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1 Download: 0

화재 안전 교육이 고등학생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Title
화재 안전 교육이 고등학생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Fire Safety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Safety Behavior :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uthors
이송이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명선
Abstract
최근 청소년의 경우 안전에 대한 지식이나 대처능력이 부족하고 지각능력이 충분하게 발달하지 못한 시기여서 사고로 인한 사망률이 매우 높으며 불구를 동반한 손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사고로 인한 손상은 예방이 가능한 보건학적 문제이므로, 청소년의 안전사고 또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안전교육을 통해 올바른 지식, 태도, 행동의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부주의와 낮은 안전의식과 책임감 부족으로 사고 발생이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화재안전에 대하여 교육을 실시한 후, 화재 안전 교육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효과 연구를 위한 모형으로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의 변수와 교육의 특성상 지식 변수를 보완하여 적용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하는 1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생 204명을 대상으로 2010년 5월 6일부터 2010년 5월 27일까지 조사가 이루어 졌다. 연구대상자 중 실험군 102명에게는 주 1회 50분씩 총 3회에 걸쳐 화재안전교육을 실시하였고, 대조군 102명에게는 어떠한 화재안전교육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1. 화재 안전 교육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총 6개의 계획된 행동이론의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재안전행동과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는 화재 안전행동 의도,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지식 순이었다. 2. 화재 안전 교육이 지식변수를 포함한 계획된 행동 이론에 사용된 각 변수들이 화재 안전 교육 전・후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화재 안전에 관한 지식,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 안전행동 의도, 안전행동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3. 화재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사전 조사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후 조사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총합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졌다. 4. 화재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유의한 변수는 ‘안전행동 의도’로 설명력은 64.2%이었고(p<.05), 상대적 영향력은 64.9%이다.;Recently, in the case of a teenager, there is much case of suffering the damage the knowledge about the safety or the resistance ability is unable to be insufficient and in which the perception ability is unable to develop adequately. A damage due to accident is a study problem that prevention is possible. Therefore, it has to induce the right knowledge, attitude, and change of a behavior through the safety education in which the safety-related accident of a teenager is moreover systematic and which is effective. Thus, in this study, after performing the education about fire safety in which the accident occurrence shows the continued tendency of increase as the responsibility deficit, the effect that fire safety education reaches to safety behavior was studied, the variable of the behavioral theory(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planned as the model for an outcome and add knowledge variable were base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 high school located on Seoul by studying its 204 first graders from May 6, 2010 to May 27, 2010. 102 students of the subjects were given a 50-minute fire safety education per week for three weeks and the others were not given any education. A summary of the survey results are presented below: 1. Correlation between variable of the Planned Behavioral Theory was exposed to be noted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that Fire Safety Education reached to Fire Safety Behavior. The variable in which Fire Safety Behavior and correlation are high was fire safety behavioral intention,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knowledge. 2. Variables of the Planned Behavioral Theory between before and after of Fire Safety Education intervention showed that as to the influence that it attains to Fire Safety Behavior, in case group was enhanced in the post survey so that the total score could note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3. Factors affecting fire safety behavior and safety of the significant variables are intended to act. Explanatory power was 64.2%(p<.05), the relative influence is 64.9%.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behavioral intention fire safety' 'fire safety behavior' can be seen that the execution of the higher. 4. Variable is affected fire safety behavior among a significant variable was intended to the Explainability was 64.2%(p<.05), the relative influence was 64.9%.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