 형성해나가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주체적 관점을 형성하는 사고력’은 푸코의 저서 『감시와 처벌』에서 감옥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분석하여 문화를 이해해보고자 제시한 것이다. 푸코는 감옥은 권력에 의해서 죄수들을 교정하기 위한 목적에서 정당화되었지만 사실은 개인들의 변화를 노린 기획이었다고 말한다. 그는 개인의 변화를 노린 목적이 권력이라고 해석하였고 이러한 권력은 동서고금 어느 사회나 마찬가지로 비가시적이고 비물리적인 방법에 의해 개인에게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게 한다는 것이다. 권력이란 그 사회의 정치적 방향, 역사적 누적에 의한 통념과 관습, 자연환경에 의한 생활방식 등 개인의 변화를 가져오게 만드는 모든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권력의 요소들에 의해 만들어진 주체들은 자신을 둘러싼 권력 자체에 대한 이해를 하지 못하다고 지적하면서 이러한 권력으로부터 형성된 주체에 대한 비판적 회귀를 제시한다. 이러한 입장에 비추어보면 현대사회의 청소년들도 마찬가지이다. 대중문화가 지향하는 어떠한 목적이 권력으로 작용하여 그들의 정서나 가치관 등을 형성하게하고 사회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논자는 학생들이 문화비평을 통해 권력에 의해 형성된 문화적 환경을 이해하고 자신의 주체적인 관점을 형성시키기를 바라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적 환경 안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가치관과 신념을 확고하게 할 수 있는 ‘주체적 관점을 형성해가는 사고력’을 키워 나가야한다. 따라서 문화비평의 배경들로부터 도덕적 판단력을 내릴 수 있는 세 가지 사고력인 ‘보편성을 추구하는 사고력’ ‘상대적 관점을 인정하는 사고력’ ‘주체적 관점을 형성하는 사고력’을 유추하여 학생들이 이러한 사고력을 바탕으로 ‘깊이 있는 근거’를 제시하여 도덕적 판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논자가 생각하는 도덕적 판단이란 ‘깊이 있는 근거’를 토대로 내린 판단인데 ‘깊이 있는 근거’란 도덕 판단의 형태를 띠면서 그 근거로 제시되는 것들이 도덕적인 가치와 덕목에 관련되면서 도덕적인 것을 고려하는 근거들이다. 도덕적인 연관성을 띠는 근거를 가진 가치판단과 도덕 판단이 도덕적 판단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학생들에게 깊이 있는 근거에 의한 도덕적 판단력을 키워주기 위해 현장에서 실시할 수 있는 ‘월계수나무 키우기 7단계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수업모형을 학생들에게 적용해보았다. TV프로그램을 모니터링 한 후 학생들에게 1차적으로 내린 도덕 판단의 근거에 대해서 ‘보편성을 추구하는 사고력’, ‘상대적 관점을 인정하는 사고력’을 발휘하도록 장려하여 ‘깊이 있는 근거’를 제시하도록 하였더니 판단의 근거가 확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이 향상될 수 있는 가능성이 밝혀진 것이다. 또한 개인이 내린 도덕적 판단과 근거들을 공동체에서 논의함으로써 자신이 생각한 근거와 타인의 근거를 비교하며 개인의 주체적인 관점을 형성해나가는 과정을 제시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 문화비평 수업모형이 지향하고자 하는 바는 이러하다. 비평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의 향상을 가져오게 함과 동시에 문화에 대한 비평을 함으로써 우리들의 삶이 검토되게 하고 공동선을 추구하며 문화가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가능성을 지닌 수업모형은 현장에서 계발활동 시간에 ‘청소년 문화비평반’이나 동아리 ‘청소년 문화비평단(Teenager Culture Criticism Team)’을 개설할 수 있는 출발선이 되고 청소년 대상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대중문화 윤리에 대한 청소년의 판단력 증진 프로그램’을 시도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활동들을 청소년 미디어 교육 관련 사이트를 통해 ‘청소년 문화비평 칼럼’란을 신설하여 학생들이 현실 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대안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적으로는 학생들의 이성에 접근하여 판단력을 향상시키고 사회적으로는 문화에 어떠한 대안을 제시하여 앞으로 학생들이 문화 창조자로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해주는 수업모형으로써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