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4 Download: 0

천식양증상을 가진 메타콜린 유발검사 음성인 환자들의 특성

Title
천식양증상을 가진 메타콜린 유발검사 음성인 환자들의 특성
Other Title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ith asthma-like symptoms and negative methacholine challenge test
Authors
임소연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중현
Abstract
Background/Aims: Asthma 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airway hyperresponsiveness. Methacholine challenge test (MCT) is the most common method being used to detect airway hyperresponsiveness. However, methacholine-airway hyperresponsivenss has not always been found in subjects with asthma.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omplained of asthma-like symptoms without positive methacholine challenge test. Subject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in Ewha Womans University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1st, 2006 and December 31st, 2006. Results: In total, 185 (127 positive MCT and 58 negative MCT with asthma-like symptoms) patients were included. Median age of all patients was 49 years and male was 57 (31%). Pulmonary function (FEV1, FVC, FEV1/FVC, and FEF25-75) was lower in the patients with positive MCT than in negative MCT with asthma-like symptoms (p < 0.05). Among patients with negative MCT, 19 (33%) showed 16 25 mg/mL.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bout gender, age, and lung function. Among negative MCT, the most common symptom was dust- induced dyspnea (64%), and, in 10 (17%) patients, asthma medication improved respiratory symptom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sponders with asthma medication and non responders. Conclusion: Although the patients with negative MCT and asthma-like symptoms revealed better lung function than that in patients with positive MCT, the two groups being divided by the cutoff value of 25 mg/mL were not different each other in clinical characteristics. Since the responder with asthma medication was 17%, a negative MCT could not completely rule out asthma in suspected patients, and concurrent use of alternative methods and long-term follow-up study are necessary to diagnose.;천식은 기도의 만성 알레르기성 염증 질환으로서 가역적 기류폐쇄와 기도과민성이 특징적이다. 천식은 호흡곤란, 천명, 기침 등의 특징적인 증상과 폐기능 검사에서 가역적 기류폐쇄가 있을 때 진단할 수 있으며, 기류폐쇄가 없을 때는 약물 등의 자극으로 기관지유발검사를 시행하여 기도과민성을 증명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다. 임상에서는 메타콜린(methacholine)을 이용한 기관지유발검사가 천식의 진단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기관지과민성은 만성기관지염, 알레르기비염, 아토피, 흡연, 호흡기감염 등에서도 양성 반응을 보일 수 있고 천식 환자에서 음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서 기관지유발검사가 음성이면 천식을 진단에서 배제할 수 있지만, 일부 환자들에게서 수년 후 천식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있어 천식양증상을 보이지만 기관지유발검사가 음성인 환자들에 대해 임상적 특성과 천식약제 투여 후 반응 평가 등의 다른 진단 방법을 병합하여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지유발검사가 음성이나 천식양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을 살펴보고, 메타콜린 농도에 따른 차이점에 대해 비교해보고 천식약제 투여 후의 반응 평가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2006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목동병원 호흡기내과 외래에서 천식양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를 시행했던 환자 530명 중 양성 반응을 보인 군과 음성 반응을 보인 군 중 외래에 내원하여 천식치료제를 사용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에서 음성 반응을 보인 환자 중에서는 천식 과거력이 있거나 비염, 부비동염 등 상기도 질환이 있는 환자를 제외하여 18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 양성 반응은 메타콜린PC20 값이 16 mg/mL 이하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전체, 185명의 환자 중에서 127명은 기관지유발검사 결과 양성 반응을 보였고 58명은 기관지유발검사 결과 음성 반응을 보였다. 전체 환자의 중앙 나이는 49세였고 남자가 57명(31%)이었다. 폐기능 검사에서 1초간 노력성호기량(FEV1), 강제폐활량(FVC), 비폐활량(FEV1/FVC), 노력성호기중간유량(FEF25-75)은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군 보다 천식양증상을 보이나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에서 음성 반응을 보인 군에서 더 높았다(p < 0.05). 천식치료제로 치료했을 때 증상호전을 보인 례는 17%였고 천식치료제를 투여한 후 천식양증상이 좋아진 군과 차이가 없었던 군 간에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폐기능의 차이는 없었다.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에서 음성 반응을 보인 군 58례 중에서 19례 (33%)에서는 25 mg/mL 이하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천식양 증상을 가지면서 메타콜린유발검사 음성인 환자를 메타콜린 농도 25 mg/mL를 기준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두 군 간의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폐기능 등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천식양증상을 보이면서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에서 음성 반응을 보인 환자 중에 가장 흔한 증상은 공해나 먼지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호흡곤란이 64%로 가장 많았다. 결론적으로 천식양증상을 보이나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에서 음성 반응을 보인 환자군에서 가장 많이 호소한 천식양증상은 공해나 먼지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호흡곤란이었고 메타콜린 농도 25 mg/mL를 기준으로 구분했을 때 양 군 간의 임상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천식치료제로 치료했을 때 호흡기 증상 호전이 관찰된 경우는 17%로 이러한 환자군에서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 외의 다른 검사 방법이 병합되어 천식을 진단하여야 할 것이며 이들에게 있어서 수년 후 천식 발생 여부는 향후 추가적인 장기간의 추적관찰을 통해 확인하여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