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9 Download: 0

인공와우이식 영아의 발성 및 음소 발달 종단연구

Title
인공와우이식 영아의 발성 및 음소 발달 종단연구
Other Titles
Longitudinal Study of Early Vocal and Phonetic Development for Cochlear Implant Infants
Authors
전현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현섭
Abstract
Hearing Impaired Infants expect to achieve better speech and language ability after cochlear implnatation, The young child is, the big benefit is. Profoundly hearing impaired infants have shown gains from cochlear implantation begin with advancements in early vocal development. Early vocal development is critical because canonical babbling that infants produce can function as the basis for later word production. The prepsent study were (1) to assess early vocal development intervals of 3 months for 9 months after cochlear implantation in deafened infants, (2) to investigate phonetic development during early vocal development. 3 infants with profoudly impaired hearing aged from 13 months to 17 months participated as subjects in this study. The Stark Assessment of Early Vocal Development-Revised (SAEVD-R) is used as a scale to assess early vocal development for 3 cochlear implantation infants. The presen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 1. 3 cochlear implant infants established Level 5 of early vocal development stages on 9 months after cochlear implantation. Subject 1 established Level 3 on 3 months, Level 4 on 6 months, Level 5 on 9 months after cochlear implantation. Subject 2 established Level 3 on 3 months, Level 4 and 5 on 9 months after cochlear implantation. Subject 3 established Level 3 on 3 months, Level 4 and 5 on 6 months after cochlear implantation. 3 infants produced incresingly more complex and speech-like vocalization for 9 months after cochlear implantation. 3 infants followed the predicted sequence of development. Cochlear implant infants who are physically, cognitively, and motorically more mature had short period of vocal development compare to nomally hearing infants. 2. 3 cochlear implant infants produced 7 korean vowels and more diphthongs and incresed consonant diversity for 9 months after cochlear implantation. Cochlear implant infants prefered to produce non-rounded vowels to rounded vowels, back vowels to front vowels. Cochlear implant infants produced stops and nasals with regard to consonant manner, and labials, coronals and dorsals with regard to consonant place during ealry vocal development period. Infants with nomal hearing produced more or similar consonant inventory which cochlear implnat infant produced on 9 months. Cochlear implnat infants developed vowels and diphthong faster than nomally hearing infant, on the other hand consonants slower or similar.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prediction and inspection of early vocal and phonetic development of cochlear implant infants.;고심도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인공 와 우 수술이 시행되어 인공 와 우 이식자의 말과 듣기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인공와 우 수술로 인한 이득은 성인보다 어린 영 유아 에게 서 더 크며 점점 더 어린 연령의 청각장애 영 유아도 인공 와 우수 술 의 대상자가 되고 있다. 최근 인공 와 우 이식 연령이 12개월 전후로 크게 낮아짐에 따라 인공 와 우 이식 영아의 초기 발성 발달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초기 발성 발달 기간 동안 산출된 발성은 이후 말 및 언어발달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초기 발성 발달에서 옹알이는 이후 ‘단어의 음소 형성체’로 작용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3∼17개월에 인공 와 우 수술을 받은 심도 청각장애 영아의 초기 발성 발달을 수술 후 9개월 동안 3개월 간격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인공 와 우 수술 후 초기 발성 발달이 건 청 영아들과 같이 예상된 발달 순서를 따르는지, 언제 발성 발달의 단계가 확립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공 와 우 이식 영아와 듣기 연령을 일치시킨 건 청 영아의 발성 발달을 참고하여 비교하였다. 더불어 초기 발성 발달 기간 동안 산출된 자음과 모음의 음소 목록을 작성하고, 이를 듣기 연령을 일치시킨 건 청 영아의 음소목록 그리고 국내 연구와 비교함으로써 인공 와 우 이식 영아의 음소 발달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발성 발달 평가도구인 The Stark Assessment of Early Vocal Development-Revised (SAEVD-R)을 사용하여 인공 와 우 이식 영아의 초기 발성 발달을 살펴보았다. 이 평가도구에서는 초기 발성 발달 단계를 5단계로 나누고 있으며 한 단계가 10%이상 산출되었을 때 해당 단계가 확립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확립된 단계 중 가장 높은 단계를 영아가 확립한 단계로 보았다. 또한 발성 중 4단계와 5단계의 발성이 각각 20% 이상 산출되었을 때 초기 발성 발달이 완료되었다고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명의 인공 와 우 이식 영아는 모두 수술 후 3개월에 3단계를 확립하였고 수술 후 9개월에 5단계를 확립하였다. 인공 와 우 이식 영아는 수술 후 9개월이 되면 초기 발성 발달의 최고 단계인 5단계를 이룰 수 있지만 듣기 연령을 일치시킨 건 청 영아는 생후 9개월 까지 5단계를 확립하지 못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건 청 영아가 5단계를 9∼18개월에 확립하는 것과 비교할 때 더 빠른 발성 발달을 이루었다. 이는 더 높은 생활연령으로 인하여 인공 와 우 이식 영아가 인지적, 운동적으로 더 성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공 와 우 이식 후 향상된 청 지각 력 과 청각적 피드백으로 인해 인공 와 우 이식 영아의 초기 발성 발달이 빠르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공 와 우 이식 영아는 수술 후 9개월이 되면 한국어 단모음을 모두 산출할 수 있었다. 자음은 조음 방법에서 폐쇄음과 비음을 조음 위치에서 양순음, 치경음, 연구개음을 산출 할 수 있었다. 모음 목록을 살펴보면 인공 와 우 이식 영아 3명 모두 수술 후 9개월 동안 한국어 단모음 7가지 /아/, /에/, /이/, /우/, /오/, /으/, /어/를 1회 이상 산출할 수 있었다. 이중모음의 경우, 3개월에 전혀 산출하지 못하였고 6개월에 /와/를, 9개월에 /야/, /여/, /와/, /위/ 4가지를 산출하였다. 인공 와 우 이식 영아의 모음 발달을 듣기 연령을 일치시킨 건 청 영아와 비교하면 건 청 영아보다 모음 발달이 더 빨리 이루어졌다. 건 청 영아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면 초기 발성 발달 기간 동안 산출하는 모음의 종류와 산출 율의 결과가 일치한다. 그러나 단모음의 산출 기간은 인공 와 우 이식 영아가 더 짧았다. 또한, 모음 습득 순서에서는 인공 와 우 이식 영아가 음향학적 차이가 더 큰 모음을 더 빨리 습득하여 건 청 영아와 차이가 있었다. 자음 목록을 살펴보면 인공 와 우 이식 영아는 수술 후 3개월에 양순비음인 /ㅁ/만 산출하였고, 6개월에 더 다양한 자음을 산출하고 조음 방법상 폐쇄음과 비음, 조음 위치상 양순음, 치경음, 연구개음을 산출하였다. 9개월에는 산출하는 자음의 목록은 늘어나지만 조음 방법과 위치는 동일하였다. 인공 와 우 이식 영아와 듣기 연령을 일치시킨 건 청 영아의 자음목록과 비교해보면 자음 목록의 수는 인공 와 우 이식 영아가 더 많다. 그러나 인공 와 우 이식 영아가 수술 9개월에 산출한 자음과 듣기연령을 일치시킨 생후 9개월 건 청 영아의 자음 산출은 조음 방법과 위치에서 동일하였다. 건 청 영아를 대상 으로 한 선행연구와 비교해 보면 연구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다. 연구에 따라 인공 와 우 이식 영아는 조음 방법과 조음 위치에서 건 청 영아보다 덜 다양하게 자음을 산출하였다. 그러나 1세 이전에 습득되는 자음 목록과 산출 방법이 인공 와 우 이식 영아가 산출한 자음 목록과 방법에서 일치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인공 와 우 이식 영아는 건 청 영아와 비교할 때 자음 발달에서 다소 느리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발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아주 어린 연령에 인공 와 우 수술을 받은 영아가 수술 후 9개월 동안 건 청 영아들의 발성 발달과 차이 없이 예상된 발성 발달을 이루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히려 인공 와 우 이식 영아가 더 짧은 기간에 초기 발성 발달을 이루었는데 그 이유는 인 인공 와 우 이식 영아의 생활연령이 더 높아 운동적, 인지적으로 더 성숙했기 때문이다. 또한 음소 발달을 살펴봄으로써 인공 와 우 이식 영아가 한국어의 단모음을 빠른 기간 내에 산출하고 건 청 영아와 비교할 때 자음을 다소 늦거나 비슷한 정도로 산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근 언어 이 전기에 인공 와 우 수술을 받는 영아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공 와 우 이식 영아의 수술 후 초기 발성 발달의 진전을 점검하고 재활 목표를 설정하는데 본 연구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