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중고등학교 영어교사의 담화 문법 지식과 담화 문법 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Title
중고등학교 영어교사의 담화 문법 지식과 담화 문법 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Korean English Teachers' Knowledge and Perception of Discourse Grammar
Authors
구미화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근
Abstract
One of the main objectives of English education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to enhance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As the accuracy as well as fluency of communication is emphasized, a lot of effort has gone into integrating grammar teaching with communicative approach. Discourse-based grammar teaching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effort to make grammar instruction more communicative. In discourse-based grammar teaching, instruction of target forms is presented with authentic or simplified discourses, to provide learners with abundant examples of contextualized usages of the target structure. Recent studies that examined what the teachers do in their grammar instruction in Korea, however, found that most of the teachers prefer sentence-based grammar teaching.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teachers focus on explaining grammar points and guiding students to internalize grammar rules using mechanical drills. In the belief that appropriate combination of the traditional and discourse-based approach will be the best course of action in most situation(Hughes & McCarty, 1998), the study investigated English teachers' knowledge and perception of discourse grammar. In order to evaluate teachers' knowledge of discourse grammar, 10 kinds of grammar structures, which were pointed out to be sensitive to discourse and context by Celce-Murcia and Olshtain(2000), were chosen. Then, 22 discourses including those target structures were selected from dicourse-based grammar textbooks and web-searching. In the test papers, the target structures were substituted with blanks. Every target structure was presented in two types of questions; with choices and without choices. After the test, a survey consisting of questions on their grammar teaching methods, grammar knowledge sources, and their thoughts of discourse grammar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45 in-service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participated in.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were used.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analysis of the data. One limitation is that the number of subjects are pretty limited, and the result of data may not reflect all English teachers' knowledge of discourse grammar. Anther limitation is that "the testing of grammar in discourse is an area where even less progress has been made than in teaching grammar through discourse"(Celce-Murcia & Olshtain, 2000, p. 68), thus, it was har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test implemented in this study. Overall, however, the result of data analysis was considered enough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much the English teachers know about discourse grammar and how they think of discourse grammar.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st result showed that the majority of the English teachers lack knowledge of discourse grammar.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 got the answers correct for the five structures, such as dative movement, will/be going to, used to/would, discourse connectors and articles, when presented with choices. For the same structures presented without choices, however, most of the teachers failed to complete the discourse in the similar way of English native speakers. The result of incorrect answer analysis showed that the teachers concentrated on finding sentence-based grammatical errors and overgeneralized grammar rules. Moreover, when the teachers were asked to explain discourse grammar rules used in short texts by the questionnaire, they didn't answer clearly for most of the target discourse grammar rules. Second, the result of survey analysi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have never got any chance to study discourse grammar formally. It was found that they are using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to acquire grammar knowledge for instruction. And, half of them double marked the choice that says "My grammar knowledge used in instruction was acquired in m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days." Thus, it is hard to believe that their grammar knowledge is based on discourse, considering the history of discourse grammar research and instruction is relatively short. Third, concerning grammar teaching method, most of the teachers were found to prefer analysis of grammar components and mechanical drill for grammar rule practice. And, fo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own grammar instruction, 38% of all participants answered "dissatisfactory." Among the reasons of dissatisfaction were "Not match with usage", "not provide enough authentic expressions", "lack of grammar knowledge" and so on. Fourth, the portions of agree and disagree with the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of discourse grammar into classrooms were almost same. Some teachers who supported the necessity of discourse grammar gave an opinion that discourse grammar would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sentence-based grammar. But other teachers thought that discourse grammar is too complicated and messy to teach and evaluate. Also, they mentioned the difficulty of finding proper discourses containing target grammar structures. To sum up, most of the English teachers lack discourse grammar knowledge and almost half of them think discourse grammar is not appropriate to be adopted in Korean classrooms. However,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 agree with the necessity of dicourse grammar despite the difficulty of implementation. Moreover, many teach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own grammar teaching technique. Thus, it is believed that the time is ripe for introducing discourse grammar into classrooms. For the introduction of discourse grammar, however, the teachers should be provided with chances to learn discourse grammar and with corpus software needed to find authentic materials.;현행 교육과정은 영어 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개발을 중요한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목표 어 습득에 있어 의사소통적 언어 교육만으로는 높은 수준의 정확성에 도달할 수 없다는 연구 결과들을 기초로 의사소통적 언어 교육에 문법 교육을 효과적으로 통합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사소통적 접근 내에서 문법 형식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문법 교육이 문장 수준에서 담화 수준으로 확대되어야 함을 강조한 선행 연구들을 소개하고, 현직 중•고등학교 영어 교사들이 담화 문법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으며, 담화 문법 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의 중•고등학교 교사 45명을 대상으로 담화 문법 지식을 측정하는 평가와 담화 문법 교육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담화 문법 지식은 수동태와 능동태,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 순서, will과 be going to, 현재완료와 단순 과거 형, used to와 would, 담화연결어(however와 nevertheless, in contrast와 on the contrary, therefore와 consequently), 정관사와 부정관사, 대명사 등의 문법 형식에 대해 선택지가 있는 문항과 선택지가 없는 문항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항목으로 선정한 문법 형식은 Celce-Murcia와 Olshtain(2000)이 담화 맥락에 민감하다고 한 문법 규칙들 중에 문장수준에서 비슷한 의미를 갖는 형식을 두 가지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들이다. 담화 문법 연구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온 주제가 정보의 흐름과 선택의 문제인 점을 고려할 때 문장수준에서 비슷한 의미를 갖더라도 담화수준에서 사용 맥락이 분명하게 구분되는 문법 형식에 대해 교사들이 알고 있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평가 문항은 원 어민들의 담화에서 관련 문법 형식이 사용된 부분을 빈칸으로 처리하여 교사들이 직접 채우거나 선택지 중에 적절한 것을 고르도록 제작하였다. 평가 후 실시한 설문에서는 교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문법 교수 형태를 묻고,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문법 지식을 어떻게 습득하였는지, 주로 사용하는 교재는 무엇인지 질문하였다. 더불어 자신의 문법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담화 문법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빈칸 채우기 형태의 평가 문항만으로는 교사들의 담화지식을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설문지에 문법 형식이 사용된 담화를 제시하고 관련 담화 문법을 간단히 서술하도록 요구하였다. 평가 지와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평가한 담화 문법 영역 중 절반 이상의 교사가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할 줄 아는 문법 형식은 소수에 불과했다. 총 10개의 평가 항목 중 선택지가 있는 문항과 선택지가 없는 문항 모두 50% 이상의 정답 률 을 보인 것은 담화연결어 중 however와 nevertheless의 사용 맥락 구분하기뿐이다. 특히 will과 be going to, used to와 would, 현재완료와 단순과거 형 등 비슷한 의미를 갖는 문법형식을 적절히 배치하여 담화를 완성해야 하는 문항에 대해 20% 이하의 정답 률 을 보였다. 오답 유형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담화의 전체적 구조에서 문법 성을 파악하기보다 개별 문장이 문법적인지를 파악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설문지에 포함된 담화 문법 지식 관련 문항의 답안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문장 수준의 전통 문법에서 강조하는 규칙을 제시하였다. 둘째, 설문 답안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응답자가 교과서 및 참고서에 실린 내용으로부터 문법 지식을 얻는다고 답하였다. 이들 중 절반 가까이가 중고등학교 때 배운 내용이라고 중복 응답한 것으로 보아 중고등학교 때 배운 지식을 교과서 및 참고서에 제시된 내용과 결합하여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으로 짐작해볼 수 있다. 또한 교사들이 사용한다고 기록한 문법 교재들 중 대다수는 문장수준의 전통 문법에 충실한 것들이다. 셋째, 문법 교수 방식과 담화 문법에 관한 인식 조사에서는 문장 성분 분석과 규칙 습득을 위한 연습에 치중하는 교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담화 문법에 대해서는 필요성을 인정하는 비율과 현실적인 한계를 지적하는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38%가 자신의 문법 수업이 대체로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답하였는데, 그 이유로는 보편적인 사실 전달에 그치거나 자연스러운 영어 표현이 부족한 점, 문법적 지식 부족 등이 언급되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의 절반 이상이 담화 문법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담화 문법을 형식적으로 학습한 경험이 없어 관련 지식이 부족하며, 담화 문법을 활용한 수업이 기존의 문장수준의 전통 방식에 비해 준비나 진행 면에서 어려움이 크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기존의 문장수준의 문법 수업에 대해서도 만족도가 높지 않고,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서는 문장수준에서 문법을 가르치는 것에 분명한 한계가 있는 만큼, 문법 수업에 담화 문법 적용 기회를 늘리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