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9 Download: 0

예비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학급 경영에 관한 신념

Title
예비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학급 경영에 관한 신념
Other Titles
Pre-service middle scienc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classroom management beliefs
Authors
정혜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란
Abstract
This study has a purpose for providing basic data to be useful in teacher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ng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classroom management beliefs of pre-service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 Participant of this study were 143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seoul. The result of the survey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Kruskal-Wallis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ith SPSS 18.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middle scienc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relatively high, also Personal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PSTE) subscale and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STOE) subscale were high.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but male students' PSTE was higher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p< .05).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level.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xperience of practice teaching, but experienced students' PSTE was higher than those of non-experienced students(p< .05). Second, pre-service middle science teachers favored interventionist style on the classroom management. Particularly, the Instructional Management(IM) subscale was more interventionist than the People Management(PM) subscale. Classroom management belief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level. Also classroom management belief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xperience of practice teaching.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classroom managemen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and people management(p< .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and instructional management(p< .01). Teacher education course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develop humanistic and non-interventionist beliefs. And there is a need for a longitudinal study of these pre-service teachers when they became in-service teachers.;본 연구에서는 예비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학급 경영에 관한 신념을 조사함으로써 바람직한 자질을 갖춘 예비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사 교육의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따라서 서울 소재의 사범대학 과학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 중등 과학교사 1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분석은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Kruskal-Wallis test, 피어슨 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은 비교적 높았으며, 하위 영역인 개인적 과학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 기대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교수 효능감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개인적 과학 교수효능감이 더 높았다(p< .05). 과학 교수 효능감은 학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4학년이 2학년과 3학년보다 효과적인 과학 교수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며, 학생들이 과학에 관심을 갖게 하는 방법을 더 잘 알고 있다고 하였다(p< .05). 과학 교수 효능감은 교육실습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개인적 과학 교수 효능감 영역은 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더 높았다(p< .05). 둘째, 예비 중등 과학교사는 학급 경영에 있어서 다소 통제적이며 간섭적인 경향을 보이며, 특히 수업 경영에 있어서 인적 경영보다 더욱 통제적이고 간섭적인 경향을 보였다. 학급 경영에 관한 신념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학급 경영에 관한 신념은 교육실습 경험 유무에 따라서도 차이가 없었다. 교육실습은 실제적인 직무를 통해 교사의 관점에서 교직을 바라보고 경험하는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교육실습 경험이 학급 경영에 관한 신념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의 교육실습은 예비 중등 과학교사들이 학생 지도와 학급 경영에 있어서 더 많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예비 중등 과학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학급 경영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개인적 과학 교수 효능감 영역과 인적 경영 영역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p< .05), 과학 교수 결과 기대감 영역과 수업 경영 영역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p< .01). 예비 중등 과학 교사는 학급 경영에 있어서 다소 통제적인 경향을 보였는데, 과학 교과에서 추구하는 활동 중심, 탐구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예비 교사 양성 과정에서 인본적이며 비간섭적인 신념을 형성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 양성 과정에서 형성된 과학 교수 효능감과 학급 경영에 관한 신념이 현직 교사가 되었을 때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에 관한 종단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