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심상을 활용한 어휘 교수∙학습 방법이 한국어 학습자의 기억에 미치는 영향

Title
심상을 활용한 어휘 교수∙학습 방법이 한국어 학습자의 기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mental imaging upon Korean language learners' memory
Authors
손근정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많은 한국어 학습자들은 어휘 학습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고 어휘 학습을 흥미롭게 하기보다는 어휘에 대한 심적인 부담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지만, 대부분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기계적이고 단순한 어휘 학습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도 어휘 학습은 주로 학습자의 몫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장기기억 수행을 도울 수 있는 어휘 학습 방법을 제시하여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돕고,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학생들이 어휘를 학습할 때 보다 자기주도적인 태도로 흥미롭고 적절한 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 심상을 활용한 어휘 수업의 효과를 증명하고 그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심상을 활용한 어휘 수업이 한국어 학습자의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각 품사별로 효과를 비교해 보았으며, 실험 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평소 사용하는 어휘 학습 방법과 실험 수업에서 학습한 어휘 학습법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았다. 실험에 앞서 먼저 명사, 동사, 형용사의 세 품사별로 교수 목표 어휘를 선정한 후, 이집트 카이로의 한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대학생 학습자 24명을 모집하였다. 그리고 그들을 심상을 활용하여 어휘를 학습하게 한 실험 집단과 정의 중심 교수법으로 어휘를 학습하게 한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동일한 주제와 교재로 진도를 나가되, 각 집단의 어휘 제시 방법과 활용 방법이 달라지게 수업을 구성하였다. 실험 집단에게는 어휘를 제시할 때 영어 정의와 함께 시각자료를 제시하고 어휘를 입력할 때 어휘와 관련된 경험이나 이미지나 심상을 떠올려 보게 한 반면, 통제 집단에게는 영어 정의만을 제시하고 어휘를 입력할 때 단어장에 여러 번 쓰면서 외우도록 하였다. 그리고 매 수업 후에는 단기기억 평가를 실시하였고, 마지막 수업이 종료된 2주 후 장기기억 평가를 실시하여 기억 수행에 어떠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명사, 동사, 형용사 각 품사별로 학생들이 기억한 어휘의 수를 알아보고, 품사를 합친 전체 어휘의 수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실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단기기억, 장기기억 평가와 품사별 장기기억의 효과를 분석할 때 모든 유의수준을 .05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단기기억과 장기기억 평가는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품사별 장기기억의 효과는 일원량 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기기억 평가의 결과를 먼저 살펴보면 첫째, 전체 단기기억 평가에서 실험 집단의 평균은 30점을 만점으로 하여 25.17, 통제 집단의 평균은 18.92로, 두 집단의 평균 차이가 6.25로 실험 집단의 평균이 통제 집단의 평균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실험 집단에서 더 높은 기억률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체 장기 기억평가에서 실험 집단의 평균은 30점을 만점으로 하여 14.08, 통제 집단의 평균은 8.67로, 두 집단의 평균 차이가 5.41로 역시 실험 집단의 평균이 통제 집단의 평균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실험 집단에서 더 높은 장기기억을 수행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품사별 장기기억 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두 집단을 구분하지 않고 분석해 본 결과 장기기억량의 효과 크기는 명사>형용사>동사 순이었다. 다음으로 집단을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통제 집단에서 장기기억량의 크기는 명사>형용사=동사 순이었고, 실험 집단에서 장기기억량의 크기도 명사>형용사=동사 순이었다. 이는 Rodgers(1969)의 연구에서 명사가 가장 배우기 쉽고, 그 다음에는 형용사이며 동사와 부사는 외국어 학습 실험에서 가장 배우기 어려운 품사라고 하였는데, 어휘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품사적 요인이 어휘 습득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업에서 배운 어휘 학습 방법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았는데, 그 결과 평소에도 이 어휘 학습방법을 사용해 본 적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50%의 학생들이 ‘전혀 사용해 본 적이 없다’라고 답하였고, 이 수업이 도움이 되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모든 학생들이 ‘도움이 되었다’라고 답하였으며, 이 방법을 통해 어휘가 향상되었음을 느끼는가에 대한 질문에 75%의 학생이 ‘매우 그렇다’라고 답하였으며, 단어가 기억에 오래 남는 것 같은가에 대한 질문에 ‘조금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라고 답한 학생의 합이 93%로 긍정적으로 반응하였고, 마지막으로 혼자 공부할 때 이 방법을 사용해 볼 의향에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92%의 학생들이 ‘매우 그렇다’라고 대답하였음을 보아 이러한 다양한 어휘 학습 방법을 교사가 제시해 주어 스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지심리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한 심상을 활용한 어휘 학습방법으로 어휘를 학습한 집단은 단기기억과 장기기억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고, 각 품사별 장기기억 효과 비교를 통해 선행연구인 Dansereau(1978)의 연구와 McDaniel과 Kearney(1984)의 연구에서 목표 어휘와 관련된 이미지 생각하기가 효과적이었다는 연구 이론이 입증되었다. 실제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휘 학습을 할 때에 이 방법을 활용한다면 어휘 지식 습득의 효과성을 높이는 동시에 학습한 어휘의 장기기억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고,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어휘 교육도 품사별 효과를 고려하여 본 실험의 교수법을 활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Many Korean learners are aware of the need to be familiar with the vocabulary aspect of a language. However, the language learners often find learning vocabulary to be burdensome and difficult rather than exciting. The majority of the Korean learners use a simple systematic method to study vocabulary. Even in the classes, learners are given the burden to learn vocabulary on their ow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help learners want to initiate the learning experience with a positive attitude by giving them a motive to learn and by suggesting ways to improve the learner's memory skills. Also, for the learners overcome the limit of the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This thesiswas writtento prove and debate the research in vocabulary lecture setting. Through this experiment the researcher analyzed how using mental imaging in class effected the short term memory and long term memory of each student. And the researcher compared how the students remembered different parts of speech. After the experiment the learners were given surveys and individually asked to answer a questionaire. In the questionaire the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how they normally studied vocabulary, and how they felt about the new method of learning vocabulary. Before the experiment the researcher invited 24 Egyptian university students currently studying Korean language to participate in this experiment. The researcher selected vocabulary words from three different parts of speech: noun, verb and adjective. The researcher divided the students into 2 groups.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vocabulary using the word pair method of teaching. The experiment group was taught using the mental imaging method of teaching. Both groups were exposed to the same vocabulary and the same teaching materials. Theonly difference washow the teacher presented the vocabulary and how the students studied the vocabulary words. The experiment group was exposed to the English meaning of each word and visual materials. The groups was also asked to bring up memories of past memories related to the vocabulary words.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was presented with only the English definition and was asked to memorize the words by writing the vocabulary words several times. The researcher gave both groups a short term memory test and a long term memory test 2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lass in order to find if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 group's memory. The tests were given to see how many verbs, nouns, and adjectives the students could remember separately. The test was given to see how many overall definitions the students could remember.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in oder to analyze the result of the statistics of the research, after all of the short term and long term memory tests the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short term and long term memory test were analyzed by using the t-test, and the memorization of the different parts of speech were analyzed by using One-way ANOV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in the short term memory test done by the experiment group, the students had an average score of 25.17 out of 30, and the control group had an average score of 18.92 out of 30. The average of the difference in the 2 groups was 6.25. It was thus proven that the experiment group score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indicates that the experiment group was able to memorize more vocabulary words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ly, in the long term memory test done by the experiment group, the students had an average score of 14.08 out of 30, and the control group had an average score of 8.67 out of 30. The average of the difference in the 2 groups was 5.41. It was thus proven that the experiment group score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indicates that the experiment group was able to memorize more vocabulary words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looking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long term memory of the different parts of speech, the research concluded that nouns were most memorized, then adjectives, and thenverbs in case that the group is not divided. By the groups,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milar results. The Rodgers(1969) study indicated that nouns were theeasiest to memorize, and then adjectives. However, while learning a foreign language, studies indicated thatverbs and adverbs were the most difficult to learn. It is apparent that the factor regarding partsof speechwas the most influential among various factors responsible foracquisition ofvocabulary. Finally, only the experiment group was given a survey. In the survey, the researcher asked the students' opinion about the study method used during their class. One of the questions on the survey was if they have ever used the mental imagery method of learning. 50%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have never used this method before. The second question asked was if the class was helpful to the students, and all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 class were helpful. Also 75%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 lessons helped them have a sense of higher vocabulary. Then the students were asked if the students felt that they are able to remember the vocabulary words for a long period of time. 93% of the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by saying "a little" to "very much".Finally, the students were asked if they would use the same method of learning. 92% of the students responded "very much."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teachers need to expose the various ways to effectively study vocabulary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be able to use on their own. Through this experiment, it was proven that this experiment which involved mental imaging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cognitive psychology toward long term memorization of vocabulary definitions. This theory proves the precedent study of Dansereau(1978) and thestudy of McDaniel and Kearney(1984), experiments donerelating visual memorization. If korean learners were to apply this method of studying, the learners would be about to gain high knowledge of the vocabulary words they're memorizing, and at the same time, by using this method, learners would improve their long term memory of each word. Korean language classes should also consider applying this teaching method in their classroo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