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손운산-
dc.contributor.author박은아-
dc.creator박은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0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0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10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4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1025-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은 저마다 자신만의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태어나고 이 고유의 특성은 개인이 처한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들의 영향을 받으며 변화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성격은 한 개인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타인들과는 다른 자신만의 고유한 방식으로 사람들이나 사건, 상황에 대처하게 한다. 또한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내면에 저마다의 신에 대한 표상을 가지고 살아간다. 본 논문은 개인의 성격적 특성과 그 개인이 형성하고 있는 하나님에 대한 표상간에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리주토(Ana-Maria Rizzuto)에 따르면 부모는 아이에게 자신과 타인 및 세계를 인식하는 맥락을 제공하며 아이는 이러한 경험으로부터 자신의 욕구충족을 넘어서 대상과의 관계를 맺는 것을 발전시킨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반응했던 눈맞춤이나 미소 등의 경험은 아이가 이후 하나님 표상을 형성하고 정교화하는데 있어서 최초의 재료로 사용된다. 리주토는 하나님 표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위니캇(Donald Winnicott)의 중간대상 개념을 이용하였다. 즉 하나님 표상이란 아이가 심리적 공간 안에서 창조해낸 하나의 특별한 대상 표상 유형으로서 다른 중간대상과는 달리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그 의미를 잃기 보다는 오히려 더욱 재정교화 되어 그 의미가 강화되고 전 생애를 통해 중간대상으로서 남아 있으면서 삶과 관련을 맺는다. 이사벨 마이어스(Isabel Myers)와 케서린 브릭스(Katharine Cook Briggs)가 오랜 연구를 통해 이루어낸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를 활용하여 개인의 성격유형을 분류하였다. MBTI 이론을 중심으로 그 동안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그 연구 중 본 주제와 관련된 연구인 MBTI의 성격유형에 따른 하나님 경험이나 영성, 기도생활 등을 이야기하였다. 그 밖에도 MBTI 성격유형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종교생활유형, 팀 목회 등에 관한 연구들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사전 검사를 통해 얻은 MBTI 결과와 하나님 표상 결과를 가지고 MBTI의 16가지 성격유형별, 선호지표 별, 주기능 별로 하나님 표상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개인의 하나님 표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벤슨(Peter Benson)과 스필카(Bernard Spilka)에 의해 만들어진 ‘Loving and Controlling God Scales’과 고 서 치(Richard L. Gorsuch)의 ‘Adjective Checklist’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들은 모두 기독교 신자들로서 하나님 표상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ISTP, INTP, ESTJ 유형이 다른 유형에 비하여 요구하고 비허용적이며 거리가 먼 하나님 표상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이들의 사고기능이 하나님 표상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보다 논리적이고 비판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주기능 별 분석에 있어서 내향적 사고를 주기능으로 사용하는 ISTP와 INTP 유형이 다른 유형에 비해 엄하고 거리가 먼 하나님 표상을 형성하고 있다는 결과와 상응하는 것이었다. 반대로 ESFP, ESFJ 유형은 감정 형으로서 수용하고 가까우며 따뜻한 하나님 표상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것은 이들이 SF 심리적 기능을 사용하는 유형으로서 타인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너그러움, 밝음, 열정, 즐거움 등의 성향들이 하나님 표상을 형성하는 데에도 그대로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선호지표 별 분류에 있어서도 다른 선호지표에서는 눈에 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음에 비하여 사고 형-감정 형의 분류에서는 사고 형이 감정 형 보다 거절, 요구, 엄격, 완고와 같은 하나님 표상을 더 많이 형성하고 있었고 감정 형은 반대로 가깝고, 수용하며, 사랑과 용서의 하나님 표상을 형성하고 있었다. 또 앞의 결과를 토대로 특히 각 유형의 특성을 분명히 드러내는 세 가지 유형의 사례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주제가 목회상담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까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내담 자를 이해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그가 나타내는 성격유형을 이해하고 그와 관련하여 하나님 표상을 알 수 있다면 그러한 성격과 하나님 표상이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으며 현재 내담 자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가에 대하여 더 깊이 있는 이해에 이를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이야기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조사를 통한 수치상으로는 MBTI 성격유형별 하나님 표상 전체 16가지 성격유형 중 그 일부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선호지표 별 분류와 주기능 별 분류를 통하여 사고기능과 감정기능, 감각기능과 직관기능이 하나님 표상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는 사례를 통해 더욱 분명히 드러났으며 MBTI를 통해 분류된 성격에 따라 하나님 표상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이것은 개인이 문제상황을 이해하고 그에 반응하며 해결해 나가는데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Each person is born with his/her unique personality, and the unique character may be changed by the influence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rrounding the person. Personality formed in this way determines how the person copes distinctly with others, incidents and situations. Furthermore, each individual lives with his/her own representation of God insid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ssumption that individuals’ personality may be related with God representation formed in the individuals. According to Ana-Maria Rizzuto, parents provide their children with a context for perceiving themselves, others and the world, and from such experiences the children learn how to establish relationship with others beyond the fulfillment of their desires. The mother’s responsive eye contact, smile, etc. to her child are used in the future as the first materials for the child to form and elaborate God representation. Rizzuto used Donald Winnicott’s concept of transitional object in explaining God representation. That is, God representation is a special type of object representation created by a child in the psychological space, and different from other transitional objects, its meaning is not lost with the child’s growth but the representation is re-elaborated and its meaning is strengthened. In this way, God representation remains as a transitional object through the entire lifetime and maintains a close connection to the life. In this study, we classified individuals’ personality type using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which was formulated by Isabel Myers and Katharine Cook Briggs through their long research. Centering on the MBTI theory, a wide variety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o far.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theme of this study. In particular,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for understanding experiences in God, spirituality, prayer life, etc.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MBTI. Besides, we identified studies on the type of religious life, team ministry, etc. appearing differently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 Using the findings related to MBTI and God representation obtained from preliminary research, we examined differences in God representation according to the 16 personality types of MBTI, preference index, and major function. This study utilized ‘Loving and Controlling God Scales’ created by Peter Benson and Bernard Spilka in order to measure individuals’ God representation, and ‘Adjective Checklist’ by Richard L. Gorsu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ll Christians and they generally had a positive God representation. By type, types ISTP, INTP and ESTJ formed God representation who is more demanding, non-permissive and distant than other types. This suggests that their thinking function plays a more logical and critical role in forming God representation, and is consistent with the finding from analysis according to major function that types ISTP and INTP, which use introvert thinking as the major function, form God representation who is more strict and distant than other types. On the contrary, types ESFP and ESFJ, which are emotional, formed God representation who is receptive, close and gentle. This shows that in these types, which use the psychological function, their tendencies such as generosity, brightness, passion and joy observed in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s are reflected also in forming God representation. In classification according to preference index as well, no notable difference was observed in other preference indexes, but in classification between speculative-emotional types, while the speculative type forme God representation who is more rejecting, demanding, strict, and stubborn than the emotional type, the emotional type formed God representation who is close, receptive, loving and forgiving. What is more,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chapter examined cases of three types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clearly. We investigates how the topic of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in pastoral couns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understanding the client’s personality type and God representation accordingly allow us to comprehend how they are formed and through what process. In addition, it also enables a deeper understanding of what kind of effects they have on the client. In conclusion, according to data obtained from this study, God represent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in some of the 16 MBTI personality types. Through classification by preference index and by major func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functions of thinking, emotion, sensation and intuition can influence the formation of God representation. These findings were supported by the results of case study. Thus, it is concluded that God representation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personality classified through MBTI and it may influence individuals in understanding, coping with and resolving problematic situ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2 B. 하나님 표상과 성격유형에 대한 연구들 4 1. MBTI와 하나님 경험 5 2. MBTI와 영성 8 3. MBTI와 기도생활 12 C. 연구방법과 논문의 구성 16 Ⅱ. 하나님 표상과 성격유형에 대한 이해 19 A. 하나님 표상 19 1. 대상표상으로서의 하나님 표상 20 2. 하나님 표상의 형성 22 3. 하나님 표상의 자료와 기능 26 4. 하나님 표상의 발달과 변화 28 B. MBTI성격유형 31 1. 성격유형이론의 발달과정 31 2. MBTI성격유형 35 Ⅲ. MBTI성격유형에 따른 하나님 표상 연구 57 A. 연구방법 57 B. 연구결과 분석 59 1. 16가지 유형별 분석 59 2. 선호지표별 분석 67 3. 주기능별 분석 69 C. 사례연구 73 1. ISTJ사례 73 2. ISFP 사례 81 3. ENFP 사례 88 Ⅳ. 목회상담적 함의 97 Ⅴ. 결론 및 토의 105 A. 결론 105 B. 연구의 한계점 및 연구과제 108 참고문헌 111 부록1. 하나님 이미지에 관한 설문조사 (기본정보) 115 부록2. 하나님 이미지 전체 특성 (Loving and Controlling God Scales) 116 부록3. 고서치의 형용사 척도 (Gorsuch Adjective Checklist) 117 ABSTRACT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30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MBTI 성격유형에 따른 하나님 표상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God Representation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
dc.creator.othernamePark, Eun-A-
dc.format.pagevi, 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신학대학원 신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