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배현정-
dc.creator배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10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4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1050-
dc.description.abstractWith development of technology that has adolescents ever more interested in the flouring mass media such as movies, TV dramas and Internet games, they have turned their back on literature education taken place at school. In order words, literature education has become something of old-fashioned and out-of-date for the students who are used to the glamour of mass media. Furthermore, literature has fallen into a mere tool to get into university, far from its genuine purpose of soul-searching and enriching our lives. Indeed, school education of today even fails to help students fully appreciate literary works. First and foremost, the failure of literature education is largely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its purpose is too biased toward “understanding.” Most teachers hardly believe that creative writing is possible at school. They do not even try to do so, claiming that they have little time for such education, and both students and teachers are not capable of creative works. In addition, conventional wisdom which assumes creative a literary work should be done by professional writers also has prevented them from establishing an effective way to teach creative writing. In order to secure time for creation at school literature classes and encourage students to become active literary writers, educators should lay out specific contents and methods for creative writing, and a practical framework to introduce it to the education field. Creative writing will help learners objectively recognize and criticize the world encompassing themselves, and eventually understand how to communicate with themselves and the worl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n “education framework on teaching drama writing,” designed to closely associate literature with learners’ lives and have them lead literature education, in an attempt to propose a practical framework for creative writing. Drama is chosen as it is deemed to be the most specific and familiar medium to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ill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actively participate in literary activities through the suggested framework.;영화나 TV 드라마, 인터넷 게임 등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점점 더 화려해지고 있는 영상 문화에 열정을 보이는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문학 교육은 점차 외면당하고 있다. 화려한 영상 문화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문학 교육이 고리타분하고 시대와 동떨어진 문화라는 인식이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자아를 돌아보게 하며 삶을 더 풍요롭게 하는 문학 교육의 목적은 입시라는 왜곡된 교육의 현실로 인해 단순한 지식 위주의 문학 교육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실제로 작품을 깊이 있게 읽고 감상하는 데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오늘날 문학 교육의 현실이다. 이렇게 문학 교육이 제 구실을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문학 교육이 ‘이해’의 영역에 편향되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제시할 수 있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창작 교육을 학교 현장에서 실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창작을 지도하기 위한 시간적 여유가 없으며, 학생들은 물론이고 교사 자신도 작품을 창작해 낼 문학적인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이유로 창작 교육에 대한 시도를 하려고 하지 않는 것이다. 게다가 문학 작품의 창작은 전문 작가들의 몫이 라는 인식이 강하여 학교 교육에서 창작 교육을 위한 교육적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문학 교육에서 표현의 영역을 확보하고 학습자를 문학의 능동적인 생산자의 위치로 끌어올리기 위해 문학 창작의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교육 방안을 마련하여 교육 현장에 도입할 수 있는 실제적인 교육적 체계를 세워야 한다. 문학 창작의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대해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비판할 수 있는 안목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세계와 자아의 소통 구조를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학을 학습자의 삶과 긴밀하게 연계하여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문학 교육을 수행하기 위해 창작 교육의 실제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드라마 창작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삶을 가장 구체적이고 친밀하게 다룰 수 있는 문학 제재로 드라마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TV 드라마를 통해 시청자들은 자신의 삶과 자아에 대해 성찰하기도 하고 우리가 사는 세계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기도 한다. 이것은 TV 드라마가 현재화된 인생의 표현으로서 학습자로 하여금 ‘지금, 이곳’에서 현재 자기 앞에 있는 문제를 어떻게 새로운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가 하는 기본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넓혀갈 수 있는 것이다. 최근의 문화연구(Culture Studies)를 통해 많은 학자들은 과거처럼 소위 고급 문화 중심의 문화 접근법만으로는 보편적인 삶의 다채로운 의미와 표현을 온전하게 이해할 수 없으므로 인간의 삶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주요한 목표로 설정하고 있는 문학 교육에서 현대의 대중문화와 대중매체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문학 교육의 흐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서사 교육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던 극 문학 교육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서사 교육과 차별화 되는 극 갈래로서 드라마 창작 교육의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극 갈래로서 드라마는 기존의 서사 갈래가 담당하기 어려운 교육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드라마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바탕으로 드라마를 창작 하는 활동이 청소년기 학습자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정리하여 드라마의 문학교육적 수용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더 나아가서 구체적인 드라마 창작의 수업 모형을 마련하고 이를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극 갈래로서 드라마 창작의 구체적인 내용과 실천적 방법을 구안하였다. 수업 모형의 적용은 현재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과제의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오늘날의 사회 현상에 비추어 볼 때, 우리의 교육 상황은 변화하는 세계와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현실에 많이 뒤쳐진 내용과 방법으로 학습자들을 가르쳐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다 보니 학생들은 학습에 점차 흥미를 잃고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만으로 세상을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살아가기 어렵다는 문제에 봉착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 인식 하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하고, 학습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문학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마련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 되었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넓혀가며 보다 적극적으로 문학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교육적 발판이 마련되기를 기대해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5 C. 연구 방법 빛 연구 범위 8 II. 이론적 배경 10 A. 청소년을 위한 드라마 창작 교육의 의의 10 1. 상황 인식, 판단 능력 향상 11 2. 인물 창조를 통한 자아 성찰과 공감 능력 향상 16 3. 사회적 관계 형성과 공동체 의식 함양 20 B. 드라마 창작 교육의 성격과 발전 방향 25 1. ‘보여주기’의 드라마와 ‘말하기’의 소설 특성 비교 25 2. 드라마 창작 교육의 과제와 실천 방향 29 III.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드라마 창작의 전략 33 A. 맥락에 대한 이해와 극적 상황 설정 37 1. 극적상황과 맥락에 대한 이해 37 2. 허구적 자아 형상화를 위한 극적 상황 설정 41 B. 타자와의 대화적 관계 형성 42 1. 동일시와 거리두기의 작용 이해 42 2. 창조적 드라마를 통해 타자되기 44 C. 시각언어(視覺言語)의 이해와 활용 46 1. 시각언어의 특성 이해 46 2. 영상을 활용한 정서 표현 51 IV.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드라마 창작 교육의 실천 52 A.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 학습 모형 52 B.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드라마 창작의 실제 57 1. 영상언어로 정서를 표현하기 57 2. 주어진 상황 조건에 따라 드라마의 장면을 구상하기 61 3. 인물이력서 작성을 토대로 드라마의 전체적 내용 구상하기 71 V. 결론 80 참고문헌 82 ABSTRACT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929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드라마 창작 교수ㆍ학습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맥락을 고려한 극적 상황 설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ympathy for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of creative Drama - Considering the context of dramatic settings, focusing sanghwal-
dc.creator.othernameBae, Hyun-Jeong-
dc.format.pageviii,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