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2 Download: 0

식중독 예방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식중독 예방관련 지식 및 수행도 평가

Title
식중독 예방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식중독 예방관련 지식 및 수행도 평가
Other Titles
An Evaluation of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Food Poisoning Prevention by Application of a Food Poisoning
Authors
채연희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숙자
Abstract
경제 발전으로 소득증대와 핵가족화 및 취업여성의 증가로 야기된 생활양식의 변화는 외식문화의 비약적인 성장을 가져와 가정 이외의 장소에서 식사를 하는 빈도가 증가되었다. 반면 외식업소 조리종사자의 위생개념 및 식품취급에 대한 지식부족으로 식중독의 유형은 집단화와 대형화 추세를 보이며 식중독으로 인한 사고와 환자발생이 계속 증가하여 식중독 예방에 관한 관리 및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외식업소 주방 근무자를 대상으로 개인위생과 작업장 환경위생을 포함한 식품위생에 관한 지식과 수행방법을 내용으로 하는 식중독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효과를 검증하는데 있으며 단일군 사전․사후설계 유사 실험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J구에 소재한 한식전문 외식업소에 근무하는 주방 근무자 7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9월 2일부터 11월 5일까지 하였다. 연구 도구인 지식 측정도구의 경우 총 35문항으로 식중독 예방관련 지식 8문항, 개인, 식품, 환경위생에 관련된 지식 27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식중독 예방관련 수행도 평가지는 총 22문항으로 개인위생 5문항, 식품위생 12문항, 환경위생 5문항으로 각각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ackage (Version 12.0)의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가 56.9%로 여자보다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40-50세가 40.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0-40세가 34.7%였으며, 고졸이 62.5%였다. 근무 경력은 1년-5년 미만이 68.1%로 가장 많았으며, 직위별 구성은 조리사가 47.2%, 조리원 30.6%, 캡틴 이상의 주방관리자 13.9%의 순이었으며, 고용형태로는 정규직이 73.6%로 계약직보다 많았다, 조리사중 자격증이 있는 경우가 25.0%, 자격증이 없는 경우가 75.0%이였다. 조사대상자는 위생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가 69.4%였으며, 위생교육 경험은 근무지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교육경험이 75.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식중독 예방관련 지식은 1점 만점으로 식중독 예방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 .72에서 프로그램 실시 후 .84로 증가하였고 하위영역에서 식중독 관련 지식은 .70에서 .84로, 개인위생 관련 지식은 .68에서 .86, 식품위생 관련 지식은 .72에서 .81, 환경위생 관련 지식은 .81에서 .90으로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교육 전, 후 식중독 예방관련 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식중독 예방관련 지식은 연구대상자의 학력, 근무경력과 주방 근무자의 직위 및 사전에 위생교육을 받은 경험의 유무에 따라서 식중독 예방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식중독 예방관련 지식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p<.01). 다만 주방 근무자의 조리사 자격증 취득 유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4. 식중독 예방관련 수행도는 5점 만점으로 식중독 예방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 3.98에서 프로그램 실시 후 4.53으로 증가하였고 하위영역에서 개인위생 관련 수행도는 4.04에서 4.59로, 식품위생 관련 수행도는 3.95에서 4.52, 환경위생 관련 수행도는 3.98에서 4.51로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교육 전, 후 식중독 예방관련 수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식중독 예방관련 수행도는 연구대상자의 학력, 근무경력, 주방 근무자의 직위, 조리사 자격증 취득 유무 및 사전에 위생교육을 받은 경험의 유무에 따라서 식중독 예방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 후 식중독 예방관련 수행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p<.05)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외식업소 주방 근무자에게 실시된 식중독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식중독 예방관련 지식과 수행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식중독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식품사업장에 근무하는 산업 간호사에 의하여 식중독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 중재도구로 활용되어 식품사업장 근무자를 대상으로 하는 보건교육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이를 기초로 식품사업장 책임자는 근무자들에게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식중독 예방 교육과 일상적인 업무과정에서 수행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관리 감독체계를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ductive framework for food poison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concerning knowledge and practice methods of food hygiene. This study tested personal hygiene and the environmental hygiene of the workplace for workers at kitchens of restaurants, and the educational effects on knowledge of food poisoning and prevention behavior.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72 workers at kitchens of restaurants accommodating more than 100 persons in J District of Seoul, and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2 to November 5, 2010.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percent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knowledge and practice methods of food hygiene was analyzed by the SPSS Package (Version 12.0) statistical program, which contains the t-test and ANOVA.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Knowledge of food poisoning prevention improved drastically after the food poison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rom (.72) to (.84) (maximum of 1.0) (p<.001). 2.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knowledge of food poisoning prevention was significantly better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food poison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The education program was provided to a large variety of workers at kitchens of restaurants. Regardless of the workers' level of education, years of experience, rank, or previous experience, the workers' knowledge of food poisoning prevention improved (p<.01). However, one category of the experiment, whether or not the workers had acquired a cook's certificate, did not improve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the others. 3. Performance of poisoning prevention tasks also improved drastically after the food poison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rom (3.98) to (4.53) (maximum of 5.0) (p<.001). 4.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erformance of food poisoning prevention was significantly better (p<.05)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in all five categories of respondents' level of education, years of experience, rank, previous experience, and the acquisition of a cook's certificate. To put the results together, the food poison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both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food poisoning prevention for workers at kitchens of restaurants. This education is essential to the workers whose educational environment is poor and whose educational level varies. Th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used by industrial nurses working at food service workplace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prevent food poiso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