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3 Download: 0

유아의 일상생활, 자녀양육과 어머니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Title
유아의 일상생활, 자녀양육과 어머니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 Child's Daily Life, Parenting and a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uthors
이영미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ndencies of a child's daily life, parenting, and a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to examine how these three variables are affected by a child's gender, age,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region of residence. It also studies how a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can affect the child’s daily life and the parenting.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in a child’s daily life and how does it vary regarding child's gender, mother’s employment, and resident region? 2.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in parenting and how does it vary regarding child’s gender, mother’s employment and resident region? 3.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i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how does it vary regarding child’s gender, mother’s employment and resident region? 4. How does a child’s daily life and his/her mother's parenting vary regarding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4-1. How does child’s daily life vary regarding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4-2. How does parenting vary regarding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For this study, 3,731 parents with 3-6 year-old children were interviewed with questionnaires including child’s daily life, parenting and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generally found that children woke up between 7:30AM and 8AM, had their breakfast between 8AM and 8:30AM, and they attend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round 9AM and returned home between 2PM and 4PM after staying for on average of 6.41 hours. They had their dinner between 7PM and 7:30PM and went to bed after 9PM and slept for on average of 9.82 hours. Also, most children had more than two additional early and special ability educations in addition to attending regula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average monthly expenses for the additional education were 50,000 won and the expenses increased for older children. Children watched TV and read picture books almost every day and used video and DVD players occasionally. They studied with worksheets one or two days a week. Electrical devices and educational materials were used mostly with mother, then, with father, alone, and with siblings in the order of less possibility. Children watched TV for 1hour 58minutes on average between 8AM and 9AM and between 5PM and 7PM. It was found that children played with 2~3 friends for 1.57 hours at home or at playground around home and they showed picture drawing, picture book reading, block play, playground play, and pretend play in the order of preference. Second, the mothers perceptions on their children were positive in general and they highl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in parenting. The parents tended to put more emphasis on their children's health, social ability, and leadership than social succes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fathers showed high degrees of support and understanding on the mothers' job career, but the mothers perceived that they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bringing-up of children until 3 year age. The mothers generally had more positive emotional feelings about parenting than fathers. The fathers returned home at 8:45PM on the average and they mostly understood the mothers' difficulties of parenting. Even though lots of mothers were satisfied with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their children, they expected more participation of the fathers. A mother was a primary caregiver, and relatives substituted the place for the parents when they are not available to stay with their children. Third, the levels of the overall parenting self-efficacy of the mothers were generally high. It was found that the levels of the entire parenting self-efficacy and the instruction self-efficacy were both rated as high as 3.31 and 3.42, respectively. Lastly, the mothers in a group of high parenting self-efficac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hild's daily life and their parenting. Mothers with higher self-efficacy had more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in parenting and focused on caring for others, and basic manners in teaching their children. On the other hand, mothers with lower self-efficacy simply focused on teaching foreign languages, numbers, and letters. While the former group was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life, children's growth, and husbands' participation, the latter group or mothers were less satisfied and expected more of their husband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housework.;본 연구는 유아의 일상생활, 자녀양육, 어머니 양육효능 감의 경향과 이 세 변인들이 유아의 성, 연령, 어머니 취업, 생활지역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유아의 일상생활과 자녀양육은 어머니 양육효능 감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일상생활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하며 이는 유아의 성, 연령, 어머니 취업, 생활지역에 따라 어떠한가? 2. 자녀양육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하며 이는 유아의 성, 연령, 어머니 취업, 생활지역에 따라 어떠한가? 3. 어머니의 양육효능 감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하며 이는 유아의 성, 연령, 어머니 취업, 생활지역에 따라 어떠한가? 4. 유아의 일상생활과 자녀양육은 어머니의 양육효능 감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4-1. 유아의 일상생활은 어머니의 양육효능 감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4-2. 자녀양육은 어머니의 양육효능 감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3-6세 유아의 어머니 3731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일상생활, 자녀양육과 어머니 양육효능 감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7시 반에서 8시 경에 기상하고 8시에서 8시반 경에 아침식사를 한 후 9시 경 등원하여 2시부터 4시 사이에 귀가하였으며 기관재원 시간의 평균은 6.41시간이었다. 저녁식사는 7시에서 7시반 사이에 하고 9시 이후에 취침하여 평균 수면시간은 9.82시간이었다. 또한 대부분의 유아들은 정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것 이외에 2가지 이상의 조기/특기활동을 하고 있는데, 이에 지출되는 한달 비용은 5만원 이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비용은 더 증가하였다. 유아들은 거의 매일 TV를 시청하고 그림책을 읽으며 아주 가끔 Video와 DVD를 보고 1주일에 1-2일 정도 학습지를 하고 있었다. 전자매체와 학습자료 사용 시 엄마와 함께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아빠와, 아이 혼자, 형제와 사용하는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의 하루 평균 TV 시청시간은 1시간 58분이었으며 유아들이 TV를 시청하는 시간대는 오전 8시에서 9시 경과 오후 5시부터 7시 경이었다. 유아들은 평일에 집과 주변에서 2-3명의 친구와 1.57시간 놀이를 하는데, 가장 많이 하는 놀이는 그림 그리기, 그림책 읽기였으며 블록놀이, 놀이터 놀이, 상상놀이 등의 순이었다. 둘째, 어머니들의 자녀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며 양육에 있어 환경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부모들은 사회적 성공이나 학문의 성취보다는 건강과 사회성 및 리더십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직장생활에 대한 아버지들의 지지와 이해정도 는 매우 높았으나, 3세 까지는 어머니가 직접 양육하는 것이 좋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어머니들은 육아에 대해 긍정적 정서경험을 더 많이 하고 있었다. 아버지들은 평균 8.54시에 귀가하지만 대체로 어머니들의 육아에 대한 고충을 이해하고 공감하고 있었다. 많은 어머니들은 아버지의 가사활동과 양육활동 참여에 대체로 만족하였으나 더 많은 참여를 기대하고 있었다. 부모들이 일 이외에 나가거나 급한 일이 있을 때 돌봐주는 사람은 대부분 친족이었으며 여전히 주 양육 자는 어머니였다. 셋째, 어머니들의 양육효능 감은 높았다. 하위영역 별로 일반적인 양육효능 감 3.31점, 교육효능 감 3.42점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어머니의 양육효능 감은 높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넷째, 양육효능 감이 높은 집단의 어머니들은 민감하게 유아의 일상생활과 자녀 양육에 참여하였다. 양육효능 감이 높은 어머니들은 양육에 대한 긍정적 정서경험을 더 많이 하며 자녀양육에 있어서 타인 배려하기, 기본생활습관 익히기에 주력하였으나 양육효능 감이 낮은 어머니들은 외국어 배우기와 숫자와 글자 익히기에 주력하였다. 양육효능 감이 높은 어머니들은 현재 생활과 자녀성장 모습에 대한 만족도와 아버지의 양육과 가사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반면, 아버지의 양육과 가사에 대한 기대의 정도는 양육효능 감이 낮은 어머니들이 더 높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