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1 Download: 0

다문화 문식성 신장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Title
다문화 문식성 신장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Authors
천나영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 교육의 본래적 의미를 바탕으로, 진정한 다문화 사회를 준비하는 자세에 대한 논의이다. 그리고 국어교육이 할 수 있는, 해야만 하는 방법에 대한 제안이다. 본 연구는 다문화 문식 성 신장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다문화 문식 성을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 데 반드시 필요한 기본 능력으로 설정하고, 다문화, 다문화 사회, 다문화 교육의 의미를 정립하였다. 그리고 다문화 문식성의 교육적 가치를 검토하고 구체적인 대안으로서 다문화 문식 성 신장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방법을 논의하였다.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을 장과 절 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 A절에서는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의미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현재 다문화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다문화 사회의 의미는 다문화의 의미에서부터 출발하여 진정한 다문화 사회가 무엇인가 까지 에 대한 논의이며, 다문화 교육의 의미는 다문화 교육의 목표, 원리, 내용을 바탕으로 하는 이론적 고찰에 해당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다문화 교육의 현재와 문제점을 짚어보았다. Ⅱ장 B절에서는 문식성과 다문화 문식성의 의미를 정립하였다. 문식성의 어원을 비롯하여 문식성의 의미가 확장되어 온 과정을 알아보고, 사회문화적 관점의 문 식성 교육이 추구하는 가치와 방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다문화 문식성의 의미를, 본 연구의 관점에서 새롭게 정립하고, Ⅱ장 C절에서는 그 교육적 가치에 대해 면밀히 따져보았다. Ⅲ장 A절에서는 다문화 문식 성 교육의 방향이 어떠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방향을 근거로 Ⅲ장 B절에서 다문화 문식 성 교육의 범주와 작용양상을 밝혔다. 그리고 다문화 문 식성 교육의 범주와 작용양상을 고려하여, 그 교육의 유형이 어떠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Ⅲ장 C절에서는 본격적으로 다문화 문식 성 신장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의 원리를 설정하는데, 목표를 정하고 그 원리를, 다문화 읽기 프로젝트, 다문화적 맥락 강화, 주제 중심 읽기 의미 지도 만들기 등 세 가지 방향으로 구축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논의를 근거로 다문화 문식 성 신장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그 의의를 밝혔다. 이는 본 연구의 궁극적인 제안으로, 구체적인 다문화 문식 성 신장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장면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의 개념을 국가 간의 이질적인 문화뿐만 아니라, 한 국가 또는 사회 내의 다양성까지도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국어교육 차원에서 다문화 교육은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담화나 글을 통해 의미의 생산과 수용 과정에 있어서, 다문화적 맥락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이해하고, 성찰하는 다문화 사회와의 소통을 함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하였다. 다문화 문식성은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 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능력으로 기초적인 언어 능력에서부터 다문화 사회 자체를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성찰 할 수 있는 고등 수준의 사고 능력과 이를 담화나 글 등의 매체로써 사회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실천 능력까지를 아우르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언어활동 자체가 다문화적 맥락 속에 놓여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다문화 문식 성 교육은 이주자를 기존의 사회로 동화시키고, 수용하기 위한 한국어 교육이나 한국 문화 교육 또는 이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우리 사회의 자원으로 확보하는 이중 언어 교육 등으로만 국한되지 않는다. 다문화 문식 성 교육이 오롯이 실현되는 현장은 다문화적 맥락을 강화한 언어활동을 통하여 다문화 사회에 부각된 인종, 민족, 이념의 차이를 이해하고, 동시에 계층, 성별, 종교, 능력의 특수성 등으로 다원화된 우리 사회 구성 요소를 자연스럽게 바라보도록 이끄는 국어 교실이다. 우리 사회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거대 담론과 그로 인한 소수 자를 이해하는 다문화 교육의 일환으로 담화나 글로써 이루어지는 다문화적 맥락과 소통하는 실천 행위를 지향하는 국어 교실이다. 그리하여 다문화 문식 성 교육은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언어활동을 통해 평등과 공존이라는 다원주의적 가치 확산에 이바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문화적 맥락 강화를 통해 여러 가지 관점에서 의미를 구성할 수 있도록 돕기에, 우리 사회의 외딴 섬처럼 여겨졌던 인종과 민족, 이념이 다른 새로운 사회 구성원이 이미 우리 사회에 내재되어 있던 다양성과 마찬가지로 수용하고 이해할 수 있는 것임을 알게 한다. 그로 인해 새로운 사회 구성원과 기존 사회의 구성원의 소통을 보다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에 내재되어 있던 다양한 층위와 범주의 다수자와 소수자 간의 소통까지고 이끌어 낼 수 있다. 우리 사회는 오랜 기간 한민족 공동체라는 이념에 길들여져 있어, 최근 새롭게 부각된 인종, 민족, 이념의 이질성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인종, 민족, 이념의 다양성에 대한 교육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가 한민족 공동체이기 전에 이미 다양한 변수(계층, 종교, 성, 신체 등)들로 인해 다문화를 이루고 있었음을 자각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습자는 다문화적 맥락 속에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다문화 사회가 구성한 거대 담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등 사회와의 소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다문화 문식 성 교육으로 말미암아 예비 사회 구성원을 성장시키는 것은 통일 이후에 도래될 새로운 사회가 가져올 다양성의 문제에도 대처하는 교육이 될 수 있다.;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an attempt to discuss the attitudes in preparation of a true multi-culture society based on the fundamental meaning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educa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suggests methods of w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and must do. This research also suggests teaching methods of reading studies as to develop multi-culture literacy. Multi-culture literacy has been defined as basic requirements of a multi-culture society as to formulate definitions of multi-culture, multi-culture society, and multi-culture education. Furthermore, educational values of multi-culture literacy have been reviewed for preparation of specific alternatives and methods for teaching methods of reading studies for development of multi-culture literacy. Details contents and methods of each chapter and clause are as follows. Clause A of Chapter II reviews problems of the current multi-culture education system through critical contemplation on the definition of multi-culture society and multi-culture education. The definition of multi-culture society starts from the discussion on the definition of multi-culture and extends to the definition of a true multi-culture society. The definition of multi-culture education corresponds to theological studies in relation to its purpose, fundamentals and contents. Problems of the current multi-culture education system have been identified based on these discussions. Clause B of Chapter 2 defines literacy and multi-culture literacy. The origin and the process of the definition of literacy have been studied with further studies on the values and directions of literacy education in social cultural views. The definition of multi-culture literacy has been reformulated in a different view and its educational values have been specifically discussed in Clause C of Chapter II. Clause A of Chapter III proposes directions of the multi-culture literacy education. The range, conditions, and effects of multi-culture literacy have been discussed in Clause B of Chapter III. Furthermore, detailed suggestions for types of education have been proposed in consideration to the range, conditions and effects of multi-culture literacy. Clause C of Chapter III constructs the fundamentals of teaching methods for reading studies in multi-culture literacy in which it is classified into three classes according to fundamentals, multi-culture reading project, multi-culture context development, subject-based reading semantic map. Chapter IV designs teaching methods of reading studies for multi-culture literacy development based on discussions of Chapter III, with its intents. This chapter proposes the general purpose of this research with the purpose of suggesting teaching methods of reading studies for development of multi-culture litera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