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3 Download: 0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Nutrient Intake and Fetal Growth and Pregnancy Outcomes with Special Emphasis on Iron

Titl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Nutrient Intake and Fetal Growth and Pregnancy Outcomes with Special Emphasis on Iron
Other Titles
임신 중 영양소 섭취와 태아 성장과 출생결과의 관련성 연구 : 철을 중심으로
Authors
이지연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수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first, to investigat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nutrient intake during mid-pregnancy and fetal biometry, fetal growth rate and pregnancy outcomes, and second, to observe the difference in fetal biometry, fetal growth rate and pregnancy outcomes according to maternal total iron intake levels. The subjects were 984 pregnant women at 12-28 weeks gestation at multi prospective cohort study in South Korea center (Seoul, Ulsan and Cheonan). A one-day 24-hour recall method by the well-trained interviewer was used to examine nutrients intake from diet and supplement use. The biparietal diameter, abdominal circumference, and femur length of fetus were assessed by ultrasonography at mid- and late-pregnancy. Maternal iron intak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iparietal diameter (P = 0.015), abdominal circumference (P = 0.000) and femur length (P = 0.011) at mid- pregnancy, whereas maternal fiber intak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emur length at mid-pregnancy (P = 0.047) after adjusting for gestational age at time of ultrasound measurement, maternal age, maternal height, urinary cotinine level, pre-pregnancy BMI, parity, family monthly income, sex of babies and energy intake. There were no association between other nutrients and fetal biometry at mid-pregnancy. In addition, there were no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nutrients intake and fetal biometry at late-pregnancy, fetal growth rate and pregnancy outcome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fetal biometry, fetal growth rate and pregnancy outcomes according to maternal total iron intake level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total iron intake levels ( < 24mg (Recommended nutrient Intake for pregnant women), 24mg ~ < 45mg (Upper Level) and ≥ 45mg). A significantly lower abdominal circumference observed among babies of the mothers who consumed ≥ 45mg than that of babies whose mothers in other iron intake levels after adjustment for confounding factors (P < 0.05). A significantly lower femur length observed among babies of the mothers who consumed ≥ 45mg than that of babies whose mothers who consumed < 24mg after adjustment for confounding factors (P < 0.05).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fetal biometry at late-pregnancy, fetal growth rate and pregnancy outcomes according to total iron intake levels. Abdominal circumference was 1.217cm lower among the babies of the mothers who consumed ≥ 45mg than that of babies whose mothers who consumed 24 ~ < 45mg (P = 0.000). Femur length was 0.129cm lower among the babies of the mothers who consumed ≥ 45mg than that of babies whose mothers who consumed 24 ~ < 45mg (P = 0.046). In conclusion, maternal total iron intake from food and supplement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etal biometry at mid-pregnancy. Abdominal circumferences and femur lengths was lower among babies of mothers who consumed ≥ 45mg than those in other iron intake leve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ron intake that is above the Upper Level (45mg) of iron might influence adversely on fetal growth at mid-pregnancy. Iron supplements for pregnant women may need to be individualized according to their iron status.;본 연구는 임신 중 영양소 섭취와 태아 성장과 출생결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총 철분 수준에 따른 태아 성장과 출생결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전향적 코호트 연구로서, 2006년 8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임신 12-28주의 임신부 98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 졌다. 임신부의 임신 중 식이 섭취는 24시간 회상법 (24h-recall)을 통해 조사하여 Can-pro 3.0으로 분석하였다. 아두대횡경 (biparietal diameter), 복부 둘레 (abdominal circumference)와 대퇴골 길이 (femur length)는 초음파 검사로 측정되었고, 임신 중기와 임신 말기 두 번 측정되었다. 출생 결과는 출생 체중과 출생 키로 산부인과 기록으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임신 중기 철분 섭취는 임신 중기에 측정한 초음파 결과 아두대횡경 (P=0.015), 복부둘레 (P=0.000), 대퇴골 길이 (P = 0.011)과 음의 관련성을 보인 반면 임신 중기 식이섬유소 섭취는 임신 중기에 측정한 초음파 결과 대퇴골 길이 (p=0.047)과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보충제와 식이를 통한 총 철분의 섭취량을 바탕으로 산모를 철분 섭취 세 수준으로 나누어 철분 섭취 수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 총 철분 섭취량이 24mg (Recommended nutrient Intake for pregnant women)미만을 섭취한 산모 (n = 686), 24 mg 이상 45mg (Upper Level)미만으로 섭취한 산모 (n = 49), 45mg이상으로 섭취한 산모 (n = 249)로 나누었다. 세 철분 섭취 수준에 따른 임신 중기와 말기 태아의 아두대횡경, 대퇴골 길이, 복부 둘레와 출생 결과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철분을 45mg 이상으로 섭취하는 산모의 태아가 다른 철분 섭취 수준에 속하는 산모들의 태아에 비해 복부둘레 작았고 (P <0.05), 철분을 24mg 미만으로 섭취하는 산모의 태아에 비해 대퇴골 길이가 짧은 결과 (P < 0.05)를 보였다. 철분을 45mg 이상 섭취하는 산모의 태아가 철분을 24mg 이상 45mg 미만으로 섭취하는 산모들에 비하여 복부둘레가 1.217cm가 작았고 (P = 0.00), 대퇴골 길이가 0.129cm 작았다 (P = 0.046). 이러한 유의적 결과는 임신 말기 초음파 태아 지수, fetal growth rate와 출생 결과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식이를 통한 철분 섭취량을 보충제 섭취한 산모와 보충제를 섭취하지 않은 산모간의 비교하였을 때 그 양은 비슷하였으나, 보충제를 섭취하는 산모들의 보충제를 통한 철분 섭취량을 확인 한 결과 71.1 ± 44.7mg으로 나타났다. 또한 철분을 45mg 이상으로 섭취하는 249명의 산모들 중 248명의 산모가 보충제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로 보충제에 의해 산모들의 철분 과량 섭취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철분의 섭취와 임신 중기 아두대횡경, 복부둘레, 대퇴골 길이와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반면, 임신 중 식이 섬유 섭취와 임신 중기 대퇴골 길이 이와 양의 상관관계가 밝혀 졌다. 특히 산모가 철분을 UL인 45mg 이상 섭취할 경우 철분을 24mg이상 45mg 미만으로 섭취하거나 24mg 미만으로 섭취하는 산모들의 태아에 비해 임신 중기 태아의 복부 둘레와 대퇴골 길이가 작았다. 과량의 철분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 아연과 구리의 흡수 방해, 보충제 부작용 등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섭취가 권장된다. 산모가 철분 보충제를 복용할 시에는 산모의 헤모글로빈 수치 또는 식이를 통한 철분 섭취량 등을 확인한 후 전문가에 의해 개별 처방 받아 복용할 것을 권장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