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2 Download: 0

Effects of L1 Use in Prewriting and Topic Familiarity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Quality and Attitude

Title
Effects of L1 Use in Prewriting and Topic Familiarity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Quality and Attitude
Other Titles
쓰기 전 활동에서 모국어의 사용과 주제 친숙도가 한국 중학교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위정수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많은 연구에서 모국어 사용의 사회 문화적 기능을 개인 간 심리적 (interpsychological) 측면과 개인 내 심리적 (intrapsychological) 측면에서 밝혀내왔다 (Anton & DiCamilla, 1998). 사회문화주의의 전통에서 모국어는 인간의 정신 활동을 매개하는 기호의 도구라고 간주되어 왔으며, 특히 그러한 기능은 동일한 모국어의 문화적 배경을 공유하거나, 낮은 영어 능력을 가진 학습자들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Anton & DiCamilla, 1998). 쓰기는 모국어의 언어 능력 즉, 읽고 쓰는 능력과 목표언어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하는 복잡한 인지 활동이다. 대부분의 하위 영어 학습자들에게 영어 글쓰기는 목표언어에 대한 구조적 언어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으로 다가오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모국어 사용과 글쓰기 주제에 대한 친숙도가 영어 글쓰기 능력과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조사해보고자 한다. 모국어가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모국어를 쓰기 전 활동을 실행하는 인지적 매개체로 사용하였다. 참가자들은 24명의 한국 중학교 학생들이며 그들은 각각 모국어와 목표어 집단으로 나누어졌다. 사전 평가를 포함해 4차시로 이루어진 수업은 3주 동안 지속되었으며, 2차시부터 각 집단은 주어진 주제에 관해서 각기 다른 언어로 쓰기 전 활동을 마친 후 쓰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실험 후 학습자들의 반응을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실험 결과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이 글의 구조면에서 향상 되었으나, 모국어 집단과 목표어 집단의 작문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작문의 질은 유창성, 통사적 복잡성, 그리고 글의 구조의 세 가지 측면에서 평가 되었고, 유창성과 통사적 복잡성 점수는 실험 전후를 비교 했을 때 유의미한 증가가 발견되지 않았다. 글의 구조 점수에서는 모국어와 목표어 집단 전체에서 유의미한 증가가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주제 친숙도의 효과는 교차설계와 내재설계 ANOVA를 통해서 분석되었다. 주제 친숙도는 세 가지 작문의 질 점수에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쓰기 전 활동 언어의 종류에 의한 차이나 상호작용의 영향은 없었다. 가장 많은 학생들이 친숙하도고 응답한 첫 번째 주제에서 글의 구조 점수가 목표어 집단 내에서 주제 친숙도에 따라 유의미하게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소 친숙하지 않은 두 번째 주제에서 목표어 집단의 통사적 복잡성 점수를 제외하고 모든 작문 점수에서 친숙도에 따라 유의미한 증가가 나타냈다. 주제와 친숙하다고 응답한 학생의 수가 가장 적은 세 번째 주제에서는 모국어 집단 내에서 친숙도에 따라 통사적 복잡성 점수와 글의 구조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설문지와 인터뷰의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상위 학습자들은 쓰기 전 활동에서 모국어와 목표어 사용 각각의 이점을 이해한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 가운데 몇몇은 더욱 효율적으로 글을 계획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모국어를 선호하였고, 다른 학생들은 목표어를 사용한 쓰기 전 활동의 내용이 실제 글쓰기에서 바로 활용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목표어 사용을 선호했다. 반면, 대부분의 하위 학습자들은 목표어의 단어를 미리 생각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목표어의 사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해 모국어와 목표어 모두가 학습자의 영어 능력이나 개인 선호도에 따라 효과적인 쓰기 전 활동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주제의 친숙도 또한 작문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작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쓰기 활동에서 개인 선호도에 맞는 효과적인 언어 선택이 필요하며, 언어 능력이나 주제에 대한 친숙도에 따라서 모국어나 목표어가 전략적으로 쓰기 전 활동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인지시키고 한국 EFL 환경에서 효율적인 쓰기 교육을 이끌어 나가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L1 use and topic familiarity on EFL learners' writing quality and attitude. The socio-cultural functions of L1 have been examined at both interpsychological level and intrapsycological level (Anton & DiCamilla, 1998). Within the socio-cultural tradition, L1 use has been considered as a semiotic tool that mediates human mental activity, especially for learners who share same L1 background and whose proficiency level is low (Anton & DiCamilla, 1998). Writing is a complex cognitive activity that requires target language/general literacy skills as well as a fair amount of knowledge about target language. For most of the lower level English learners, writing is perceived as a difficult task mainly due to the limited linguistic knowledge of English, not because of .... Therefore, to investigate into the effects of Korean EFL students' already acquired L1 literacy skills on overall writing quality, L1 was used as a cognitive tool to conduct prewriting activity. The participants were 24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divided into L1 and L2 prewriting groups. They were instructed to write expository essays about given topics after completing prewriting activity using either L1 or L2, over a period of 3 weeks. Both groups took the same pretest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n addition, 2 lower level and 2 higher level students from each proficiency group were selected for further interviews to investigate individual students' responses to the task. Findings from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1 and L2 groups in all three dimensions of writing quality: fluency, complexity and organization. Furthermore, neither L1 nor L2 use had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fluency and complexity in the students' compositions. However, in the organization measure there was positive influence of prewriting in both L1 and L2 group but there were no between-group differences. As for the interactive effects of topic familiarity and prewriting language, there was significant influence of topic familiarity on writing quality in terms of fluency, complexity, and organization. However, there were no effects of prewriting language or the interaction. The effects of topic familiarity within each prewriting group were also examined in the study. For the most familiar topic, organization scores correlated with topic familiarity in L2 group. When writing about a moderately familiar topic, overall writing quality correlated with topic familiarity in L1 group. In L2 group, topic familiarity also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writing quality except the complexity scores. With the least familiar topic, complexity and organization scores correlated with topic familiarity in L1 group. Based on the responses from the 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 it was revealed that high level students seemed to acknowledge the benefits from both L1 and L2 prewriting. Some of them preferred L1 in that they could engage in planning more comfortably and efficiently. Others preferred L2 in that they could refer back to L2 prewriting during the writing process. In contrast, most of lower level learners preferred L2 prewriting to obtain a list of L2 vocabular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both L1 and L2 can be effective tools to implement prewriting activity depending on the proficiency level and individual preferences. Topic familiarity can also be a factor affecting the influence of L1/L2 use on writing quality. Therefore, either L1 or L2 can be strategically used in the prewring stage to improve the quality of writing considering the learner preference for prewriting language, proficiency level, and topic familiar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