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3 Download: 0

짝-점검 협동학습을 이용한 백지도 활용수업 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짝-점검 협동학습을 이용한 백지도 활용수업 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the Effect Using Pair check Cooperative learning With an Outline Map
Authors
유미애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짝-점검 협동학습이라는 협동학습의 모형 중 지리 과에서 평소에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모형을 적용해 수업지도안을 구성하고 백지도를 이용한 수업을 해봄 으로 서 학습자에게 지리수업에 대한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은평구에 위치하고 있는 E 중학교 1학년 중 진단평가 성적을 바탕으로 성적이 비슷한 3개의 학급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한 학급의 학생 수는 34명으로 남학생 17명 여학생 17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의 목적을 위해 3개의 학급을 전통적인 강의 식 수업 반, 백지도를 이용한 강의 식 수업 반, 백지도를 이용한 협동학습 수업 반으로 분류하였다. 전통적인 강의 식 수업 반 과 백지도를 이용한 강의 식 수업 반은 개별학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리배치는 그대로 두었으며, 백지도를 이용한 협동학습 수업 반은 모 둠 학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 능력의 차이가 고려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어 진단평가 사회성적을 바탕으로 모 둠이 골고루 배치되도록 자리배정을 다시 하였다. 실험수업이 시작되기 전에 3반에서 모두 사전 학습동기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짝-점검 협동학습에 근거한 수업지도안을 구성하고 실험 수업이 이루어졌으며, 수업이 끝난 후 3반에서 모두 학업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 수업을 마친 뒤에는 사후 학습동기 설문지를 백지도를 이용한 강의 식 수업 반과 백지도를 이용한 협동학습 수업 반에서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는 각 반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3반에서 모두 이루어졌지만, 사후 검사는 변화된 수업을 실시한 2반에서만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이유는 전통적 강의 식 수업반의 경우 본 연구의 통제 반으로서 평소의 수업형태와 같은 수업을 실시 한 뒤였기 때문에 학습동기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 예상했고, 변인을 통제한 상태이기 때문에 따로 설문을 실시하지 않았다. 실험 수업 후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집단 간의 학습동기 차이와 학업 성취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일원변량분석(one way-ANOVA)을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과 동일집단 간의 사전, 사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대응표본 t검증(paired 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확률 p<.05, p<.01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짝-점검 협동학습을 이용한 백지도 활용수업을 통해 백지도를 이용한 강의 식 수업과 비교하여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살펴본 결과 동일집단 간의 사전, 사후 학습동기 차이는 유의 미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집단 간의 학습동기 차이 역시 유의 미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헌연구에 의하면 협동학습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4주 이상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실험수업 처치는 1차 시 분량에 해당되었기 때문에 이런 연구 기간이 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시간을 두고 보다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협동학습에 대한 학습동기의 형성이 학습자의 학습 능력 수준에 따라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학습자의 능력을 고려한 협동학습 구성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둘째, 전통적인 강의 식 수업, 백지도를 이용한 강의 식 수업, 백지도를 이용한 짝-점검 협동학습 수업 간의 학업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세 집단의 ANOVA 검증을 실시해 본 결과 집단에 따른 학업 성취도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백지도를 이용한 협동학습 집단이 62.06점으로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백지도를 이용한 강의 식 집단이 56.36점, 전통적 강의 식 집단이 47.43점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의확률 0.010(p<.01)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각 집단 별로 나누어서 백지도를 이용한 수업에 대한 차이인지, 짝-점검 협동학습에 의한 학업 성취의 차이인지를 밝히고자 집단 간의 t검증을 실시하였다. 먼저, 백지도를 이용한 짝-점검 협동학습 집단과 전통적 강의 식 집단의 학업 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백지도를 이용한 짝-점검 협동학습 집단의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확률 0.004(p<.0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백지도를 이용한 강의 식 수업과 백지도를 이용한 짝-점검 협동학습 수업의 학업 성취도를 비교하였는데, 유의확률 0.238(p>.0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전통적인 강의 식 수업과 백지도를 이용한 강의 식 수업의 학업 성취도를 비교하였는데, 유의확률 0.059 (p<.0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위의 연구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통계적으로 세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전통적 강의 식 집단과 백지도를 이용한 협동학습 집단의 학업 성취도의 차이에서 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으나, 백지도를 이용한 강의 식 수업의 선행연구에서처럼 백지도 효과도 어느 정도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업 성취도의 향상은 협동학습을 실시한 결과에 의한 효과이면서 동시에 백지도를 이용한 효과도 일부 존재한다고 볼 수 있으며, 전통적인 강의 식 수업보다는 학습참여도를 높여주는 학습지의 활용과 학습자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협동학습을 연계한 수업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협동학습은 학습자에게 정의적이며, 인지적인 영역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았지만(강인숙, 1998) 실제 연구결과 인지적인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본 연구의 연구기간, 대상, 단원 선정 등 다양한 부분에서 제한 점이 있었으며, 이를 수정•보완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런 협동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의 철저한 사전준비와 단계 구성이 정교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나아가 단기간의 효과보다는 지속적인 협동학습 수업을 통한 효과성에 대한 입증이 필요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in a geography classroom. This unusual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was chosen to see how it effects student achievement and motivation by using an outline map.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diagnostic assessment result at the E middle school grade.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separated into three similar classes. The class is composed of 34 students (17 men and 17 women).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classes. The first class was taught by a traditional model, the second by an instructor lecture model with an outline map, and the third group used a cooperative model with an outline map. There was no change with the seating layout in the traditional class and the lecture class because these classes are conducted by individual education. The seating layout of the cooperative class was divided into several small circles. These small circles were created by social diagnostic evaluations to make sure that each group was evenly mixed with varying intelligence levels. Before the experiment, the students were given a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ir interest level and motivation. Then the students were taught in their respective classes. At the conclusion of the study, the students were given a final examination. The same questionnaire was given to all three classes to ensure the same quality. The final examination was only given to the lecture model and the cooperative model classes because only these classes use new class methods. The traditional class in this study is a control group of normal forms. The outcome of the traditional class is expected to be the same because the environment stayed the same. Therefore, there was no need for the students in this class to take a final examination. After the experimental learning program was complete, data was collected by the program SPSSWIN 12.0. First, ANOVA (one way-ANOVA)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motivation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o explor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of independent samples. Second, t 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and contrast each class with one another. Finally, paired t test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dividual class’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ing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probability that all p <.05, p <.01. The first summary is that student education motivation results from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and the lecture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ere examined and yielded no significant data. In addition, differences in motivation between each group were also not significant. Other studies suggest that to get accurate results the experiment must be conducted for more than four continuous weeks. This study was only the first part of the four week cycle. The results were based upon a projection about the remaining weeks. Therefore, more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ver a greater amount of time. The motivation for cooperative learning depends on the students' learning ability level.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multiple groups divided by student’s learning ability. Second, the traditional lecture, outline map using lecture, outline map using the cooperative learning classes were compared by academic achievement. The ANOVA test was used to commence the result of the groups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gap.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scored the highest and averaged 62.06, instructor-led group was 56.36 points and the traditional lecture group 47.43 points. These statistics revealed significance with the resulting probability 0.010 (p <.01). The t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achievement based on individual and cooperative learning as well as to determine any differences with or without using the map. After comparing them,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achieved a higher affirmative affect than the traditional learning group. The probability 0.004 (p "0.01)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xt, the lecture is compared to the cooperative learning class. The probability is 0.238 (p> .05) This appeared as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ifference. Finally, the traditional lecture and lecture class was compared regarding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probability was 0.059 (p <.05)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Upon examination of the study as a whole, it is clear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traditional class, lecture class, cooperative class and those classes that used the outline map effect. Accordingly, we can guess that the highest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is the cooperative class using outline map. We can assume that the cooperative class gives more affirmative interaction than traditional class. Based on the results seen so far, a learner can define cooperative learning as a positive impact across the region (ganginsuk, 1998). It is actually a part of research results that do not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As a result, ongoing research will be needed to complement the duration of this study, targets, limitations in the various parts and the sections that were selected and modified. In add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advance the teacher's thorough preparation and configuration the steps should be carried out precisely, or even continuous, rather than short-term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These teaching methods will need proof of the effective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