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텍스트 기반 보조사 교육 내용 연구

Title
텍스트 기반 보조사 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ducational Contents for Text Based Additional Particle
Authors
최신인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문법 요소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와의 상호 관련 속에서 기능한다. 따라서 문법 요소를 잘 사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하기 위해서는 특정 문법 요소가 효과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텍스트를 학습자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그러나 그간 문법 교육은 학문 문법의 체계를 요약적으로 제시하는 관점을 취해왔다. 학문 문법은 국어의 체계를 밝히려는 데에 주력하고 있고, 문법 교육도 이 관점을 수용하여 국어의 규범적인 체계를 가르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 온 것이다. 보조사 역시 조사의 하위부류로 문법 체계적인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보조사는 문법 기능 어 라기보다는 의미 기능 어이기 때문에 맥락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가 보조사를 잘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기 위해서는 실제의 언어 자료를 토대로 그 의미와 기능에 대해 접근하는 ‘사용의 관점’으로 의 전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별 보조사의 의미를 실제의 언어자료 즉, 텍스트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습자의 부적절한 보조사 사용 양상을 유형화 및 분석하여, 결과적으로 학습자의 실제 언어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텍스트 기반 보조사 교수•학습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분석대상 보조사를 ‘은/는’, ‘도’, ‘만’, ‘까지’로 한정하고, 각 보조사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4차에서 7차에 이르는 문법 교과서에서는 보조사의 의미 역을 문장 차원으로 좁혀 정의하고 있는데, 특히 7차 교과서에서는 보조사를 ‘앞 말에 특별한 뜻을 더하는 조사’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보조사는 맥락에 의존하여 의미를 구성하기 때문에 그 의미가 텍스트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런 보조사의 맥락 의존적인 특징을 실제의 텍스트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은/는’은 화제, 대조, 강조의 의미를, ’도‘는 동일성, 극단예시, 양보•허용, 강조의 의미를, ’만‘은 유일•한정, 축소 제한, 비교, 강조의 의미를, ’까지‘는 극단의 의미를 갖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또한 텍스트 기반 보조사의 의미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의 실제를 마련하기 위해 학습자의 부적절한 보조사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자료는 설명하기와 주장하기 장르로 나누어 수집하였다. 이는 학습자의 보조사 사용 양상이 장르별로 다르게 구현되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설명하기는 느슨한 주제를 비교적 자유롭게 풀 어 쓴 글이고, 주장하기는 평가를 전제로 한 논술문이었다. 보조사의 부적절한 사용은 누락, 첨가, 대치, 부정결합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장르의 글이 주장하기 장르의 글보다 두 배 정도 높은 부적절한 사용 빈도를 보였다. 본고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텍스트 기반 보조사 교수•학습 내용을 설계하였다.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문장 차원에 그친 보조사의 정의와 의미를 텍스트 차원에서 재정의 및 보완하고, 학습자들의 부적절한 보조사 사용 양상을 반영하여 이를 교정할 수 있는 3단계의 교육 내용 실제를 구안하였다. 본고는 학습자들이 보조사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사의 개념과 의미를 실제의 텍스트를 기반으로 분석 및 제시하였으며, 궁극적으로 학습자들이 텍스트를 이해하고 생산함에 있어 효과적으로 보조사를 구사하도록 돕는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데 의의를 두었다.;Grammatical factors do not exist independently, they co-exist in relation to the text.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grammatical factors in teaching, a particular text with effective grammatical factor should be introduced to the learners. However grammatical education's perspective has always been on summarization of academic grammar system. Academic grammar is focused mainly on system of Korean and grammar education has also followed this perspective. Additional particle has also been labeled as postposition's lower level. However, additional particle is a meaning term and not a grammatical term. Therefore, in order to educate the learner to "use" the particles effectively, -Perspective of Usage- is needed which is an approach based on the actual language materials on its meaning and usage.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ach additional particle's meaning based on the actual language materials as well as analyze the learner's improper usage of additional particle and create educational contents for text based on additional particle to help the actual daily communication of the learner. To achieve these aims, I analyzed the meanings of '은/는‘, ’도‘, ’만‘, ’까지‘ . From 4th level to 7th level text book, additional particle is defined as postpositions that adds special meaning in the previous word. However, the meaning of the additional particle depends on the context so the additional particle's definition effects the entire text. In this paper, this special feature will be analyzed based on the actual context. ’은/는‘ has the meanings of 'topic', 'contrast', 'emphasis', '도’ has the meanings of ‘identity', 'extreme example', 'permission', 'emphasis', '만’ has the meanings of ‘only', 'reduction', 'comparison', 'emphasis' and '까지’ has the meanings of ‘extreme'. Also, based on the text-based definition of the additional particles, learner's improper usage of additional particles was analyzed to create real educational content. The object of analysis was collected in two parts, genre of explaining and genre of arguing. The purpose of this was to comprehend wether the learner's usage of the additional particles are being expr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genre. The genre of explaining is free writing of subject that is usually loosely explained, and genre of arguing is paper based on assessment. The improper usage of particle appeared in 4 categories - ommision, addition, replacement, and improper combination - and genre of explaining showed twice as much improper usage as the genre of arguing. This paper shows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text based additional particles based on the analysis mentioned above. Current education system and text books show additional particles as sentence demention which is not enough to explain them. This paper contains the plan of third level educational contents that show how to redefine the meaning of these additional particles through correcting the leaner's improper usage in real text. This paper's main purpose is to suggest the concept and the meaning of the additional particles in real text and create an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is, so that the learners can understand the text and create text better using the additional particles more effec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