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6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체험학습 요구분석과 적용 방안 연구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체험학습 요구분석과 적용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Needs Analysis and Methods of Cultural Field Trip for Chinese Korean-Language Learners and Korean Teachers : Through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IPA)
Authors
전종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needs analysis to examine Korean learners and teachers'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bout cultural field trip. Cultural field trip is one of the class activities for learners to go out of class and experience through things to see, hear, make, learn, etc. in the fields related culture. The first chapter is about the needs and backgrounds of my research. I will light on the purpose of my research about needs and methods of cultural teaching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troduce the cultural field trip related researches conducted in the past. And I described two poblems of this research and how it can be resolved and analysed. In the second chapter I described the definition of culture, the aim and contents to educate, and 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As one of the ways of cultural education, I focused on Cultural Field Trip and presented its purpose, classified fields and cultural activities. With some examples of cultural field trips don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I explained the current situation where Chinese learners increase dramatically compared to other national learners. In the third chapter, I wrote about research subjects, method and tools. My research subjects are Chinese learners and Korean teachers. The contents of my survey consists of general questions, the purpose of cultural field trip, 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also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bout cultural field trip's places and activities. In the fourth chapter, I presented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result shows that Chinese learners think nature places and theme places are on the top priority to be improved and Korean food and 'stay' program are on the top priority to be upgraded. Korean teachers perceive that theme places is urgently necessary to be developed and traditional etiquette and festival․events are on the top priority to be developed. The common area for students and teachers to perceive as improvement area, was theme places. As for nature places, learners considered it to be developed, teachers posed it in the low-priority. On the contrast, as for history places, teachers considered it to be developed but learners posed it in the low-priority. I have surveyed the importance and the most favourite cultural field trip and presented the result by its frequency and proportion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using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 result has shown tha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for respondents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cultural festival or event according to 'openness' of 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With this result, the top priority cultural places and activities have been drawn. Students and teachers perceive commonly 'theme places' should be improved and students added 'nature places' for that. As for cultural experience, students evaluated korean food and 'stay' program, teachers did traditional etiquette and festival․events to be developed. Commonly cultural facilities, traditional martial arts and traditional arts belonged to low importance. Also, experience places and modern arts are recognized as excess of effort. Through the results described so far, it can be suggested that firstly, the standard to select places and activities of cultural field trip should be set up, secondly, there should be connection between cultural places and activities, and lastly, the course model has to be developed.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progress of improving the curriculum of cultural field trip by analysing that the real students and teachers' needs in this regard using IPA. Also this study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top priority' cultural places and experiences are offered to develop cultural field trip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e progress of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re would be continuous surveys with various resources such as many national students or course organizers and more diversified researching method as well as case study of cultural field trip.;본 연구는 문화체험학습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한 요구 조사이다. 문화체험학습이란 교실 밖으로 나가서 경험해 보는 수업형태로, 학습자가 문화 현장에서 직접 참가하여 보고, 듣고, 만들고, 배우는 모든 활동을 통해 체험하는 수업을 말한다. I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문화의 이해 없이는 언어 습득에도 제한이 있다는 여러 주장에 따라 이제 문화 교육은 언어 교육에서 필수로 자리잡았고 그에 따른 수업 모형과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어 교육에서도 문화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교재에 반영된 문화 요소가 부적절하고 문화와 언어간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언어와 문화를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교재나 교실수업에서 자연스러운 맥락으로 제시하지 못하는 부분을 문화경험을 통해서 문화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문화체험학습을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II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문화 교육에서 강조되는 문화간 의사소통능력과 문화 교육의 목표 및 내용과 학습 모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문화체험학습의 목적과 장소의 유형 및 체험의 내용에 대해 기준을 제시하고 그에 따라 범주화하였고, 이를 설문 조사의 틀로 활용하였다. 국내 문화체험학습의 사례와 함께 중요도-만족도 분석 방법과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중국인 학습자의 현황에 대해서 기술했다. III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그리고 연구 도구에 대한 내용이다. 연구 대상은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어 교사이며 설문 내용은 개인의 일반적 사항과 문화체험학습의 목적,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문화체험의 장소와 체험 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선호도, 만족도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체험학습의 장소와 체험 내용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 학습자의 경우, 문화체험의 장소로 자연 관광지와 테마 관광지를 개선할 영역으로 인식했고, 문화 체험으로 한국 요리와 숙박 체험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어 교사들은 문화체험학습의 장소 가운데, 테마 관광지의 개발이 가장 시급하고 체험 내용에 있어서는 전통예법과 축제․행사의 문화체험 개발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와 교사가 공통적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인식한 것은 테마 관광지로 나타났으며 개선해야 한다고 인식한 문화 체험은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또, 자연 관광지에 대해서 학습자는 개선의 영역으로, 교사는 낮은 순위의 영역으로 인식했고, 역사 관광지에 대해서는 반대로 교사가 개선의 영역으로, 학습자는 낮은 순위의 영역으로 인식하였다. 중요도와 선호도 조사에서는 기술통계분석을 통하여, 학습자와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선호하는 장소와 체험을 빈도수 및 비율로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중 개방성에 관련된 능력에 따라 축제나 행사의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중점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영역을 도출하였다. 학습자와 교사 모두 테마 관광지를 공통적으로 인식했으며 학습자의 경우에는 자연 관광지가 추가됐다. 체험에 대해서 학습자는 한국 요리와 숙박 체험, 교사는 전통예법과 축제․행사 참가를 개선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 공통적으로 문화 시설과 전통무술 및 전통예술 감상은 낮은 순위에 포함됐으며, 역시 학습자와 교사 모두 체험 관광지와 현대 공연 감상에 대해서는 노력이 과잉 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체험 관광지인 놀이 공원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은 ‘과잉’ 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놀이공원보다 집중 영역에 포함된 장소와 체험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 지금까지 논의한 결과로부터 문화체험학습에 제안하고자 하는 바는, 문화체험학습의 장소와 체험의 내용을 선정하는 기준을 정립해야 하며, 문화체험학습의 장소와 체험을 연계하여 구성해야 하고,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화체험학습의 수업 모형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체험학습의 내용에 대해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유지하고 개선해야 하는 영역과 노력을 지양하고 자원을 재분배해야 하는 영역을 도출함으로써 학습자와 교사의 실질적인 요구를 알아보았다는 데 있다. 그뿐만 아니라, 문화체험의 장소와 체험 내용을 범주화하고 이를 분석의 단위로 설정하여 집단 별로 중요도 인식의 차이 및 선호도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또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에 따라 문화체험학습의 인식에 차이가 난다는 결과를 통하여 문화체험학습에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