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1 Download: 0

존재적 삶의 태도 형성을 위한 '자각의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Title
존재적 삶의 태도 형성을 위한 '자각의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 of ‘Self-Awareness Writing’ for Existential Life Attitude
Authors
김지수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현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인들이 ‘지속 가능한 행복’에 이르는 삶의 태도를 찾고, 이를 도덕교육차원에서 적용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시작하였다. 현대인들의 대표적인 특성 중 하나는 ‘타인과의 같음’ 추구라고 볼 수 있다. 특히 현대인들은 사회적•경제적 지위가 높은 타인과 같아지고 싶어 한다. 이러한 현대인의 특성을 대변 할 수 있는 것은 소유의식이다. 사회적•경제적 지위가 높은 사람과 ‘같아지고’ 싶어 한다는 것은 사회적•경제적 지위를 ‘소유’하고 싶기 때문이다. 타인과 같아지고 싶어 하는 것에는 좀 더 근원적인 차원의 이유도 있다. 그것은 인간은 타인과 자신이 ‘같다’라고 생각되는 상황에서 일종의 위안을 느끼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현대인들의 삶에 있어서 행복은 ‘나’밖에서 찾을 수 있다. 그래서 그 행복은 언젠가는 잃을 수도 있는 것, 나와 분리되어 나갈 수 있는 것이고, 일시적인 것이다. 현대인들은 이러한 불안을 두려워한다. 하지만 이러한 분리와 불안을 뛰어 넘어 ‘나’와 하나 된 행복을 찾는 다면 현대인은 지속적인 행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먼저, 현대사회와 현대청소년의 특성을 분석을 했다. 분석을 통해 현대인들이 ‘지속 가능한 행복’에 이르기 위해 필요한 삶의 태도로 ‘존재적 삶의 태도’를 제시했다. 나아가 ‘존재적 삶의 태도’의 구체적인 수업 적용 방안으로 ‘자각의 글쓰기’수업을 제시하고, 그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존재적 삶의 태도는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삶의 자세이다. 존재적 관점의 도덕교육은 현대인의 삶의 근본적인 어려움을 해결 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라고 볼 수 있다. 존재적 관점의 도덕교육은 소유의식이나, 타인과의 같음을 통해서 얻는 일시적인 행복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존재적 관점의 도덕교육은 바로 어떠한 조건 없이도 지속 가능한 행복에 이르기 위한 ‘삶의 의미 자각’을 이끌 수 있는 교육방법이다. 존재적 관점의 도덕 수업은 ‘삶의 의미 자각’을 이끌 수 있어야 한다. 삶에 대해 끊임없이 물음을 갖고, 삶의 궁극적인 목적을 찾아가는 능력을 길러 줄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존재적 삶의 태도에 기초한 도덕교육의 현실적인 도덕수업 방안으로 ‘자각의 글쓰기’수업을 제안했다. 이러한 ‘자각의 글쓰기’수업의 실현 가능성은 실제 학교현장에서 ‘글쓰기’를 통해 ‘삶의 의미 자각’을 이끈 사례의 분석을 통해 찾았다. 그리고 분석을 통해서 ‘자각의 글쓰기’수업에서 필요한 요소와 그 글쓰기 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 ‘자각의 글쓰기’ 수업에서 필요한 요소는 ‘학생에 대한 교사의 열정과 사랑이 담긴 교육관’, ‘학생의 상황에 따른 적절한 경험 제공’, ‘학생들 스스로의 삶의 문제 인식’이다. 이러한 요소에서 볼 수 있듯이 자각의 글쓰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을 고려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요소를 바탕으로 제시 한 ‘자각의 글쓰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자신의 불안상황을 있는 그대로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두 번째, 자신을 불안하게 하는 요소에 대한 존재의 물음을 갖고 글을 쓴다. 세 번째, 자신을 불안하게 하는 요소들에 대한 존재의 물음에 떠오르는 대답을 적는다. 네 번째, 자신이 적은 불안요소의 질문에 대한 답변들과 직면한다. 다섯 번째, 자신의 불안 요소들을 인정한다. ‘자각의 글쓰기’를 하는 이유는 바로 인간 삶의 근본적인 이유라고 할 수 있는 ‘삶의 의미 자각’을 이끌기 위해서이다. 이는 ‘존재의 자각’을 시작으로 가능할 것이다. ‘존재의 자각’이란 인간이 어떤 존재인지 왜 살아가야 하는지, 삶의 궁극적인 의미는 무엇인지 주체적으로 끊임없이 묻고,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자각’을 통해 청소년들은 현대사회 문제를 주체적으로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 ‘자각의 글쓰기’는 학생의 관점에서 학생이 무엇을 경험하는지, 무엇을 생각하는지를 스스로 알아갈 수 있는 교육방법인 것이다. ‘존재적 삶의 태도’는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삶의 자세이다. 이를 바탕으로 한 존재적 관점의 도덕교육은 현대인들이 소유 지향적 삶의 양태나, 타인과의 같음의 추구를 통해서 얻는 행복의 한계를 인식하게 해준다. 존재적 관점의 도덕교육은 현대인들이 당연하게 생각하고, 의식하지 못했던 삶에 대한 문제를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게 해준다. 어떠한 조건에 의한 행복이 아닌 지속 가능한 행복에 이르기 위해 필요한 ‘삶의 의미 자각’을 이끌 수 있는 교육방법인 것이다. ‘자각의 글쓰기’는 자신의 삶에 대한 진솔한 ‘글쓰기’를 통해 스스로 존재적인 관점의 ‘삶의 의미’를 깨닫게 되는 ‘글쓰기’방법이다. 이러한 글쓰기는 도덕교육에 있어서 ‘존재적 관점의 삶의 태도’를 교육하는데 효과적인 교육 방안이 될 것이다.;This study was started to help contemporary people find the life attitude that can reach ‘sustainable happiness’, and to search a method that can be applied in the dimension related to moral education. One of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modern people can be regarded as the pursuit of becoming ‘like others.’ In particular, people of the modern day desire to become like people in high positions regarding social and economic aspects. This characteristic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sense of possession.’ In other words, the desire to become ‘like’ those in high social and economic positions signifies wanting to ‘possess’ their high social and economic status. There also exists a more fundamental reason for wanting to become like others. The reason is that people feel a certain sense of comfort when thinking that they and other people are ‘alike’. To such modern day people, happiness in life can only be found outside of oneself. Thus, such happiness is a temporary concept that can one day be lost or be separated from oneself. Contemporary people fear such insecurity. However, it can be said that modern day people will be able to achieve continuous happiness when surpassing such division and anxiety to find happiness that is united with themselves. Thus, In this study was analyzed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and adolescents. Through analysis, ‘existential life attitude’ was presented as the attitude required for contemporary people to reach ‘sustainable happiness’. Furthermore, as a specific course application method of ‘existential life attitude’, ‘self-awareness writing’ class was suggested and its possibilities were examined. The results gained according to such method are as follows. The existential life attitude is an independent and active attitude of life. Moral education from the existential perspective can be regarded as a method that can solve fundamental problems of modern people’s lives. This is because moral education from the existential perspective is not applied to provide temporary happiness through sense of possession or becoming like others. Instead, it is an educational method that can lead ‘awareness in meaning of life’, which is necessary for reaching sustainable happiness, in other words happiness without any conditions. The moral education course from the existential perspective has to succeed in leading the ‘awareness in meaning of life’. In other words, it has to develop the ability to continuously ask about life and find the ultimate purpose of life. Thus, this study has suggested ‘self-awareness writing’ class as a method for realistic moral class of moral education based on existential life attitude. The possibility of such ‘self-awareness writing’ class was investigated by executing analysis on cases that have achieved ‘awareness on meaning of life’ through ‘writing’ in actual school sites. Elements required in ‘self-awareness writing’ and writing methods were researched through case analysis, Elements that are required in the ‘self-awareness writing’ class are ‘education center displaying passion and love of teachers for students’, ‘provision of experience appropriate to situation of student’, and ‘independent awareness of students regarding life problems’. As it can be seen in such elements, the most important point in self-awareness writing is having consideration toward students. The method of ‘self-awareness writing’ that has been presented based on such elements is shown as follows. First, acknowledge your anxiety as it is. Second, write the question of ‘existence’ regarding the elements that make you anxious. Third, write the answer that comes to mind to respond to the question of ‘existence’ regarding the elements that make you anxious. Fourth, confront the answers you have written for the question of elements for anxiety. Fifth, acknowledge the elements of anxiety. The reason for conducting ‘self-awareness writing’ is to lead the ‘awareness for meaning of life’, which can be considered the fundamental reason of human life. This can be achieved by first gaining ‘awareness of existence’. ‘Awareness of existence’ refers to continuously and independently asking and thinking about the form of existence of humans, the reason for living, and the ultimate meaning of life. Through such ‘self-awareness’, adolescents will be able to independently solve the problems of present society. ‘Self-awareness writing’ is an educational method that enables students to independently understand their own experiences and thoughts from their own perspectives. ‘Existential life attitude’ is an independent and active attitude of life. When such attitude is based on moral education from the existential perspective, it can help contemporary people to recognize limitations regarding happiness gained through a possession-oriented life or the pursuit of becoming like others. Moral education of existential perspective helps modern day people to view problems of life, which they had taken for granted or had yet acknowledged from a new perspective. It is an educational method to lead ‘awareness in meaning of life’ that is required to reach sustainable happiness instead of conditional happiness. ‘Self-awareness writing’ is a ‘writing’ method that enables you to independently realize the ‘meaning of life’ in the existential perspective by writing honestly about your life. Such writing method will become an effective method in educating life attitude from the existential perspective within moral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