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81 Download: 0

대학 충원율의 영향요인 분석

Title
대학 충원율의 영향요인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ttending Ratio of Universities in Korea
Authors
서영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유경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the situations of universities' undergraduate course enrollment and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of ‘ attending ratio-related indicators’. In this study attending ratio-related indicators includes 'a ratio of enrollment to admitted applicants', 'a ratio of enrollment to registered student', 'a ratio of dropout rate' and 'a ratio of competition rate of entrance exam'. The study has conducted average assay value analysis on how different by the characteristic of university of attending ratio-related indicators. Characteristic of university is evaluated based on founding type, location, scale, founding date and if medical education are establish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how much characteristic of university and the education conditions influence the level of its attending ratio-related indicators. The study has referred information regarding university provided by Daehak-Alimi(http://www.academyinfo.go.k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followed: First, average assay value analyses on how different by the characteristic of university level of attending ratio-related indicators have meaningful gap. The ratio of enrollment to admitted applicants has meaningful difference on founding type, scale, founding date and if medical education are established except location. The ratio of enrollment to registered student' has meaningful difference on location, scale, founding date and if medical education are established except founding type. The ratio of dropout rate and ratio of competition rate of entrance exam have meaningful difference on founding type, location, scale, founding date and if medical education are established.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university factor common four attending ratio-related indicators is founding date. Third, the education conditions factor common four attending ratio-related indicators is a number of student per professor.;한국의 대학 진학률은 1990년의 33.2%에서 2008년 83.8%로 불과 20여년 사이에 50%정도의 증가를 보이고 있으나, 대학 경쟁력의 저하와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립대학과 국∙공립대학의 격차 등 많은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격차는 충원율에 있어서 두드러지고 있다. 대학이 정해진 정원을 채우지 못하면 대학의 교수-학습 과정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없고, 대학의 안정적 재원확보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대학에 있어서 학생자원의 획득은 생존과 직결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박정수∙홍희정, 2009; 황진영∙권병욱, 2005)가 재학생 충원율만을 분석하여 충원율 관련지표에 있어서 총제적 관점을 얻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입학과 관련된 신입생 충원율과 경쟁률, 재학과 관련된 재학생 충원률과 중도 탈락률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대학특성에 따른 충원율 관련지표의 차이와 대학특성과 교육여건이 충원율 관련지표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대학이 학생충원과 관련된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서론에 이어 Ⅱ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대학교육과 일반재화의 수요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학생의 대학선택의 결과 나타난 충원율 관련지표의 개념을 통해 개별 지표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도출하였다. 또한 학생의 대학선택 및 충원율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제Ⅱ장의 개념정의와 선행연구 고찰 결과를 참고로 하여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과 분석방법을 설계하였다. 대학의 충원율과 관련된 지표인 재학생 충원율, 신입생 충원율, 중도 탈락률, 경쟁률을 설립주체, 소재지, 의대보유 여부, 규모, 설립시기를 기준으로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대학특성과 교육여건이 충원율 관련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 모형을 설계하였다. 제Ⅳ장의 연구결과에서는 국·공립이 사립에 비해,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해, 의대보유 대학이 미보유 대학에 비해, 대학의 규모가 클수록, 설립역사가 오래될수록 신입생 충원율, 재학생 충원율, 경쟁률은 높고 중도 탈락률은 낮게 나타났다. 충원율 관련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은 대학특성의 영향요인과 대학특성을 통제변인으로 교육여건의 영향요인에 대해 실시했다. 분석결과 대학특성에 따른 분석에서는 설립시기가, 교육여건에 따른 분석에서는 전임교원1인당 학생수가 신입생 충원율, 경쟁률, 재학생 충원율, 중도 탈락률에 설명력을 가지는 공통변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Ⅴ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주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평균분석을 통해 나타난 국∙공립대학과 사립대학, 수도권 소재 대학과 비수도권 소재 대학의 차이는 현재 한국 대학의 현황이며, 이는 정부가 지방 사립대학의 지원과 구조조정을 실행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둘째, 대학특성과 관련해서는 입학과 재학에 관련된 충원율 지표 모두에서 설립시기가 중요한 요인으로 지목되었다. 이는 한국에서 대학선택에서 오랜역사를 가진 인지도가 높은 대학이 충원율에 유리함을 보여주며, 역사가 짧은 신생대학에는 제약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육의 질을 대표하는 전임1인당 학생수가 일관되게 충원율 관련지표 모두에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목된 것은 대학이 교육여건의 개선을 통해 충원율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재학과 관련된 재학생 충원율과 중도 탈락률에서 교수의 질을 대변하는 전임교원1인당 논문실적과 전임교원1인당 연구비가 공통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에서 충원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임교수1인당 학생수로 대변되는 양적 비율뿐 아니라, 교수의 질적 수준도 동시에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