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9 Download: 0

시각문화교육의 교육철학적 의미와 방안

Title
시각문화교육의 교육철학적 의미와 방안
Other Titles
Educational-philosophical meaning and the ways of visual culture education
Authors
신동미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현식
Abstract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with life. Education that is separated from life is unable to play its educational role and is meaningless. What has a substantial impact on the lives of today's students is visual culture. Experience of life through visual culture makes the lives of students meaningful and therefore, visual culture education is necessary as an element for growth of life. Acting as an educational value that helps students pursue happiness in their lives, visual culture education teaches students how to understand, interpret, and explore visual culture and through this, students grow to be active and subjective humans. Thus,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value and meaning of visual culture education which has been studied by art pedagogy, from a broad pedagogical framework that includes art education and to discuss on fundamental educational subjects related to visual culture education. By using the core basic education material of visual culture education, we’ve come up with the teaching direction to practice the visual culture education; suggesting teaching course and the role of teachers so that the visual culture education can be done at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Visual culture education is basically an education that develops critical understanding of visual culture. Visual culture that is represented by a series of visual images such as TV, Internet, movies, and advertising, influences our lives and consciousness and affects us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This visual culture ha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s well as its internal meaning, value, thinking, and consciousness. We receive influence from the internal value and meaning that were formed with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visual culture while building our consciousness, ego, and identity. Without critical understanding of visual culture, we are at risk of losing our active identity by passively perceiving the internal meanings of visual culture. Therefore, we require critical understanding of visual culture in order to establish active, subjective ego and consciousness. Through critical understanding, we are able to grasp the internal meanings of visual culture and to understand how it is formed and organized socially and culturally. It signifies that we are able to control visual culture ourselves and foster the ability to create it beyond critical understanding. Visual culture education calls this ability empowerment. The ultimate goal and pursuit of value of visual culture education is not only to understand and apply visual culture, but is also to know the social, cultural elements that form visual culture through critical understanding, as well as to foster the ability to grow subjective, creative existences who can actively control and develop their own thinking and consciousness on visual culture while such process being realized. The objective of visual culture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to grow to be active, subjective, and creative humans who understand and develop their own consciousness and ego, as well as to understand social, cultural aspects of visual culture, through education of visual culture that is life and experience of today's students. It suggests that visual culture education is not an educational value that is limited only to the area of art education, but has a practical value for our entire educational field. When seeking the goal of visual culture education and practicing its educational value, visual culture learning and education of creativity with visual experience are the educational subjects that comprise fundamental contents and value. Culture that forms today's visual culture is multi-cultural. In other words, visual culture learning means cultural learning about multi-culture that forms visual culture. Various forms of culture are melted within one visual culture and people who experience those at the same time can receive influence from various cultures. We are unable to understand all aspects of this multi-culture. Prejudice and unconditional, passive acceptance arising from lack of understanding can easily lead to wrongful understanding and knowledge through visual culture and may put us at risk of losing active identity due to passive attitude. As a result, in order to perform visual culture education, critica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e is basically necessary. It is not that with only critical understanding as visual culture learning, the ultimate value of visual culture education can be achieved. The ultimate value of visual culture education can be achieved when education of creativity with visual experience is performed based on critica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e in visual culture learning. Education of creativity with visual experience means education of creativity through visual culture. Visual culture education places importance on development of creativity through visual culture that has great influence on the lives and experience of today's students because creativity can help students grow to be the active, subjective existences that visual culture education pursues and growth as a subjective existence can bring significance, joyfulness, and happiness to the lives of humans. This study discussed on the value and meaning of visual culture education that seeks growth as an active, subjective human through visual culture as lives and experience of students. It also presented critical understanding of visual culture learning and education of creativity with visual experience, for fundamental education subjects that are necessary to achieve the value and meaning that visual culture education pursues. In order for the value of core basic education material of visual cultural education to be practically implemented at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the thematic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role of teacher as an interactive investigator and guides are required. In order for the visual culture, which is formed by various social and cultural elements, to create the value of development as an active and subjective existence, which the core basic education material of visual cultural education seeks, it needs integrated knowledge rather than the fragmented knowledge. In addition, as it is the teacher, who actually implement the thematic-centered integrated curriculum, which the visual culture education orients, the role of the teachers is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we’re going to suggest and discuss the basic direction as core concept setting, understand how to view and continuous and active process of mutual communication by practical approach of visual cultural education. Visual culture education that is not separated from life and can bring the meaning, growth, and happiness of life as an educational value should be educated to today' students who are living in the visual culture age.;교육은 삶과 통합되어야 한다. 삶과 동떨어진 교육은 교육적 역할을 하지 못하며 그 의미가 없다. 오늘날 학생의 삶에 있어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은 시각문화이다. 시각문화라는 삶의 경험이 학생의 삶에 있어 의미를 가지게 하고 삶의 성장을 위한 구성요소가 되게 하기 위해서는 시각문화교육이 필요하다. 시각문화교육은 시각문화를 이해하고 해석하고 탐구하는 방법을 통해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인간으로서의 성장과 학생의 삶에 있어 의미와 행복을 추구할 수 있게 하는 교육적 가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교육학에서 연구된 시각문화교육을 교육철학적인 큰 틀에서 그 의미와 가치를 고찰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시각문화교육의 교육철학적인 가치와 의미가 교육현장에서 실천되기 위한 교육적 과제와 방안은 어떠한 것이 될 수 있는지를 제시하고 논의해 보았다. 시각문화교육은 기본적으로 시각문화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위한 교육이다. TV, 인터넷, 영화, 광고 등 일련의 시각이미지가 중심이 되는 시각문화는 오늘날 우리의 삶과 의식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시각문화는 사회·문화적 맥락성을 가지며 그 내적인 의미, 가치, 사상, 의식 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시각문화가 지니고 있는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형성된 내적인 가치와 의미는 우리의 의식과 자아 및 주체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준다. 우리의 의식과 주체성 형성에 영향을 주는 시각문화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시각문화가 가지는 내적인 의미들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여 우리의 능동적인 주체성을 잃어버릴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자아확립과 의식을 가지기 위해서 시각문화에 대한 비판적 이해가 필요하다. 비판적 이해를 통해 우리는 시각문화가 지니고 있는 내적인 의미를 파악할 수 있으며 사회·문화적으로 어떻게 형성되고 체계화 되는지 그 구성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시각문화교육은 비판적 이해 뿐만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가 시각문화를 통제할 수 있으며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시각문화교육에서는 이러한 능력을 권한부여(ewpowerment)라 칭한다. 시각문화교육의 궁극적 목표와 가치는 단순히 시각문화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다. 시각문화를 형성하는 그 이면의 사회·문화적 요소들과 내적 의미와 가치체계를 비판적 이해를 통해 알아가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과 함께 스스로 시각문화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의식을 능동적으로 통제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주체적이고 창의적인 존재로서 성장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고찰해 본 시각문화교육의 궁극적 목표와 의미는 오늘날 학생들의 삶과 경험인 시각문화에 대한 교육을 통해 시각문화를 둘러싼 사회·문화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면서 동시에 학생 자신의 의식과 자아를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창의적 인간으로서 성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시각문화교육의 목표와 의미는 미술교육영역에서만 한정되는 교육적 가치가 아니라 우리 교육현장 전체에서 실천할 교육철학적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각문화교육의 목표와 의미를 통해서 시각문화교육의 교육철학적 의미와 가치를 시각적 문화학습과 시각적 문화경험의 창의성 교육으로 제시하였다. 오늘날 시각문화를 이루고 있는 문화는 다문화적이다. 즉, 시각적 문화학습이란 시각문화를 이루고 있는 다문화에 대한 학습을 의미한다. 하나의 시각문화 안에는 다양한 문화가 녹아져 있기 때문에 이를 접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런데 시각문화 안에 내재되어 있는 다문화에 대해 우리는 모두 다 이해할 수는 없다. 이해 부족으로 인한 편견과 무조건적인 수동적 수용은 자칫하면 시각문화로 인해 잘못된 이해와 지식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우리의 능동적 주체성을 상실할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시각문화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다문화에 대한 비판적 이해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시각적 문화학습으로서의 비판적 이해만으로 시각문화교육의 궁극적 가치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시각문화교육의 궁극적 가치는 시각적 문화학습에 있어 다문화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바탕으로 시각적 문화경험의 창의성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시각적 문화경험의 창의성 교육은 시각문화를 통한 창의성 교육을 의미한다. 시각문화교육은 현재 학생의 삶과 경험에 있어 많은 영향을 주는 시각문화를 통해 창의성 발달을 중시한다. 왜냐하면 창의성은 시각문화교육이 추구하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존재로서의 성장을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주체적 존재로서의 성장은 인간의 삶에 있어 의미와 기쁨, 행복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본 시각문화교육의 의미와 가치가 교육현장에서 실천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필요한 교육적 과제를 주제중심통합 교육과정과 상호작용적 탐구자와 안내자로서의 교사의 역할로 제시하였다. 왜냐하면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소들로 이루어진 시각문화는 시각문화교육이 추구하는 능동적이고 주제적인 존재로서의 성장이라는 가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파편화된 지식보다 통합적 지식이 더 적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시각문화교육이 지향하는 주제중심통합 교육과정을 교육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실행하는 사람은 교사이기 때문에 교사의 역할이 함께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시각문화교육의 교육적 과제들의 실천적 방안을 핵심개념 설정, 보는 방법의 이해, 지속적이고 능동적인 상호소통 과정으로 제시하여 논의하였다. 삶과 동떨어지지 않고 삶의 의미와 성장, 행복을 줄 수 있는 교육적 가치로서 시각문화교육은 시각문화시대를 살고 있는 오늘날 학생들에게 교육되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