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0 Download: 0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유아교육기관 참여 프로그램이 유아 셀프리더십과 대인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유아교육기관 참여 프로그램이 유아 셀프리더십과 대인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ac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ticipation Program of Children in Grade 3 on the Infant Self-leadership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uthors
최효정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grade 3 children's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ticipation program influences infant self-leadership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it also provides basic data to explore the desirable direction of linkage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by identifying how infants and grade 3 children recognize such participation program. The research problem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How does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ticipation program of children in grade 3 have effects on the infant's self-leadership? 2. How does childhood education participation program of children in grade 3 have effects on the infant'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3. What is the recognition of infants 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the childhood education participation program of children in grade 3? This study targeted 22 infants with 5 years of age from the 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Seoul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22 infants with 5 years of age from the M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s control group; 44 infants in total, and the number of children in grade 3 were all 8 individuals. This study used Ju Young-Hee(1982)'s language and thinking skill test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 Lee Myung Sook(2006)'s Teacher appraisal behavior checklist to measure children's self-leadership, and Park Chan-Ok(1986)'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test to measure infant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ies. It also observes the progress of the participation program and write up interview ques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reactions of infant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the participation program, received help from 2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and 2 elementary school professionals on the content valid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ticipation program of children in grade 3 has been found to make a positive impact on the self-management, self-practice, self-control, emotional thinking, self-expectations, and opportunity thinking from the sub-category of infants' self leadership. Through this participation program, infants could feel positive emotions such as satisfaction, sense of relief, confidence, joy, care, interpersonal interaction, etc, and the program had an effect on self-esteem, promoting infant self-leadership, and children in grade 3 could increase adaptability, helping behavior, communication skills, pro-social skills, leadership, and presentation skills. Second, the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ticipation program of children in grade 3 has been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alternative solving, result(or outcome) prediction, and causal thinking from the sub-category of infant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It can be seen that infants internalized such positive results through their own self-regulation by imitating communication skills and positive problem solving methods through social interaction with children in grade 3. Due to such effects, infants more often used positive mutual-exchange solutions such as request, equity(or impartiality), exchange, etc that emphasizes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rather than unilateral self-centered measures. Third, infant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s recognition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ticipation program of children in grade 3 has been separated into three parts: recognition on playing together, recognition on helping together, and changes of recognition for their life in an institution. To look at the recognition on playing together, experimental group infants said that elementary children are good, that they are good because they played with them together, and that they are good because they taught them, and elementary children mentioned that they are good to help younger children, that they are good to make friends with their friends or younger children, and that they are good to play with new things. To look at the recognition on helping together,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infants did not match on the type of assistance that each of them had given, and the reason is because each of them had its different role for their assistance(or help). And it examined giving-help strateg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difficulties when giving help, and the solutions. After the programs, when it comes to the recognition for their life in an institution, infants thought that they improved peer relationships, that they has increased mimic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at they has improved the level and ability to play, and children in grade 3 recognized that they improved peer relationships, that they could increase responsibility for the younger children, and that they improved their presentation skill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유아교육기관 참여 프로그램이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대인문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또한 이러한 참여 프로그램에 대하여 유아와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파악해봄으로써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간의 바람직한 연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유아교육기관 참여 프로그램이 유아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유아교육기관 참여 프로그램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유아교육기관 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 및 초등학교 아동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E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 유아 22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M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 유아 22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44명의 유아와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은 모두 8명이었다. 연구도구는 두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주영희(1982)의 언어·사고력 검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셀프리더십 측정을 위해 이명숙(2006)의 교사 평정 행동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박찬옥(1986)의 대인문제해결사고 검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 및 초등학교 아동의 인식과 반응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초로 참여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을 관찰하여 면담 문항을 작성하였고, 유아교육 전문가 2인과 초등교육 전문가 2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유아교육기관 참여 프로그램의 적용은 유아의 셀프리더십 하위 항목 중 자기관리, 자기연습, 자기통제, 정신적사고, 자기기대, 기회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프로그램을 통하여 유아에게는 만족감, 해소감, 자신감, 기쁨, 배려, 친화감 등의 긍정적 감정을 느낄 수 있게 되어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주어 유아 셀프리더십이 증진되었고,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은 적응력, 돕기행동, 의사소통기술, 친사회적 기술, 리더십, 발표력이 증진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유아교육기관 참여 프로그램 적용은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의 하위 항목 중 대안적해결사고, 결과예측사고, 원인적사고 발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들은 유아들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의사소통기술이나 긍정적인 문제해결방안 등을 모방하여 스스로 자기조절 해 나가면서 내면화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하여 유아들은 일방적인 자기중심 방안보다는 상대방의 관계를 중시하는 요청, 공평, 교환 등의 긍정적인 상호적 해결방안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유아교육기관 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 및 초등학교 아동의 인식은 함께 놀이하는 것에 대한 인식, 서로 도움을 주고 받는 것에 대한 인식, 기관 생활에서의 인식 변화로 구분하여 분석되었다. 함께 놀이하는 것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실험집단 유아들은 초등학교 아동이 좋고, 자신과 놀아줘서 좋고, 가르쳐주어 좋다고 하였으며, 초등학교 아동은 동생들을 돕는 것이 좋고, 친구들, 동생들과 친해져서 좋고, 함께 새로운 놀이를 해서 좋다고 하였다. 서로 도움을 주고 받는 것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서로가 준 도움의 유형에 대해 초등학교 아동과 유아의 인식은 서로 일치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도움에 대한 스스로의 역할귀인이 달랐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 아동의 도움주기 전략과 함께 도움 줄 때의 어려움에 대하여 아동이 어떻게 극복해 나가는지에 대한 해결방법을 알아보았다. 참여 프로그램 실시 후, 기관 생활에서의 변화에 대해 유아는 또래관계가 향상되었고, 초등학교 아동들에 대한 모방행동이 증가하였으며, 놀이의 수준 및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은 또래관계가 향상되고, 동생들에 대한 책임감이 증가하였으며, 초등학교에서의 발표력도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