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4 Download: 0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레드카펫 드레스 디자인 개발

Title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레드카펫 드레스 디자인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he Red Carpet Dress Design Applyi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uthors
차민경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인성
Abstract
Fashion, which means more than the industrial aspect of the fashion industry and represents the cultural level of a country, is an influential field even at the national level. Korea is the country with plentiful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easy to be grafted onto fashion. There have been attempts to graft Korean traditional cultural factor onto fashion design, but those attempts cannot guarantee the design that fascinate all the people in western or eastern countries. Traditional patterns are the fruit of Korean emotions and aesthetic sense which have formed within the public history of several thousand years. Therefore, comprehending consciousness and sense of traditional patterns and grafting the patterns developed with new approach can bring the chances of exhibiting the superiority of Korean fashion culture to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the time that emphasizes the culture. Additionally, it can create the new demand at Korean fashion industry through developing new markets. Besides, the current fashion industry has been already globaliz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media and particularly the entertainment industry flourishes with new added value created by the developed digital media. The star, who is the important social element carrying out a role of a culture messenger and a main agent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is not only leading fashion trends but also vitalizing the fashion industry.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that export of Korean movie has increased and dresses of Korean actresses have received attention with the news of being awarded at the international film awards, it is needed that designing the dress for awards with creative design containing Korean distinct characteristics, not famous luxurious brands. For the purpos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type and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nd studied the change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red carpet dress in order to develop the dress design, applied with Korean traditional patterns, which can stimulate the new demand worldwide. In order for understanding the trend this study has analyzed the domestic and foreign red carpet dresses from 2006 to 2009, and this allows development of the red carpet dress design which is Korean and worldwide style with modern and global sense. The study results ar as follows: Firstly, Korean traditional patterns can be classified animals-pattern, plants-pattern, landscape-pattern, person-pattern, character-pattern and geometry-pattern according to the shape. Each pattern includes desires of various types of happiness in human life and occasionally it implies shamanistic meaning. The culture of Korean people is rooted to the natural order. Korea has attained full maturity through the natural order and Korean people's nature and thoughts have been enrooted on it. Secondl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omestic and foreign red carpet dresses show as follows: In Korea the dress design started from traditional Hanbok and suit style and went through the period of big silhouette or simple dress. Entering the 21st century, sexy style appeared in earnest, which caused the present red carpet dress style. In foreign countries the dress design started from simple style and went through the period of romantic style and glam style. Various styles appeared since 1990s and the current design shows 'haute couture' style which is very exquisite and fancy. Thirdl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omestic and foreign dresses respectively according to formative characteristics show as follows: Black and white are the most used color both in domestic and foreign dresses. Fit and flare silhouette are frequently applied in both. As for fabric, glossy, soft, and thin & see-through fabrics are mostly used with similar frequency. For the detail and trimming beads, sequin, gather and shirring are often added, and simple dresses without detail or trimming have been found. Examining differences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foreign dresses, pale-tone color is preferred in Korea, vivid-tone color is preferred in foreign countries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silhouette, mini-line dresses are more chosen in Korea and in foreign countries mermaid silhouette dresses are in favor. There is no clear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 fabric, detail and trimming. Fourthly and las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with the concept of 'Korea Beauty Fascinating the Red Carpet' five dress designs which target actresses in mid and late twenties have been suggested. In order for production Korean traditional pattern motif was firstly devised using hand-drawing, the photoshop and illustration programs. Subsequently embroidery, lace, DTP, laser punching and beading are applied to the design. Consequently dresses show modern style with Korean traditional beauty. Through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has illuminated types and implied meaning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nd clarified trends and features of the red carpet dress according to the period. This study has produced the red carpet dresses utiliz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red carpet dress and Korean traditional patterns in order to newly suggest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al sense. Furthermore, this study has expended effort on the development of design to meet the sense of the actresses and their follower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ash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the new direction to the way of reconstitution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with modern sense and the fashion design research field applying Korean traditional images and also expected to be the useful sample with detailed visual fashion images and basic data for domestic designer brands that aim to run business using fame of actresses and the red carpet style.;패션은 패션산업의 상업적 차원을 초월하여 한 나라의 문화적 수준을 대변한다. 이는 곧 국가적 차원에서도 패션은 상당부분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분야임을 의미한다. 한국은 고유의 전통문화를 많이 가지고 있는 국가로서 전통문양을 패션에 접목하기에 용이하다. 지금까지 전통문화요소를 접목하고자 하는 시도는 있어왔으나 전 세계인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디자인 개발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다양한 전통문화 요소 중 특히 문양은 수 천 년의 세월 속에 민중들의 삶에 녹아든 한국인의 정서와 미의식의 산물이다. 따라서 그 속에 담겨진 정신과 감각을 이해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개발하여 패션에 전통문화를 접목시킨다면 문화가 중요시 되고 있는 21세기에 한국 패션문화의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새로운 시장 개척을 통해 우리나라 패션산업에 커다란 경제적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 더욱이 오늘날 패션산업은 디지털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이미 글로벌화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특히 엔터테인먼트 사업은 디지털미디어의 발달로 새로운 부가가치가 창출되면서 호황을 이루고 있다. 엔터테인먼트 사업의 주체인 스타는 문화 전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중요한 사회적 요소로 문화산업의 주체가 되며 패션 트렌드를 이끌어 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패션산업을 활성화시키는데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우리나라 영화의 해외수출 증가와 더불어 국제영화제에서의 수상들로 인해 한국 여배우들과 그들의 의상이 세계 영화계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한 현 시점에서 그녀들의 시상식 의상으로 외국 유명 명품 브랜드가 아닌 한국만의 고유한 특색이 담긴 독창적인 디자인의 드레스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전통문양을 활용한 우리나라 고유의 디자인임과 동시에 세계 패션 산업에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드레스를 개발하기 위해 한국전통문양의 종류와 의미를 살펴보았고 국·내외 레드카펫 드레스의 변천사를 살펴보았다. 또한 최근 레드카펫 드레스의 트렌드 파악을 위해 2006년부터 2009년까지의 국·내외 레드카펫 드레스를 분석하고 여기에 기존의 전통문화 요소를 활용한 디자인에 비해 더욱 현대적이면서 국제적인 감각을 접목시켜 전 세계 누구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한국적이면서도 세계적인 새로운 레드카펫 드레스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한국전통문양은 형태별로 동물문, 식물문, 자연산수문, 인물문, 문자문, 기하문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문양 속에는 인간 삶의 다양한 행복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으며 간혹 주술적인 의미도 포함이 되어 있었다. 우리 민족 문화의 원천은 자연적 질서에 있으며 한국이라는 환경은 그러한 질서를 통화여 완숙하여졌고, 한국인의 심성과 사유세계 또한 그 토양에서 뿌리내릴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내·외 레드카펫 의상의 변천사를 살펴 본 결과, 국내는 전통 복식 형태인 한복과 수트에서 시작하여 빅 실루엣이나 심플한 드레스를 거쳐 2000년대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섹시한 스타일이 등장하면서 현재의 레드카펫 드레스 스타일이 나타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었다. 국외는 심플한 형태에서 로맨틱 스타일, 글램 스타일을 거쳐 1990년대부터 다양한 스타일을 보여주기 시작하여 현재에는 오띄꾸띠르적인 정교하고 화려한 스타일에 이르렀다. 셋째, 레드카펫 드레스 스타일을 알아보기 위해 디자인의 조형적 요소에 따라 국내와 국외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외 레드카펫 드레스의 조형적 특징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컬러에서는 블랙과 화이트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루엣에서는 슬림 실루엣과 피트 앤 플레어 실루엣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소재에서는 광택이 풍부한 소재와 부드러운 소재, 엷고 비쳐 보이는 소재가 비슷한 비율로 높게 나타났다. 디테일 및 트리밍으로는 비즈, 시퀸, 개더, 셔링 등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디테일과 트리밍이 없이 심플한 형태도 나타났다. 국내·외 레드카펫 드레스의 조형적 특징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컬러에서 국내는 페일 톤의, 국외는 비비드 톤의 선호 경향이 높았다. 실루엣은 국내가 국외보다 미니 라인의 드레스를 많이 선호하였고 국외는 국내보다 머메이드 실루엣이 많이 나타났다. 소재와 디테일 및 트리밍의 사용에는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Korea Beauty Fascinating the Red Carpet’이라는 컨셉 아래,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20대 중·후반의 여배우와 그들을 동경하고 그들의 스타일을 추종하며 자신의 여가 생활과 파티를 즐기는 20~30대 젊은 여성들을 타깃으로 정하여, 앞서 분석한 레드카펫 드레스의 조형적 특성을 반영한 총 5벌의 의상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작품제작을 위해 핸드드로잉 및 포토샵과 일러스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한국전통문양의 모티브를 개발하였다. 이후 자수, 레이스, DTP, 레이저 펀칭, 비딩 등을 이용하여 한국적 미를 현대적 감각의 디자인으로 표현하였다. 이상으로 연구한 결과, 한국전통문양의 종류와 그 속에 담긴 의미에 대해 이해 할 수 있었고 레드카펫 드레스의 시대별 흐름과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레드카펫 드레스의 조형적 특징과 한국전통문양을 반영한 레드카펫 드레스 제작을 통해 한국적 감각의 미를 새롭게 제시하고 여배우 및 그들을 추종하는 소비자의 감성에 맞는 디자인 개발을 통해 한국의 세계화에 이바지 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현대적 감각으로 재구성한 전통문양의 표현 방법과 한국적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여배우의 명성과 레드카펫 패션 스타일을 이용해 사업을 전개하려는 국내 디자이너 브랜드를 위한 활용 가능한 패션 이미지의 구체적인 시각자료와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