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5 Download: 0

중학교 무용전공과 일반 여학생의 족형, 실내화 종류에 따른 정적자세, 균형, 그리고 지면반력의 차이

Title
중학교 무용전공과 일반 여학생의 족형, 실내화 종류에 따른 정적자세, 균형, 그리고 지면반력의 차이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cademic Major, Foot Type, and Indoor Shoes on Posture, Balance, and Ground Reaction Force during Walking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김다사랑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 중학교 여자 무용전공생과 일반학생의 족형(foot type) 및 실내화 종류별 정적 자세, 균형, 그리고 보행 시 지면반력을 분석하여 전공별, 족형에 따라 운동역학적으로 적합한 실내화의 조건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서울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중, 무용 전공생과 일반 학생 각각 12명씩 총 24명으로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실내화 종류는 중학생들이 많이 신는 운동화형의 실내화(경도50 높이15.00㎜), 고무신형 실내화(경도40 높이11.78㎜), 그리고 슬리퍼형 실내화(경도25 높이30.00㎜)의 3가지로 구분하였고, 맨발을 통제 집단으로 하였다. 실내화의 경도는 Teclook(Japan)의 GS-701N, 높이는 Stanley(USA)의 Vernier calipers 34-004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자세 분석은 (주)MZEN의 Style Body S8.0_ver.1.0, 균형 분석은 MFT Balance Test-Basic, 지면반력은 Kistler사의 Type 9281B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program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검증에 대한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으며 LSD로 사후검정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적 자세는 정면, 후면, 측면 모두에서 전공별, 족형별, 실내화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측면 자세에서 슬리퍼형 실내화(경도25 높이30.00㎜)를 착용하였을 때가 다른 실내화보다 상체 기울기가 앞으로 더 기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슬리퍼형 실내화는 밑창의 경도가 낮으며 종골을 고정시키지 못해 발이 안정성을 갖지 못하고 특히 전․후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유발하여 상체를 전방으로 더 많이 기울어지게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학생들은 실내화를 착용한 채 뛰거나 걷는 등 많은 신체활동을 하고 있으므로 동적자세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자세를 측정할 때 동작분석과 신발 속에서의 발바닥 부위별 압력분포를 측정하면 좀 더 세부적인 원인 규명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추후 과제로 한다. 2. 균형능력은 전공, 족형, 실내화 종류에 상관없이 맨발보다 실내화를 착용하였을 때가 유의하게 높았다. 학생들은 이미 어려서부터 신발 착용에 적응이 되어있기 때문에 맨발일 때 보다 실내화를 착용하는 것이 발의 압력을 분산시켜 균형을 잡는데 도움이 됨을 알 수 있다. 정상족의 경우 전․후, 좌․우 균형 모두에서 실내화 종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상족은 균형을 통제할 수 있으며 신발의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므로 정상족을 유지하는 것이 균형능력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 편평족의 경우 슬리퍼형 실내화(경도25 높이30.00㎜)를 착용하였을 때 좌․우 방향 균형이 가장 좋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밑창의 연성재질이 발가락을 포함한 발의 움직임을 허용하여, 좌․우 흔들림에 유연하게 적응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밑창의 경도가 낮은 실내화는 균형 유지에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3. 보행 시 족형별, 실내화 종류에 따른 지면반력은 무용전공생과 일반학생 모두 정상족의 경우에는 수직, 전후, 좌우 충격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상족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정도의 낮은 굽의 실내화를 착용하였을 때는 충격 흡수를 통제할 능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무용 전공생과 일반 학생 모두 편평족의 경우에는 경도가 낮은 슬리퍼형 실내화(경도25 높이30.00㎜)를 착용하였을 때 충격정점 수가 가장 적었으며, 경도가 높은 실내화를 착용하였을 때는 추진력이 좋았다. 그러므로 편평족의 경우 제동과 추진을 위해 전족부를 단단하게 지지해줄 수 있는 밑창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족형별 실내화 종류에 따른 정적 자세, 균형, 보행 시 지변반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첫째, 무용전공생과 일반학생의 정상족의 경우 경도25~50, 높이11.00㎜~30.00㎜ 정도의 실내화를 착용하였을 때는 전공에 상관없이 지면상황에 유연하게 잘 적응하며 충격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정상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둘째, 무용전공생과 일반학생의 편평족의 경우 실내화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특히 경도가 낮고 두꺼운 실내화는 충격 정점을 흡수하고 좌우 균형 향상에 효과적이나, 능동적 추진력을 내는 데에는 경도가 높은 재질의 실내화가 더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을 위한 실내화는 보행 시 발이 지면에 제일 먼저 닿는 후족부는 경도가 낮은 재질로, 추진력을 내야하는 전족부는 경도가 높은 재질로 하여 실내화 밑창의 재질을 따로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학교 여자 무용전공생과 일반학생의 족형(foot type)에 따라 운동역학적으로 적합한 실내화의 조건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장기 학생들에게 올바른 실내화의 선택과 착용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어 정상적인 성장과 올바른 자세를 확립할 수 있도록 하는 지침자료로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연구 대상자의 수가 한정되어 있어 보다 질 높은 연구결과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제한점이 있었다. 지금까지는 학생들이 하루 일과 동안 가장 많이 착용하고 있는 실내화에 관련된 운동역학적 연구가 전무한 편이었으므로 실내화 종류에 따라 동적 상황에서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도 다양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무용전공별 경력에 따라서도 족형, 실내화 종류에 따른 운동역학적 변인에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므로 위의 연구들은 추후과제로 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인원을 확보하고 다양한 종류의 실내화들의 차이를 분석하여 동적활동에서의 실내화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더 깊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ic posture, dynamic balance and walking ground reaction force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academic major, foot type, and indoor shoes. Test subjects were 24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cademic major (12 dance majors and 12 non-dance majors), foot type (pes planus, pes rectus), and indoor shoes (two types sorted according to hardness and heel height) or slippers. Shoe hardness was determined by the GS-701N (Teclook, Japan), and shoe height was measured using verier calipers 34-004 (Stanley, USA). 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were posture, balance, and ground reaction force. Posture was measured via MZEN Style Body S8.0_ver1.0. Balance was calculated using MFT Balance Test. Ground reaction force was evaluated using the Kisler Force Plate (Type 9281B, German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via SPSS win 18.0 program with one-way ANOVA and LSD for post hoc. Results and discussion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ure in the sagittal or coronal plane according to major, foot type, or indoor shoe type. Shoe height often has the most dramatic effect on posture, but since test subject's heel never exceeded over 30mm in heigh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posture. 2. Barefoot subjects had the lowest scores for balance in all categories (major, foot type, shoe type). Since shoes provided padding between the wearer's feet and the balance board utilized for the test, shoes served as a buffer. Thus pressure was distributed through the shoes before being transferred to the balance board. This mechanism may have enhanced balance for shoe-wearers. 3. For the subjects with pes rectus, there were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nterior / posterior / lateral balance according to major or shoe type. It is possible that the pes rectus neutralizes any influences caused either by indoor shoe type or major. 4. In pes planus non-dancers with indoor slipper-type (hardness, 25, heel height 30mm) shoes demonstrated the greatest amounts of lateral balance. It is possible that the soft material of the slippers may have enhanced balance more than hard materials. 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nd reaction force according to shoe type amongst subjects with pes rectus. It is possible that pes rectus can neutralize the influence of both shoe type and major. 6.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nd reaction force according to shoe type amongst subjects with pes planus. Slipper-type indoor shoes had the lowest number of peaks in lateral and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Harder shoes (hardness 50, heel height 15mm) had higher levels of braking and propulsive force. These results shoe that pes rectus nullifies the influence of indoor shoe type and major on posture, balance, and ground reaction force. Pes planus, on the other hand, can be influenced by both major and especially indoor shoe type. Shoes with softer soles and a harder forefoot might be the best for those with pes planu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