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0 Download: 0

A Case Study of Effects of Strategy-Based Writing Instruction o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Writing Quality and Preferred Writing Strategies in English Argumentative Writing

Title
A Case Study of Effects of Strategy-Based Writing Instruction o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Writing Quality and Preferred Writing Strategies in English Argumentative Writing
Other Titles
영어 쓰기 전략 교수가 한국 대학생의 논설문 쓰기 능력 향상과 쓰기 전략 선호도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 연구
Authors
박경은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연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writing strategy instruction on writing quality, preferred writing strategies the students took up following instruction, and their perspectives toward the writing strategy instruction. The writing strategy instruction per session was a modified version of 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in writing (CSIW) instruction that involved text instruction, modeling, guided practice, and independent practice in order (Guzel-Ozmen, 2009). Four Korean undergraduates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for a short and intense writing strategy instruction for six sessions that was carried out for two weeks. A total of twenty-two writing strategies: ten pre-writing strategies (five planning strategies and five organizing strategies) and twelve post-writing strategies (six revising strategies and six editing strategies) were carefully selected with reference to a variety of writing books, journals, and related thesis.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writing strategy training was explicit, deliberate, and integrated, in all cases including a cognitive component and gradually diminishing the scaffolding provided in the first stages. Before the writing strategy instruction, the students were provided with the general purpose of the writing strategy instruction that facilitate good quality writing and the type of persuasive essays they will be writing. The pre- and post-writing tests of the participants were compared based on holistic and analytic scor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ree folds. Quantitative analysis of holistic scores revealed that the low-advanced students improved, though the advanced students remained the same due to the ceiling effect. Subtle improvement in the analytic scores were found in all the participants after the writing strategy instruction. The low-advanced students improved in content, organization, and language use; whereas the advanced students improved the most in vocabulary. This can be a direct reflection of the effect of writing strategy instruction, despite the short period of instruction. In addition, samples of participants' writing product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o examine improvements in content, organization, and language use. Therefore, qualitative results coincided with the quantitative results in terms of improvement in content, organization, and language use. Preferred writing strategies were compare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Quantitative analysis was based on the pre-, immediate, and post-questionnaires. Qualitative analysis was based on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responses. The preferred writing strategies altered from the pre- to the immediate-questionnaires. However, there was a strong tendency for the students to choose the same preferred strategies in the pre- and post-questionnaires. Results of the post-questionnaire revealed revising strategies as the most preferred strategies among the low-advanced students while planning strategies were significantly preferred by the advanced students. Qualitative analysis was cover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in connection to the open-ended questionnaires. According to the open-ended immediat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responses, the best preferred strategies included brainstorming, making the first statement as a topic sentence in each body paragraph, making the last statement as the thesis sentence in the first introduction paragraph, check if it matches the requirements by underlining the sentences that address the position, and check for appropriate use of vocabulary while editing. As opposed to this, the least preferred strategies turned out to be assigning time, offering suggestions or opinions or predictions in the concluding paragraph, reading the text aloud, and checking transitions with the help of a prompt card. Each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to investigate the reasons behind choosing the most preferred/least preferred strategies and their strategy use. Finally, the study explored the students' perspective towards the writing strategy instruction on the basis of the open-ended interviews. By analysis, the students perceived writing strategy instruction helpful irrespective of their proficiency level. Results of the interview revealed that students considered brainstorming and revising strategies as the most efficient writing strategies. They also said that they built confidence in writing and that the writing strategy instruction enhanced them to write logically.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led to a number of pedagog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writing strategy instruction.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yllabus designers with useful input that will allow them to select and sequence writing strategies for EFL learners.;글쓰기의 중요성은 그것이 단순한 생각을 전달을 넘어, 오히려 생각을 만들어내고 독자들을 설득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글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전개 하는 것은 논설문에 필히 중요하듯, 적재적소의 효과적인 쓰기 전략 사용도 무척이나 중요하다. 글을 논리적으로 잘 쓰기 위해서는 계획하기, 조직하기, 수정하기, 그리고 편집하기와 같은 글쓰기 전략들을 사용한다. 이러한 글쓰기 전략은 모든 형태의 글쓰기에 적용이 될 수 있지만 본 연구는 설득문을 택하여 한국 대학생들에게 영어 쓰기 전략을 가르쳤다. 본 사례 연구의 목적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 글쓰기 전략 교수 접근 방법으로 학생들의 논설문의 글쓰기 향상을 내용 (content), 조직 (organization), 그리고 언어 사용 (language use) 측면에서 살펴봄과 동시에 상하위 집단의 실험전후의 쓰기 향상을 질적 양적 분석을 하였다. 두 번째, 글쓰기 전략 습득을 통해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거나 가장 덜 선호하는 전략들이 무엇이며 그 해당 전략을 선택하는 이유를 설문지와 인터뷰를 통해 파악이 가능했다. 더불어 상하위 학습자들이 선호한 쓰기 전략에 대한 공통점이나 차이점을 살펴보고 그들의 수업태도와 글쓰기 사용을 교사 관찰 일지에 기록하였다. 셋째, 참가자들이 바라본 글쓰기 전략 교수에 대한 반응과 태도를 인터뷰를 통해 상하위 학습자들의 관점의 차이와 공통점을 파악하였다. 우선 본 실험에 참가한 대학생들은 4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토익 점수, 사전 글쓰기 시험과 평소 영어 글쓰기 능력을 바탕으로 학생 A와 B를 상위 학습자들로 분류하고 학생 C와 D는 하위 학습자들로 분류했다. 실험 기간은 1주일에 3번에 한 차시당 최소 3시간을 대학 세미나실에서 진행됐다. 총 22개의 글쓰기 전략, 즉, 10개의 사전 쓰기 전략 (즉, 5개의 계획 전략과 5개의 조직 전략) 그리고 12개의 사후 쓰기 전략 (즉, 6개의 수정 전략과 6개의 편집 전략)들을 선정하여 가르쳤다. Guzel-Ozmen의 CSIW 수업모델에 따라 명시적이고 통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초기 단계에서 제공된 교사 발판을 서서히 줄여가면서 학생들 스스로 전략을 적용할 수 있는 독립적인 개별 연습을 포함한 수업으로 이루어졌다. 처음에는 교사의 모델링과 지속적인 도움이 있었으나 개별 연습을 통해 확연하게 학생 중심의 수업으로 변형된 것이 특징이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글쓰기 전략이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드러났다. 상위 학생 A 와 B, 하위 학생 C 와 D로 나눠 살펴봤을 때에는, 상위 학습자들은 천장효과로 인하여 총괄적 점수가 사전 사후 시험에 더 이상 올라갈 수 없었지만 하위 학습자들의 총괄적 점수는 크게 향상된 것으로 드러났다. 분석적 점수를 살펴보면, 상위 학습자들은 내용, 조직, 언어사용에서 아주 조금 향상을 한 가운데 어휘가 가장 향상을 보였다. 반면 하위 학습자들은 내용, 조직, 그리고 언어 사용 측면에 확연히 향상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사전사후 글을 질적 분석을 한 결과와 일맥상통하다. 즉, 양적, 질적 분석 결과를 비추어보았을 때, 영어 글쓰기 전략 교수가 그들의 영작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음을 의미한다. 둘째, 사전 설문지를 비교하여 각 차시마다 선호한 글쓰기 전략 변화와 이유를 알기 위해 폐쇄형과 개방형 설문지와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면밀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전 설문에서 선호된 전략들이 전략 수업 후에 바뀌거나 사전 설문과 사후 설문에서 똑같은 전략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자는 글쓰기 교수에 대한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지만 후자는 실험 자체에 효과가 없다고 해석이 된다. 예를 들어, 사전 쓰기 전략에 해당하는 계획하기와 조직하기는 사전과 사후 변화가 없는 것으로 봐서 효과가 없었지만 수정하기와 편집하기는 사전과 사후 사이에 변화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상위학습자들은 사전 쓰기 전략 (계획하기와 조직하기)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반해 하위 학습자들은 사후 쓰기 전략을 (수정하기와 편집하기)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참가자들이 선호한 전략들은 다음과 같다. 브레인스토밍, 각 단락의 첫 문장에 주제문 적기, 서론 단락의 마지막 문장에 논지 적기, 자신이 펼치고자하는 주장에 부합하는지 밑줄 쳐서 검토하기, 적절한 어휘 사용 검토하기가 가장 선호되는 글쓰기 전략들이었다. 반면에 글쓰기 전에 임의로 시간 정하기, 결론 단락에 제안이나 의견이나 추측 적기, 큰 소리로 읽어 수정하기와 연결어 목록을 사용하여 적절한 연결어를 고르기가 가장 선호되지 않은 전략들로 나타났다. 각 해당 전략들을 선택한 이유는 심층적 인터뷰를 통해 파악이 가능했다. 세 번째, 글쓰기 전략 교수가 전반적인 영어 쓰기 향상 및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친 영향을 알아 본 결과, 모든 참가자들이 글쓰기 전략 교수에 대한 효과가 있다고 답변하였다. 그 이유는 글쓰기 전략 수업이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글을 전개하는데 이바지했다고 공통적으로 언급하였다. 또한, 수정하기 전략과 편집하기 전략과 더불어 계획하기 전략은 전반적인 아이디어와 글의 짜임에 큰 도움이 됐다고 했다. 전반적인 글의 질이 향상된 것을 느꼈다는 참가자들도 있었고 읽기와 쓰기 능력 또한 신장 시켜줬다는 답변도 있었다. 상위 학습자들은 글쓰기 전략을 통해 더 많은 자신감을 얻음과 동시에 충분한 글쓰기 연습을 했다고 한 반면 하위 학습자들은 배웠던 모든 전략들을 기억해 두고 싶다고도 답변했다. 하지만 본 실험에서 개선될 점에 대한 질문에서, 상위 학습자들은 글쓰기 전략을 추가로 가르쳤으면 더 효과적이었을 거라고 지적했고 하위 학습자들은 너무 많은 전략을 단시간에 배운 것 같다고 응답하였다. 비록 본 연구는 일반화할 수 없는 제한점이 있으나 결과를 통해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어 글쓰기 전략 교수가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결과를 비춰볼 때 교사들은 바람직한 글쓰기 전략 수업을 고안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학생들의 영어 쓰기 전략 선호도 파악을 통해 교사들은 글쓰기 전략을 학생들의 영어 능력 수준에 맞게 수업 지도안을 적절히 고안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뿐만 아니라 본 연구를 통해 CSIW 수업이 가진 문제점을 보완하여 개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한다. 한국 교사들은 CSIW 수업을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을 더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본 논문이 제시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